• 제목/요약/키워드: Spontaneous Combustio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1초

M.E.K(경화제)의 자연발화 위험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pontaneous Combustion Risk of M.E.K)

  • 김정현;유용호;권오상;유명열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70-47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에폭시 강화촉진제, 도로용 첨가제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경화제(M.E.K)의 혼합비에 따른 자연발화 위험성을 알아보고 산업 현장의 화재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M.E.K와 에포비아 수지를 각기 다른 비율로 혼합한 상태에서 시간경과에 따른 시료의 온도변화 와 유증기 발생 및 자연발화 여부를 관찰한 결과 합성수지와 경화제의 혼합시 경화제가 5% 이상으로 혼합될 경우 혼합 수지의 내부온도가 약 $40^{\circ}C$ 이상으로 상승하면서 발포 현상과 함께 다량의 유증기가 발생하였고, 유증기가 발생된 모든 조건에 대하여 자연발화 여부는 확인할 수 없었다.

  • PDF

외부 점화원에 의한 여성 신체의 연소 (Combustion of a Female Body Due to an External Ignition Source)

  • 조영진;지홍근;김선재;임규영;이동규;최경원;박종택;문병선;고재모;박남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2호
    • /
    • pp.94-96
    • /
    • 2020
  • 2013년 11월 한국의 농촌 주택에서 발생한 여성 신체의 지속적인 연소 사례가 제시된다. 여성의 신체 중 무릎에서 목 부분까지는 거의 완전하게 소각되었고 머리, 팔, 무릎 아래의 다리 및 발은 거의 연소되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었다. 외부 점화원으로는 성냥에 의한 불씨가 가장 유력했다. 거실 바닥에서 발견된 할머니만 주로 연소되었으며, 주택 안에 있는 다른 사물들은 검갈색의 기름이 묻은 것처럼 또는 기름으로 코팅된 것처럼 보였으며 사실상 거의 연소되지 않았다. 변사자의 타지 않은 의류 및 양말에서 인화성 물질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근육 조직에서 약독물 성분 또한 확인되지 않았다. 말초 혈액의 혈중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 농도는 11%, 안방수의 에틸알콜농도는 0.010% 미만이었다. 부검 결과 탄화가 고도로 진행되어 사망원인을 단정하기 어려웠다.

高溫空氣流에 噴射한 噴霧의 自然燃燒에 관한 硏究 - 제3보: 분무의 연소기간 측정, 보조연료의 분사시간 및 난류가 분무의 착화지정기간 단축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Spontaneous Ignition of the Fuel Injected into a Hot Air Stream - Part III : Measurement of Flaming Duration, Effects of Auxiliary-Fuel Injection-Timing and Turbulence on Shortening the Ignition Delay Period -)

  • 방중철;태전간랑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67-375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주분무의 착화지연기간에 미치는 보조연료 분사시기의 영향 및 공기유동을 연소장 내에 도입시켜 분무와 공기의 혼합을 적극적으로 촉진시킴에 따라 그 후의 연소과정이 어떤 영향을 받는가에 대해서 검토했다.또 소형고속 디이 젤기관에서는 분무의 연소기간을 최대한 단축 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보조연료 분사 에 의해 그 단축목적이 어느 정도 달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2보에서 시사한 바 있으 나 본 연구에서 더욱 상세히 검토했다.

공기유량의 변화에 대한 우드펠릿의 자연발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ontaneous Ignition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s related to Change in Flow Rate)

  • 김형석;최유정;최재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90-596
    • /
    • 2019
  •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석탄, 석유등 화석연료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그 결과 온실가스의 증가와 더불어 이상기후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주 자원을 대체 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그 중 열효율이 높은 우드펠릿이 화력발전소, 가스보일러 등에서 대체연료로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우드펠릿의 사용량은 꾸준히 증대 되고 있는 반면 우드펠릿의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및 자연발화 등의 위험성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길이 20 cm, 높이 20 cm, 두께 14 cm의 시료용기를 사용하여 항온조 내부 유량변화에 따른 우드펠릿 최소자연발화온도와 발화한계온도를 구하여 발화특성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유량이 0 NL/min일 때 $153^{\circ}C$에서 주위온도보다 시료의 중심온도가 상승하여 발화하였고 이때의 발화한계온도는 $152.5^{\circ}C$를 구하였으며, 유량이 0.5 NL/min, 1.0 NL/min에서 발화한계온도인 $149.5^{\circ}C$를 구하였다. 또한 유량이 1.5 NL/min일 때 발화한계온도인 $147.5^{\circ}C$를 구하였으며, 동일한 저장량에서 유량이 증가할수록 발화한계온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타올에 흡착된 아마인유와 올리브유의 자연발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pontaneous Ignition of Flaxseed Oil and Olive Oil Adsorbed on Towels)

  • 김경수;최유정;최재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24-332
    • /
    • 2022
  • 연구목적: 타올에 흡착된 기름에 의하여 점화원이 없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자연발화 실험을 하기 위하여 건성유인 아마인유와 불건성유인 올리브유를 사용하여 섬유에 흡착되었을 때 자연발화가 발생되는 현상을 실험을 통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시료용기를 실험장치에 넣은 후 시료의 중심온도 변화를 관찰하여 중심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상승하고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를 「발화」로 판정하여, 시료의 중심온도 최대치를 확인한 후 실험을 중지하였으며, 시료의 중심온도가 설정온도와 유사하게 유지되었을 경우 「비발화」로 판정하고 실험을 중지하였다. 연구결과: 아마인유가 흡착된 타올은 5장, 10장, 15장에서 모두 시료용기 내의 온도가 급상승되고 연소가 발생되었으나, 불건성유인 올리브유는 탄소가 단일결합으로 되어 있어 건조가 어렵고 산소와의 결합이 어렵기 때문에 발화가 되지 않았다. 결론:건성유인 아마인유가 흡착된 타올의 량이 많을수록 설정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으로 발화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Kinetics and Thermodynamic Properties Related to the Adsorption of Copper and Zinc onto Zeolite Synthesized from Coal Fly Ash

  • Lee, Chang-Han;Ambrosia, Matthew Stanley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27-1335
    • /
    • 2013
  • Na-A zeolite (Z-Cl) was synthesized from coal fly ash, which is a byproduct of coal combustion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ity. The adsorption of $Cu^{2+}$ and $Zn^{2+}ions$ onto Z-C1 was investigated via batch tests over a range of temperatures (303.15 to 323.15 K). The resultant experimental equilibrium data were compared to theoretical values calculated using model equations. With these results, the kinetics and equilibrium parameters of adsorption were calculated using Lagergren and Langmuir-Freundlich models. The adsorption kinetics revealed that the pseudo second-order kinetic mechanism is predominant. Th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q_{max}$) values were 139.0-197.9 mg $Zn^{2+}$/g and 75.0-105.1 mg $Cu^{2+}/g$. Calculation of the thermodynamic properties revealed that the absorption reactions for both $Cu^{2+}$ and $Zn^{2+}$ were spontaneous and endothermic.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ynthesized zeolite, Z-C1, can potentially be used as an adsorbent for metal ion recovery during the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at high temperatures.

노말프로판올과 아세틱에씨드 계의 최소자연발화온도(AIT)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Autoignition Temperature(AIT) of n-Propanol and Acetic acid System)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66-71
    • /
    • 2017
  • The autoignition temperature (AIT) is crucial combustible characteristics which need attention in chemical process that handle hazardous materials. The AIT, also to as minimum spontaneous ignition temperature(MSIT), is the lowest temperature of a hot surface at which the substance will spontaneously ignite without any obvious sources of ignition such as a spark or flame. The AIT may be used as combustion property to specify operating, storage, and materials handling procedures for process safety. This study measured the AITs of n-propanol+acetic acid system from ignition delay time(time lag) by using ASTM E659 apparatus. The AITs of n-propanol and acetic acid which constituted binary system were $435^{\circ}C$ and $212^{\circ}C$,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AITs of n-propanol+acetic acid system were a good agreement with the calculated AITs by the proposed equations with a few A.A.D.(average absolute deviation). In the case of n-propanol and acetic acid system, the minimum autoignition temperature behavior (MAITB), which is lower than the lower AIT, is shown among the two pure substances constituting the mixture.

실화재실험을 통한 상수도 직결형 스프링클러시스템의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Sprinkler System with Direct-Coupled Waterworks by Full-Scale Fire Test)

  • 정종진;남동군;임우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39-4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 직결형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물 주택을 대상으로 화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물 주택의 크기는 $56m^2$이며 거실, 주방, 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화재는 대두유가 과열되어 자연발화가 발생하여 일어나게 하였다. 상수도 직결형 스프링클러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주방에 스프링클러시스템을 설치하였다. 실험결과 주방에서의 발화로 시작된 화재는 주방천장까지 확대 되었으나 스프링클러가 동작하면서 화재는 진압되었다. 스프링클러가 동작할 때의 상수도 압력은 0.28 MPa이었으며 이 결과로서 일반 주택의 상수도압력으로도 소화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연가스-디젤 혼소 엔진의 50% 부하 조건에서 제동효율 및 연소안정성 개선을 위한 디젤 분무 특성 평가 (Investigation on Diesel Injec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 Gas-Diesel Dual Fuel Engine for Stable Combus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Under 50% Load Condition)

  • 오세철;오준호;장형준;이정우;이석환;이선엽;김창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53
    • /
    • 2022
  • 디젤엔진의 배출물 개선을 위해 탄소수가 낮은 천연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천연가스-디젤 혼소 연소가 각광받고 있다. 특히 자발화 특성에 차이가 있는 디젤과 천연가스의 특성을 이용한 반응성 제어 압축착화(reactivity controlled compression ignition, RCCI) 연소 전략을 통해 기존 디젤엔진의 효율과 배출가스를 동시에 개선시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상사점보다 앞당겨진 디젤 직접 분사시기 적용을 통해 실린더 전체 영역의 균일 혼합기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희박한 자발화 기반 연소를 달성함으로써 질소산화물 (NOx) 및 입자상물질 (PM) 저감과 제동열효율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매우 희박한 저부하 영역에서 불완전 연소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존재하며, 안정적인 연소 구현을 위해 디젤 분사시기가 민감하게 제어되어야 하는 어려움도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된 저부하 영역에서의 천연가스-디젤 혼소 엔진의 효율 및 배기 개선을 확인하고, 동시에 발전용 엔진 구동 영역에서 디젤 분사시기에 따른 연소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는 6 L급 상용디젤 엔진이 사용되었으며, 1,800 rpm, 50% 부하 영역 (~50 kW)에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제동효율 및 연소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으로 분무 패턴이 다른 2개의 인젝터를 적용하였으며, 천연가스/디젤 비율과 디젤 분사시기를 바꿔가면서 실험이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협각 분사가 추가된 수정 인젝터에서 제동 열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소안정성 및 출력, 그리고 강화된 배기 규제를 고려하였을 때 수정 인젝터의 분무 패턴이 예혼합연소 형성에 적합하였고 이를 통해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Tier-V 기준치인 0.4 g/kWh 이하로 저감함으로써 RCCI 연소 가능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화력발전소용 석탄분진의 최소폭발농도와 폭발강도 평가 (An Evaluation of Minimum Explosible Concentration and Explosion Severity of Coal Dust in a Thermal Power Plant)

  • 윤여송;이근원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2-69
    • /
    • 2023
  • 화력발전소용 석탄에 대한 연소기술의 발전과 원가절감을 위해 저급탄의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연소 시 수분에 의한 증발잠열 손실이 크고 탄을 저장하고 미분화하는 과정에서 자연발화와 분진의 폭발위험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 D 발전사에서 채취한 석탄분진(coal powder)으로 Coal dust-fine, Coal dust-coarse, Wood pallet+organic dust 및 Wood chip 4종에 대한 최소폭발농도와 폭발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석탄 분진의 최소폭발농도는 JIS Z 8818:2002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폭발강도는 Siwek 20 L Chamber Apparatus를 이용하여 ASTM E1226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최소폭발농도 시험결과 coal dust-fine가 분진폭발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wood chip의 분진농도 130 g/m3에서 폭발이 일어나므로 가장 낮은 분진농도에서 폭발의 위험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진폭발 등급 기준에 따르면 Kst가 200 bar m/s 이하로 모든 시료가 폭발등급 St 1등급에 해당되며, 폭발의 위험성이 약한 분진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