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raea salicifolia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8초

꼬리조팝나무 잎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Leaves of Spiraea salicifolia)

  • 안병태;오갑진;박시경;정순간;조의환;김재길;노재섭;이경순
    • 생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8-183
    • /
    • 1996
  • Seven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Spiraea salicifolia. Their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as cinnamic acid, ${\rho}-hydroxy$ cinnamic acid, ${\rho}-methoxy$ cinnamic acid, $1-O-coumaroyl-{\beta}-D-glucopyranose$, $1-O-caffeoyl-{\beta}-D-glucopyranose$, hyperoside and quercetin $3-O-(6'-O-{\alpha}-L-arbinopyranosyl)-{\beta}-D-galactopyranoside$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evidence.

  • PDF

숙지의 생장조절제 처리 및 녹지의 삽목시기가 한국 자생 조팝나무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for Hard Wood and Cutting Time for Soft Wood on Rooting of Korean Native Spiraea spp.)

  • 이정호;송천영;우효진;권오웅
    • 화훼연구
    • /
    • 제19권2호
    • /
    • pp.103-109
    • /
    • 2011
  • 한국 자생 조팝나무류 숙지삽의 발근율은 꼬리조팝 및 공조팝이 11.3%와 17.7%이었고, 갈기조팝나무, 더블조팝나무, 일본조팝나무, 능수조팝나무 및 참조팝나무는 5%내외로 발근율이 낮았다. 꼬리조팝과 공조팝의 숙지삽에 발근촉진제 IBA $125{\sim}1,000mg{\cdot}L^{-1}$, NAA $125{\sim}1,000mg{\cdot}L^{-1}$ 및 Rootone 처리는 농도에 관계없이 15%이상 발근율을 향상시켰으므로 이들의 적당한 농도는 $125mg{\cdot}L^{-1}$이었다. 갈기조팝나무, 꼬리조팝나무, 조팝나무, 가는잎조팝나무 및 참조팝나무 등 자생 조팝 5종에 대한 5월 7일부터 9월 17일까지 일주일 간격의 녹지 삽목에서, 발근율은 신초가 경화되고 발근 온도가 적당한 9월 17일이 가장 양호하였다. 자생 조팝나무류의 발근율은 5월 7일부터 8월 중순까지는 20%이하로 낮았으나, 9월 17일에는 그 이상을 나타냈고, 특히 꼬리조팝나무 및 참조팝나무는 70%이상이었다.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식물에 대한 기후 및 환경변수 영향 (Clima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Distribution of Narrow Range Plants)

  • 권혁수;류지은;서창완;김지연;도재화;서민환;박종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7-27
    • /
    • 2012
  • Climate is generally accepted as one of the major determinants of plants distribution. Plants are sensitive to bioclimates, and local variations of climate determine habitats of pla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narrow-range plants in South Korea using National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data. We develope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for 6 plant species using climate, topographic and soil factors. All 6 plants were most sensitive to climatic factors but less other factors at national scale. Meliosma myriantha, Stewartia koreana and Eurya japonica, distributed at southern and coast region in Korea, were most sensitive to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Meliosma myriantha was mostly effected by annual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of driest quarter, Stewartia koreana was effected by annual precipitation and elevation, and Eurya japonica was affected by temperature seasonality and precipitation of driest quarter. On the other hand, Spiraea salicifolia, Rhododendron micranthum and Acer tegmentosum, distributed at central and northern inland in Korea, were most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elevation. Spiraea salicifolia was affected by mean temperature of coldest quarter and annual mean temperature, Rhododendron micranthum and Acer tegmentosum were affected by mean temperature of warmest quarter and elevation. We can apply this result to future plant habitat distribution under climate change.

대암산 습원의 식생 (Studies on Moor Vegetation of Mt. Daeam, East-Central Korea)

  • Choi, Ki-Ryong;Koh, Jae-K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4호
    • /
    • pp.237-244
    • /
    • 1989
  • The moor vegetation of Daeryong-po on Mt. Daeam, east-central Korea was investigated in July 26th-29th, 1989, It was classified into I community group, 4 communities and 5 subcommunities; Sanguisorba tenuifolia var. alba community group, Sphagnum palustre 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Eleocharis mamillata var. cyclocarpa subcommunity, Carex canescense subcommunity, Carex dispalata community, Spiraea salicifolia community, Geranium eriiostemon var. megalanthum community, Arundinella hirta-Phragmites communis subcommunity, Angelica purpuraefolia subcommunity.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made.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this moor was divided characteristically into two areas. One was a typical oligotrophic area characterized by S. palustre community. The other was an area having mesotrophic or eutrophic conditions where its original state was disturbed by inflow of soil particles and removal of peat. It this disturbed area, C. dispalata, S. sibiricus, G. eriostemon var. megalanthum, were invaded.

  • PDF

대암산 고층습원의 식물상과 식생 (Study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he High Moor in Mt. Daeam)

  • 강상준;곽애경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7-131
    • /
    • 2000
  •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한 대암산 용늪(1,280m)의 습원 식물상과 식생에 대하여 Braun-Blanquet(1964) 의 방법으로 1998년 6월 13일부터 14일까지와 8월 7일부터 8일까지의 기간에 실시하였다. 습원내의 소산식물은 선태류 4과 4속 7종, 유관속식물 49과 127속 153종 30변종 1품종으로 총 191종류였다. 식생은 가는오이풀 군락군(Sanguisorba tenuifolia var. alba community group)으로 11개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즉, 습원의 주요 식물군락은 삿갓 사초군락(Carex dispalata community), 물이끼 군락(Sphagnum palustre community)이었으며, 그 훼손지의 재생지역에는 솔잎사초 군락(Carex biwensis community), 청비녀골 풀 군락(Juncus papillosus community)이 함께하고 있었다. 또한 지하수위가 저하된 건조지역에는 진퍼리새 군락(Malinia japonica community)을 중심으로, 꼬리조팝나무 군락(Spiraea salicifolia community), 산새풀-꽃쥐손이 군락(Geranium eriosteman var. megalanthum-Calamagrostis langsdorffii community) 외에 골풀 군락(Juncus effusus var. decipiens community), 버드나무 군락(Salix koreensis community), 동의 나물 군락(Caltha palustris var. mem branacea community), 흑삼릉 군락(Sparganium stdoniferum community)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그간에 실시되어온 1969년, 1976년, 1988년의 조사와 금번의 조사를 비교 분석해본 결과, 습원의 삿갓사초 군락, 물이끼 군락의 규모가 감소되고, 진퍼리새 군락이 침입되어 번식하며 그 규모가 커지고 있었다. 이는 스케이트장 조성과 가뭄의 영향 등 습원의 건조화 때문이나 인간의 출입과 훼손에 의한 교란이 없다면 고층습원의 회복 및 재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산지초지의 식물 군락에 따른 토양 미소동물 및 지표면 서식 절지동물의 군집 차이 (Response of Soil Mesofauna and Ground-dwelling Arthropods to Plant Communities in a Mountain Pasture)

  • 어진우;김명현;권순익;송영주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233-239
    • /
    • 2016
  • 산지초지의 관리 강도가 약해지면서 다양한 식물 군락이 형성되었다. 초본 군락은 흰겨이삭 - 큰조아재비 군락, 왕포아풀 군락, 김의털 군락 및 애기수영 군락이었고, 목본 군락은 덤불조팝나무 - 꼬리조팝나무 군락이었다. 군락에 따라 토양 미소동물 및 지표면 서식 절지동물의 군집 차이가 관찰되었다. 토양 화학성은 식물 군락에 따라 달랐으며, 이차적으로 다른 생물군에 영향을 주었다. 토양 선충은 같은 식성이라도 목 단위에서 다른 반응을 나타냈으며, 식물 섭식성 선충은 애기수영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Collembola나 Oribatida와 같은 미소절지동물의 밀도가 다른 것은 기질이 되는 유기물이나 미생물의 양이 식물 군락에 따라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지표면 서식 절지동물은 식물 군락별 군집 특성이나 종 수가 달랐다. 이것은 식생 구조와 구성이 절지동물의 다양성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백두산 천지와 소천지주변의 희귀식물과 특정식물종 연구 (Studies on Specific Plants and Rare Plants around Chunji and Sochunji in Mt. Baekdu)

  • 오현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52-62
    • /
    • 2006
  •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round Chunji and Sochunji in Mt. Baekdu was listed 120 taxa; 31 families, 81 genera, 97 species, 1 subspecies, 21 varieties and 1 form. About endangered wild plants, 2 taxa (Paeonia obovata, Rhododendron aureum) are in class II. 12 taxa were listed as rare and endangered plants; Disporum ovale, Lilium davuricum, Saxifraga punctata, Rosa marretii, Cnidium tachiroei, Bupleurum euphorbioides, Halenia corniculata, Gentiana jamesii, Pedicularis verticillata, etc. 10 taxa were listed as Korean endemic plants; Lilium amabile, Aconitum pseudolaeve var. erectum, Oxytropis anertii for. alba, Valeriana officinalis var. latifolia, Cardamine resedifolia var. morii, Homopteryx nakaiana, Saussurea alpicola, Ligularia jamesii, etc.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47 taxa; 3 taxa (Paeonia obovata, Rhododendron aureum, Pedicularis verticillata) in class V, 15 taxa (Lycopodium annotinum, Alnus maximowiczii, Saxifraga punctata, Petasites saxatile, etc.) in class IV, 5 taxa (Spiraea salicifolia, Sanguisorba hakusanensis, Acer ukurunduense,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Cacalia adenostyloides) in class III, 18 taxa (Lycopodium chinense, Disporum ovale, Ceologlossum viride var. bracteatum, Betula ermani,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Filipendula multijuga, Geranium eriostemon, Cnidium tachiroei, Ligularia stenocephala, etc.) in class II, 6 taxa (Pinus koraiensis, Cimicifuga simplex, Sanguisorba tenuifolia var. alba, Senecio nemorensis, Cacalia hastata subsp. orientalis, Cirsium pendulum) in class I. Peculiar flora around Chunji is thought to be made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ind, temperature and rainfall that influence the plants' growth.

김포 매립지와 그 근린 지역의 식물상 분석 (Floral Analysis in the Kimpo Landfills and Its Peripheral Region)

  • Kim, Jong-Won;Yong-Kyoo Ju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31-41
    • /
    • 1995
  • Floral analysis about vegetation of Kimpo landfills and its periphery region was carried out. The study area was defined to a square $(81km^2)$ of which center was located at 250m in front of Andongpo, Komdan-myon, Kimpo-gun in the northwest part of the Kyunggi Province.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analyzing five qualitative traits such as ecological strategy, reproductive strategy, distribution type, native/foreign division and life-form throughout actual investigation of the flora. The flora was composed of 536 taxa which comprise 105 families, 343 genera, 458 species, 1 subaspecies, 70 varieties and 7 forms (including 92 species of horticultural plant). Lythrum salicaria community, Spiraea salicifolia community, ottelia alismoides community and woods of Alnus japonica were recorded ? 새 retrictive distribution according to habitat characteristics. Owing to severe anthropogenic interferences such as construction of the Kimpo landfills in the study areas, a high proportion of ruderal plants and neophytes in the floral composition was recognized.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distribution type and therophyte was very high throughout whole study areas, and plant communities in the reclaimed areas were characterized by high proportion of phalanx plant species.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meshes with ecological traits of plant species showed that Kimpo landfills and its periphery region was divided into two vegetation types, coastal type and inland type, as a result of possible saline effects.

  • PDF

대관령 산지초지의 식물상 및 식생 특성 (Flora and Vegetation of Hilly Pasture in Daegwallyeong)

  • 김명현;어진우;권순익;송영주
    • 환경생물
    • /
    • 제35권3호
    • /
    • pp.398-412
    • /
    • 2017
  • 산지초지의 효율적인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하여 강원도 대관령에 위치하는 산지초지에서 2014년~2016년 사이 식물상과 식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38과 90속 104종 13변종 12아종으로 총 1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반지중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직립형 ($H-D_4-R_5-e$)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5과 9속 12종으로 총 12분류군으로, 도시화지수는 3.7%, 귀화율은 9.9%를 나타냈다. 대관령 산지초지의 식물군락은 덤불조팝나무-꼬리조팝나무군락, 고마리군락, 흰겨이삭-큰조아재비군락으로 구분되었고, 흰겨이삭-큰조아재비군락은 세분하여 왕포아풀아군락, 쑥아군락, 김의털아군락, 애기수영아군락, 전형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식물군락은 경사도와 EC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사도 $40^{\circ}$ 이상에서는 원하는 목초의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관목림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향후 산지초지의 조성 및 관리에 경사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우리나라 오리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A Synecological Study of the Alnus japonica Forests in Korea)

  • 조준희;배관호;오승환;김준수;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124-135
    • /
    • 2020
  • 오리나무림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습지림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임분으로 예전에는 산지, 하변, 배후습지, 그리고 충적 저지 등 다양한 서식환경에서 비교적 흔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나, 다양한 토지이용과 서식지의 건조화 등의 영향으로 최근에는 보기 드문 식물군락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지습지에 자연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오리나무림의 군락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그 체계적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국 66개 지소의 오리나무림을 대상으로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이원지표종분석(TWINSPAN)을 병용하여 군락 유형을 분류한 결과, 모두 8개 단위 유형 (쪽동백나무형, 들메나무-병꽃나무형, 참조팝나무형, 콩제비꽃형, 꼬리조팝나무-물봉선형, 왕미꾸리광이형, 진퍼리새형, 그리고 상수리나무-생강나무형)이 구분되었으며, 2개 군락, 4개 아군락, 그리고 8개 변군락(variant)의 식생단위 체계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락유형별 생태적 특성(구성종의 총피도(/100㎡), 중요치, 상재도, 생활형 조성, 종다양성 지수, 군락유사도 그리고 지표종 등)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