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lit Window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An Analysis of Variance Procedure for the Split-Plot Design Using SPSS Syntax Window

  • Choi Byoung-Chul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2권1호
    • /
    • pp.61-69
    • /
    • 2005
  • In conducting the analysis of variance for the split-plot design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users including statisticians are faced with difficulties because of no appropriate example in the SPSS applications guide book.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esent an analysis of variance procedure for the split-plot design using SPSS syntax window.

MODIS 적외 자료를 이용한 동아시아 지역의 총가강수량 산출 (Estimation of Total Precipitable Water from MODIS Infrared Measurements over East Asia)

  • 박호순;손병주;정의석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9-324
    • /
    • 2008
  • Terra/Aqua MODIS의 적외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에서 물리적 방법과 split-window 방법으로 총가강수량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물리적 방법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분석 예측 자료를 생산하는 RDAPS 자료를 알고리즘의 초기 추정치로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복사전달계산을 위해 빠르고 정확도가 높은 RTTOV-7 모델을 이용하였다. Split-window를 이용한 총가강수량 산출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라디오존데 관측자료를 훈련자료로 사용하여 밝기온도를 계산하였고, 이로부터 관측된 밝기온도로부터 총가강수량을 산출할 수 있는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위의 두 알고리즘을 2004년 8월과 12월의 MODIS 적외 자료에 적용하여 산출한 결과를 해양에서는 DMSP SSM/I 결과와 육지에서는 라디오존데 관측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총가강수량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산출과정에 중요한 물리과정을 분석하였다. 비교결과 RDAPS, MODIS, split-window 방법에 비해 물리적 방법을 이용한 총가강수량의 산출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물리적 방법은 초기 추정치에 따라 산출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TIGR 자료와 같은 기후 평균값을 초기치로 적용함에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러한 원인으로 지표 부근의 수증기에 대한 정보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지표와 지형의 변화가 큰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물리적 방법에 의한 총가강수량 산출의 효율성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NOAA/AVHRR 적외 SPLIT WINDOW 자료를 이용한 운형과 하층수증기 분석 (Analysis of Cloud Types and Low-Level Water Vapor Using Infrared Split-Window Data of NOAA/AVHRR)

  • 이미선;이희훈;서애숙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45
    • /
    • 1995
  • The values of brightness temperature difference (BTD) between 11um and 12um infrared channels may reflect amounts of low-level water vapor and cloud types due to the different absorptivity for water vapor between two channels. A simple method of classifying cloud types at night was proposed. Two-dimensional histograms of brightness temperature of the 11um channel and the BTD between the split window data over subareas around characteristic clouds such as Cb(cumulonimbus), Ci(cirrus), and Sc(stratocumulus) was constructed. Cb, Ci and Sc can be classified by seleting appropriate thresholds in the two-dimensional histograms. And we can see amounts of low-level water vapor in clear area as well as cloud types in cloudy area in the BTD image. The map of cloud types and low-level water vapor generated by this method was compared with 850hPa and 1000hPa relative humidity(%) of numerical analysis data and nephanalysis chart. The comparisons showed reasonable agreement.

화면 분할의 미학과 의미 - 극영화를 중심으로 (Aesthetics and Meaning of Split Screen: Focusing on Feature Film)

  • 장우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54-165
    • /
    • 2012
  • 이 논문은 화면 분할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극영화의 화면 분할 유형과 그 서사적 의미를 논의 한다. 그 결과, 사건과 캐릭터를 기준으로 삼되 동시에 제시되는 이미지 간의 관계와 극적 의미의 결합에 주목하여, 극영화의 화면 분할 유형에 대한 분류를 시도하고, 그 내용을 하나의 도표로 제시한다. 또한 화면 분할이 극영화의 이야기 방식을 선형적인 것에서 탈선형적인 것으로 바꾸며, 영화의 스크린 개념을 창문으로 표현되는 원심적 공간에서 캔버스로 표현되는 구심적 공간으로 전환시킴을 주장한다.

A Study on Comparison of Satellite-Tracked Drifter Temperature with Satellite-Derived Sea Surface Temperature of NOAA/NESDIS

  • Park, Kyung-Ae;Chung, Joug-Yul;Kim, Kuh;Choi, Byung-Ho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3-107
    • /
    • 1994
  • Sea surface temperatures (SSTs) estimated by using the operational SST derivation equations of NOAA/NESDIS were compared with satellite-tracked drifter temperatures. As a result of eliminating cloud-filled or contaminated pixels through several cloud tests, 69 matchup points between the drifter temperatures and the SSTs estimated with NOAA satellite 9, 10. 11 and 12 data from August, 1993 to July, 1994 were collected. Multi-channel sea surface temperature(MCSST) using a split window technique showed an approximately $1.0{\circ}C$ rms error as compared with the drifting buoy temperatures for 69 coincidences. Accuracies for satellete-derived sea surface temperatures were evaluated for only NOAA-11 AVHRR data which had relatively large matchups of 35points as compared with other satellites. For the comparison of the oberved temperatures with the calculated SSTs, linear MCSST and nonlinear cross product sea surface temperature(CPSST) algorithms by the split, the dual and the triple window technique were used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split window CPSSTs showed the smallest rms error of $0.72{\circ}C$. Defferences between the split window SSTs and the drifter temperatures appeared th have a linear tendency against the drifter temperatures and also against the differences between AVHRR channel 4 and 5 brighness temperatures. This indicates some possibilities that satelite-derived SSTs operationally calculated from the NOAA/NESDIS equation in the seas around Korea have been underestimated as compared with actural SSTs in case sea water temperature is relatively low or the atmosphere over the sea surface is very dry like in winter, while overstimated in case of high temperature or very moist atmospheric equations based on local sea measurements around Korea instead of global measurements should be derived.

COMPARISON OF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S FOR DERIVING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THE KOREAN SEA AREA USING NOAA/AVHRR DATA

  • Yoon, Suk;Ahn, Yu-Hwan;Ryu, Joo-Hyung;Won, Joong-S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518-521
    • /
    • 2007
  • To retrieve Sea Surface Temperature(SST) from NOAA-AVHRR imagery the spilt window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is generally used. Recently, there have been various new algorithms developed to process these data, namely the variable-coefficient split-window, the R54 transmittance-ratio method, fixed-coefficient nonlinear algorithm, dynamic water vapour (DWV) correction method, Dynamic Water Vapour and Temperature algorithm (DWVT). We used MCSST (Multi-Channe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NLSST(Non linear sea surface temperature) algorithms in this study. The study area is around the Korea sea area (Yellow Sea). We compared and analyzed with various methods by applying each Ocean in-situ data and satellite data. The primary aim of study is to verify and optimize algorithm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n optimized algorithm for SST retrieval.

  • PDF

GMS-5 Split Window 자료를 이용한 가강수량 산출 (Estimation of Precipitable Water from the GMS-5 Split Window Data)

  • 손승희;정효상;김금란;이정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3-68
    • /
    • 1998
  • 대기중에 존재하는 수증기의 관측은 일기와 기후의 이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데, 기존의 관측체계로는 지구상의 극히 제한된 지역의 수증기 분포만을 관측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일본 정지기상위성인 GMS-5의 적외 split window 채널 관측자료로부터 대기중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 총량 즉 가강수량(precipitable water)을 산출하였다. 가강수량 산출에는 라디오존데 관측 가강수량과 split window 관측자료 사이의 회귀분석에 기초한 Chesters et al.(1983)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였 다. 가강수량 산출을 위하여 센서의 필터 함수와 관련된 수증기 흡수 파라미터는 우리 나라 고층 관측소인 오산, 광주,포항,제주에서 관측한 '76년 8월부터 11월가지의 4개월간 관측한 라디오존데 자료와 위성 관측자료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산출하였다. 한편 기상청 전구 스펙트랄 모델의 700 hPa온도를 1층 복사 모델의 대기 평균 온도로 사용하였다. 1996년 7월부터 12월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산출한 GMS-5 가강수량 자료를 같은 기간 관측된 라디오존데 관측자료와 비교한 결과 0.46의 상관계수와 0.65 g/$cm^2$~1.09 g/$cm^2$의 RMS 오차를 나타내었다. GMS-5로부터 산출된 월평균 가강수량 분포는 계절에 따른 전지구 규모의 수증기 분포변화를 잘 나타내었다. 이번 연구에서 산출된 위성 가강수량은 0.5$^{\circ}$격자 간격으로 6시간마다 기상청에서 정규적으로 산출된다. 이 자료는 수치예보의 객관분석 초기 자료로 이용되어, 특히 청천 조건하에서의 습도 분석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며 기후 연구에 있어서도 현존하는 자료 세트에 대한 유용한 보완 자료가 될 것이다. 그러나 연구 결과의 실용화를 위하여는 좀더 높은 상관계수와 산출절차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용성을 고찰하였다.산마와 재배와 점질다당류가 각각 219~332$^{\circ}C$, 229~341$^{\circ}C$ 범위였다.TEX> 범위였다. 사면의 풍화와 침식에 대한 대책연구도 수행되어야 한다. 15ng/$\textrm{cm}^2$로서 90분간 조사로 27ng/$\textrm{cm}^2$량이 생성되었다. 7-DHC은 당초의 123ng/$\textrm{cm}^2$으로부터 계속 감소되어 150분간 조사시 53ng/$\textrm{cm}^2$량까지 내려갔다.하였으며, 그 외의 항목간에는 대동소이하였다.ckarti 와 E. serrulatus가 스파르가눔의 중간숙주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충란의 배양에서부터 종숙주의 충란 배출까지 약 2개월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었고, 우리 나라 자연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하였다.함을 보이고 있다.X> , ZnCl$_{3}$$^{-}$같은 이온과 MgCl$^{+}$, MgCl$_{2}$같은 이온종을 형성하기 때문인것 같다. 한편 어떠한 용리액에서던지 NH$_{4}$$^{+}$의 경우 Dv값이 제일 작았다. 바. 본 연구의 목적중의 하나인 인체유해 중금속이온인 Hg(II), Cd(II)등이 NaCl같은 염화물이 함유된 시료용액에

Retrieval of emissivity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from MODIS

  • Suh Myoung-Seok;Kang Jeon-Ho;Kim So-Hee;Kwak Chong-Heum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165-168
    • /
    • 2005
  • In this study, emissivity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were retrieved using the previously developed algorithms and Aqua/MODIS data. And sensitivity of estimated emissivity and LST to the predefined values, such as land cover,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OVI) and spectral emissivity were investigated. The methods used for emissivity and LST were vegetation cover method (VCM) and four different split-window algorithms. The spectral emissivity retrieved by VCM was not sensitive to the NOVI error but more sensitive to the land cover error. The comparison of LST showed that the LST was systematically different without regard to the land cover and season. And the LST was very sensitive to the emissivity error excepting the Uliveri et al. This preliminary result indicates that more works are needed for the retrieval of reliable LST from satellite data.

  • PDF

Modified Split Flux를 이용한 주광률 계산식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the Daylight Factor Formula with the Modified Split Flux)

  • 윤수인;윤경;김강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39-47
    • /
    • 2014
  • Daylighting has a great effect on people inside the room. I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lighting energy consumption. Daylight factor(DF) is a very important index for evaluation of the daylighting in overcast sk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Tregenza's Modified Split Flux formula for the calculation of the daylight factor. We compared the daylight factors calculated by two methods; one by a measurement with 1/5 scale model and the other by the Daysim program. We used variables for verification as window wall ratios(WWR) and angles of the sky visible. As a result, daylight factor calculated by Modified Split Flux is similar to the measurement when more daylight enters the inside. And error i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angle of the sky visible is $50^{\ci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