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Spinal Cord Stimulation for Intractable Visceral Pain Due to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 Lee, Kang Hun;Lee, Sang Eun;Jung, Jae Wook;Jeon, Sang Yoo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8권1호
    • /
    • pp.57-60
    • /
    • 2015
  •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SOD) is a syndrome of chronic biliary pain or recurrent pancreatitis due to the functional obstruction of the pancreaticobiliary flow. We report a case of spinal cord stimulation (SCS) for chronic abdominal pain due to SOD.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cholecystectomy and had suffered from chronic right upper quadrant abdominal pain. The patient had been diagnosed as having SO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opioid analgesics and nerve blocks, including a splanchnic nerve block. However, two years later, the pain became intractable. We implanted percutaneous SCS at the T5-7 level for this patient.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s for pain and the amount of opioid intake decreased. The patient was tracked for more than six months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s. From our clinical case, SCS is an effective and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for SOD. Further studies and long-term follow-up ar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and the limitations of SCS on SOD.

오디 괄약근 기능 이상으로 인한 소아의 재발 급성 췌장염 1예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Associated with Sphincter of Oddi Dysfunction in a Child)

  • 최병호;박선민;김호각;김정미;홍석진;김정옥;조민현;최병호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1권2호
    • /
    • pp.193-197
    • /
    • 2008
  • 저자 등은 원인이 확실하지 않았던 재발성 급성 췌장염의 14세 소아 환자에서 오디 괄약근 운동 검사로 오디 괄약근 운동 이상을 진단하고, 내시경 췌관 유두 괄약근 절개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 PDF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진단에 있어서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RCP)의 유용성 (Usefulness of MRCP in the Diagnosis of Common Bile Duct Dilatation caused by Non-stone or Non-tumorous Conditions)

  • 정재준;양희철;김명진;김주희;이종태;유형식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2호
    • /
    • pp.129-136
    • /
    • 2002
  • 목적 : 총담관 확장을 유발하는 원인 중 결석과 종양을 제외한 여러 원인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MRCP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ERCP와 MRCP를 모두 시행받은 환자 26명 (남:여=15:11, 평균연령 62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12명은 역동적 MRCP를, 10명은 조영증강 MRI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총담관, 간내 담도, 췌관 등의 확장 정도, 간내 담도 결석, 췌장 가성낭종, 유두부의 부종이나 결절성 종대 등을 관찰하였다. 총담관은 T2-강조 관상영상에서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경우 7 mm 이상, 절제술을 받은 경우 10 mm 이상을 비정상적인 확장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총담관 평균 직경은 12.7mm(n=21, 9-19 mm)였고,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평균 직경은 13.0 mm(n=5, 10-15mm)였다(p〉0.05). MRCP에서 담관염 11명(42.3%), 만성 췌장염 8명(30.8%), 원위부 총담관 협착 6명(23.1%), 팽대부 주위 게실 3명(11.5%), Vater 팽대부 협착, 오디 괄약근 기능장애, 췌장 두부의 국소적 췌장염이 각각 2명 (7.7%), 유두염, 췌장 두부 가성낭종에 의한 총담관 확장, 총담관 내 회충이 각각 1명(3.8%) 있었다. 췌관의 확장은 10명(38.5%)에서 보였고, 십이지장 게실은 3명(11.5%)에서 관찰되었다. 역동적 MRCP(n=12)에서 2명(16.7%)은 일반 MRCP에서 보이지 않던 원위부 총담관이 관찰되었고, 조영증강 MRI를 시행한 10명 중 1명 (10.0%)만이 유두염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원인을 찾는데 있어서 MRCP는 총담관 원위부 협착 및 만성 췌장염, 역동적 MRCP를 이용한 생리적 총담관의 확장, 조영증강 MRI 를 통한 담관염 및 담관 외 병소의 발견 등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