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illed crude oil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해양에서 유출된 기름의 해변 토양 침투거동에 미치는 영향인자 규명 실험 (Laboratory Study for the Identification of Parameters affecting the Penetration Behavior of Spilled crude oil in a Coastal Sandy Beach)

  • Cheong Jo, Cheong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1호
    • /
    • pp.81-86
    • /
    • 2003
  • 기름의 침투거동에 관한 정보는 처리대책의 수립 및 생물학적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질지형의 조간대 모형을 이용하여 유출된 기름의 토양침투 거동을 파악하고 침투에 미치는 주된 영향인자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수와 유출된 원유의 연안 해변 토양 침투거동은 전혀 달랐다. 해수는 파도와 조석의 물리적 작용에 의해서 토양 중으로 침투를 하였으나, 유출된 원유는 파도에 의해서는 침투되지 않고 조석작용에 의해서만 토양 중으로 침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평방미터당 1 L의 유출유가 표착하였을 경우 약 70%이상의 유분이 토양 표층 2 cm의 부분에 집중되는 침투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유출된 기름의 토양침투에는 온도의 변화에 의존하는 기름의 점도가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양유출유의 형광지문에 의한 식별연구 (Identification of Spilled Oils in the Marine Environment by Fluorescence Fingerprints and Library Search System)

  • 박용철;김영희;이창섭;이기복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5-303
    • /
    • 1991
  • 해양에 유출되는 유류오염의 정확하고 신속한 식별을 기하기 위하여 국내에 반입 되는 33종의 원유와 기타 6종 등 총 39종 유류의 형광특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각 유류는 내포되어 있는 방향족 화합물의 특성에 따라 독특한 유류지문도를 보였다. 이 들에 대한 다변량 통계분석의 결과 대체로 2개의 유류군으로 대분되었다. 이들 유류가 해양에 유출된 뒤 10일이 경과되어도 물리화학적 풍화작용과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 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기법으로 오염 유류원을 식별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GC 에 의한 조사에서는 6일 경과된 풍화유출유의 경우 탄소수가 12 이하인 화합물의 상당 부분이 소실되어 나타나 유류식별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로 해양에 유출된 유류 의 정확하고 신속한 유류원 판별 식법으로 형광지문이 검증되었으며 풍화과정이 형광 지문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형광특성 측정을 이용한 응용방법이 논의되었다.

  • PDF

Acinetobacter sp. A54에 의한 Arabian Light 원유의 분해

  • 이창호;김희식;서현효;최성훈;오희목;윤병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20-526
    • /
    • 1997
  • Bacterial strains which degrade Arabian Light crude oil were isolated by enrichment culture from oil-spilled soil. The strain A54 was finally selected after testing emulsifying activity and oil conversion rate. Strain A54 was identified as a Acinetobacter sp. based on the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t appears to be highly specialized for growth on Arabian Light crude oil in minimal salts medium since it showed preference for oil or degradation products as substrates for growth. It was found that it could grow on at least fifteen different hydrocarbons. The optimum cultur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as follows; 25$\circ$C for temperature, 7,5 for pH, 2.0% for NaCl concentration and 2.0% for crude oil concentration. Additionally,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NH$_{4}$NO$_{3}$, and K$_{2}$HPO$_{4}$, were 12.5 mM and 0.057 mM, respectively. Cell growth and emulsifying activity as a function of time were also determined. Crude oil degradation and the reduction of product peaks were identified by the analysis of remnant oil by gas chromatography. Approximately 63% of crude oil were converted into a form no longer extractable by mixed organic solvents.

  • PDF

조간대에 표착한 기름이 해수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anded Oil on Seawater Infiltration in a Tidal flat Environment)

  • Cheong Jo, Cheong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1호
    • /
    • pp.75-80
    • /
    • 2003
  • 해수 중에는 연안 조간대의 저서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용존산소와 영양염이 풍부하게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해수의 토양침투는 저서생물의 생존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러나 유출된 기름이 조간대에 표착하게 되면 해수의 침투가 차단되어 생물에게 많은 피해를 유발시킬 것이다. 또한 유출된 기름의 토양 침투에 관한 정보는 생태계 영향을 최소화하고 처리를 위한 대책수립의 단서로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출된 기름의 침투 거동을 파악하고 침투된 기름의 해수 침투 차단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점도가 낮은 원유가 C중유보다 침투 깊이가 약 2배 깊었으며, 유출된 기름의 침투 깊이는 조간대에 표착된 기름의 양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표착된 기름은 첫번째 조석에서 가장 급격한 침투거동을 보였으나, 두번째 조석변동부터는 급격한 침투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침투한 유분의 수직적 분포로부터 기름은 토양 표층 2cm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해수의 침투량은 표착유의 양에 비례적으로 감소하였으며, C중유가 원유보다 약 1.7배 정도의 해수의 토양 침투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침투한 기름의 처리는 가능한 빠른 시간내에 수행되어야 해수의 침투를 회복시켜 연안 조간대 생태계의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유출된 풍화유와 분산유의 조간대 침투 및 생태계 영향 - 용존상 물질의 침투량 변화 - (Penetration of Weathered Oil and Dispersed Oil and its Ecological Effects on Tidal Flat - as Infiltration of Dissolved Matter -)

  • 정정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4-13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조간대에서 유출된 기름의 표착 및 침투과정을 파악하고, 침투된 기름의 해수 침투차단 여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모의 조간대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표착된 기름의 침투깊이는 분산유가 가장 낮았으며, 풍화유 그리고 원유의 순서로 깊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기름의 침투는 표착된 기름의 양에 의해 좌우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유출된 기름의 침투는 첫번째 조석에서 거의 대부분 결정되며 그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침투된 기름은 토양 표층으로부터 2 cm 부분이 가장 농도가 높음을 알았다. 기름의 침투량의 증가와 더불어 해수의 침투량이 감소하였으며, 분산유보다는 원유나 풍화유가 보다 많은 양의 해수를 차단하였다. 따라서 해수의 침투량의 차단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연안 조간대에서 표착유의 저서생물에 대한 피해는 풍화유나 원유가 분산유보다 클것으로 사료된다.

  • PDF

태안 유출 원유의 생물정화를 위한 유용미생물 적용 (Application of Effective Microorganisms for Bioremediation of Crude Oil Spill in Taean, Korea)

  • 이은주;이상모;이군택;김인성;김용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7호
    • /
    • pp.795-799
    • /
    • 2008
  • We have studied bioremediation of effective microorganisms on crude oil spill in Taean, west-coast of Korea. Oil contaminated soil samples were collected on December 14, 2007, seven days after the Hebei Spirit oil-spilled accident.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ffective microorganisms (EM) which were composed with yeast, photosynthetic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on oil degradation. TPH concentration before EM treatment was 323.8 mg/kg, whereas TPH concentrations on 2 days after EM treatment and that of control (without EM) was 102.1 mg/kg and 170.6 mg/kg, respectively. On six days after EM treatment TPH was 91.3 mg/kg and that of control was 127.7 mg/kg. Percentages of degraded crude oil were 47.3% without EM and 68.5% with EM, 60.6% without EM and 71.8% with EM on 2 and 6 days after EM treatment, respectively. Thes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effective microorganisms toward oil-contaminated soil was quite useful to degrade crude oil spill. These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effects of biostimulation of microbial media nutrients and bioaugmentation of effective microorganisms. If we carefully apply these effective microorganisms, it can be a useful bioremediation method to recover oil-contaminated marine ecosystems.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지역주민의 급성건강영향 (Acute Health Effects of the Hebei Oil Spill on the Residents of Taean, Korea)

  • 이철헌;강영아;장규진;김창훈;허종일;김재연;이종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66-173
    • /
    • 2010
  • Objectives: On December 7, 2007, the Hebei Spirit oil tanker spilled out 12,547 kl of crude oil on the Yellow Sea 10 km away from the cost of Taean Province, Korea. As the coastline has been contaminated, local residents have been exposed to crude oil. Because the residents were showing many symptoms, we investigated the acute health effects of this oil spill on them.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consisting of the heavy and moderately oil soaked area in Taean and the lightly oil soaked area in Seocheon. Ten seashore villages were selected from each area, and 10 male and female adults were selected from each village. We interviewed the subject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the cleanup activities, the perception of oil hazard,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 physical symptoms. The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adjusted for age, gender, education, smoking, the perception of oil hazard and anxiousness. Results: The more highly contaminated the area, the more likely it was for residents to be engaged in cleanup activities and have a greater chance of exposure to oil. The indexes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higher in the heavy and moderately oil soaked areas. The increased risks of headache, nausea, dizziness, fatigue, tingling of limb, hot flushing, sore throat, cough, runny nose, shortness of breath, itchy skin, rash, and sore eyes were significant.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exposure to crude oil is associated with various acute physical symptoms. Long-term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monitor the residents' health.

원유 분해균주 Nocardis sp. Hl7-1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rude oil-Degrading Strain, Nocardia sp. H 17-1)

  • 이창호;권기석
    • KSBB Journal
    • /
    • 제11권6호
    • /
    • pp.654-662
    • /
    • 1996
  • 원유에 대한 분해능이 있는 균주를 분리하고, 이들 균주의 균체생육과 유화활성 및 원유 전환율을 검토하여 4균주 즉, A54, H17, H17-1 그리고 F6 를 선멸하였다. 이들 균주중 H17-1 균주를 최종선멸하여 형태학적 빛 생화학적 그리고 생리학적 특성 을 조사한 후 Nocardia sp. H 17-1로 명명하였다. Nocardia sp. H17-1의 배양 시간에 따른 균체생육, 유화도 그리고 원유 전환율을 측정한 결과, 균체수 는 $9.1\times109 CFU/mL$었고, 유화활성과 원유 전환율 은 각각 480 unit/mL와 약 83%로서 최대치에 도달하였다. 또한, 다양한 탄화수소를 탄소원으로 이용 하였다. 원유분해를 위한 배양조건 및 환경인자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배양온도는 $^30{\circ}C$, 초발 pH는 7.0, 염분농도는 2.0%이며, 5% 이상에서는 유화활 성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원유농도는 3%, 무기염류 의 농도는 12.5 mM $NH_4N0_3$, 0.057 mM $K_2HPO_4$로 나타났다. 또한, 잔류 원유의 GC 분석 결과 CI6(n­ hexadecane) 이상의 n-alkane peak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유류누출 지역에서 유래한 토착세균, Pseudoalteromonas sp. HK-3 배양에서 생물계면활성제의 최적 생산 (Optimized Production of Biosurfactant by the Indigenous Bacterium, Pseudoalteromonas sp. HK-3 Originating from Oil-Spilled Areas)

  • 조수희;마채우;오계헌
    • KSBB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57-61
    • /
    • 2011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biosurfactant by the indigenous bacterium, Pseudoalteromonas sp. HK-3, originating from oil-spilled a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biosurfactant produc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biosurfactant production were evaluated by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software. The effects of various supplemental carbon sources (e.g., glucose, dextrose, mannitol, citrate, acetate) on the maximal production of biosurfactant by the test culture of Pseudoalteromonas sp. HK-3 was then evaluated. As a result, mannitol was found in this study to be the best supplemental carbon source for the production of biosurfactant. A spot inoculation of crude cultural liquid containing the HK-3 cells generated the largest clear zone, whereas only small clear zones appeared around the spots inoculated with either supernatant only or cell pellets following centrifugat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HK-3 test culture supplemented with 2% mannitol at an initial pH of 6 generated the maximal amount of biosurfactant within 72 h of incubation.

海上 流出油 識別法에 關한 硏究 (Comparative Identification of Oil Spills by Gas Chromatography Fingerprinting)

  • 김영희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8-123
    • /
    • 1986
  • 流出油는 GC分析에 의한 油指紋法(Oil Fingerprinting Method)으로 流出原因油와 比較分析하여 識別한다. 一般的으로는 GC에 의하여 飽和炭化水素, 黃化合物을 分離分析한다. 그러나, 기름의 成分은 複雜하고 流出된 상태에 따라 成分組成이 변하므로 어느 한 成分의 分析에 의한 識別보다는 여러성분에 대한 多角的인 分析에 의한 識別方法이 要求된다. 本 硏究에서는 原油, 重油中에 含有되 어 있는 多環芳香族 炭化水素를 分離分析하였다. 이들은 比較的 安定하기 때문에 時 化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GC에 의한 多環芳香族 炭化水素 分析은 産油地 判別 및 油種을 識別할 수 있는 油脂紋法의 한 方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