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es Rarity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9초

전국단위의 포유류 생물다양성우수지역 분석 연구 (A nationwide analysis of mammalian biodiversity hotspots in South Korea)

  • 김지연;권혁수;서창완;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6호
    • /
    • pp.453-465
    • /
    • 2014
  • 생물다양성우수지역은 종다양성이 가장 우수한 지역 또는 훼손될 우려가 가장 큼에도 생물상이 가장 다양한 지역으로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최적지를 선택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포유류를 대상으로 전국단위에서 종풍부도, 희귀도를 분석하여 생물다양성우수지역을 파악하는 것이다. 대상종은 멸종위기 포유류 4종, 일반종 11종 등 총 15종을 선정하였다. 지형, 거리, 식생구조 등을 환경변수로 설정하였고, Maxent(Maximum Entropy Method)를 활용하여 종분포모형을 구축하였다. 종풍부도와 종희귀도를 통해 생물다양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종풍부도를 분석한 결과, 멸종위기 포유류를 대상으로 할 때에는 높고 가파른 산림이 생물다양성우수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종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저지대 산림에서 종풍부도가 높았다. 두 번째, 멸종위기 포유류를 대상으로 할 때에는 희귀도와 종풍부도가 유사한 공간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전체종을 대상으로 할때에는 저지대 산림 뿐만 아니라 고지대 산림에서도 다소 희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종풍부도와는 다소 다른 공간분포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추후 생물다양성 평가, 서식지 보전, 생태축 구축, 보호지역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의 조류자료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우수지역 분포 연구 (Distribution Patterns of Biodiversity Hotspot using Birds Data from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South Korea)

  • 권혁수;이윤경;유승화;김동원;김장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81-89
    • /
    • 2020
  • The grid-based analysis is useful for conservation planning, species distribution study, education, and others'. On the west coast of Korea, it was high in species richness, rarity and endangered species richness.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coordinated species data can be applied to develop species distribution models due to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otal species richness and coordinated species 0richness. In hot spot analysis, high species richness areas are concentrated around the west coast, while species richness is relatively low in Gangwon and Gyeongnam. Endangered species and rarity were also concentrated on the west coast and islands. Through the complementary analysis, we selected areas which are efficient to protect species; protecting more species while minimizing the conservation effort. Our result demonstrated that simply protecting Baengyueong island, Gageo island and a part of Jeju island can conserve over 50% of bird species in South Korea. However, the validity of our analysis was limited by the absence of data from national parks, and Baekdudaegan protected areas as well as inconsistent capacity among field researchers.

어류군집의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수변지역 연결성 평가 (Riparian Connectivity Assessment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of Fish Assembly)

  • 정승규;이동근;류지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26
    • /
    • 2015
  • 하천 코리더는 종의 국소적 소멸을 예방하도록 분산과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수변의 치수, 친수, 이수와 같은 기능을 중시한 결과 수중보, 댐과 같은 인공구조물 설치로 하천 코리더의 연결성을 약화시켜왔다. 본 연구는 강원도 횡성의 섬강을 대상으로 어류의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종분포모형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수변지역의 연결성을 종풍부도와 희귀도로 평가하는 것이다. 현장조사 결과 출현종수는 38종 7,061개체로 나타났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분포모형 결과 어류의 종풍부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유속과 급여울, 하천의 폭과 수변의 면적으로 선택되었으며, 모형의 정확도 검증 결과 상관계수는 0.83, 절대평균오차는(MAPE)는 19.2%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희귀도가 낮은 지점은 수로가 직강화된 전천과 횡성군 시가화지역 인근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지점은 하천 폭이 넓고 섬강과 전천이 합류하는 지점과 하도습지가 있는 하류지점으로 분석되었다. 연결성이 낮은 지점은 수변의 완충림이 거의 없고 보(洑)가 설치되어 있는 지점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지점은 하천 주변에 농경지 및 산림과 같은 자연토지피복이 우점하고 수변의 모래/자갈의 비율이 높은 곳이 연결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는 복원을 위한 가이드로 기존 수변 시설물을 개선하고 추가하여 연결성을 강화시키는데 좋은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생태계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평가지표 선정 및 적용 연구 - 지리산 및 북한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Evaluation Criteria of Biodiversity in Ecosystem Protected Areas - In Mt. Jiri and Mt. Bukhan National Parks -)

  • 강혜인;강규석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2호
    • /
    • pp.114-123
    • /
    • 2018
  •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생물의 서식처가 되는 주요 지역을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의 보존 및 확보 전략 수립에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보호지역간 생물다양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생태계에 해당하는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선정하였고, 이를 지리산 국립공원과 북한산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 비교에 적용하였다. 평가지표를 선정하기 위해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언급된 빈도가 높은 지표들과 산림 생물다양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림구조를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된 평가지표는 총 7개로 종다양도, 종풍부도, 균등도, 희귀성, 교란종, 고유생물자원 및 산림구조이다. 지리산 국립공원과 북한산 국립공원에서 종다양도는 3.492와 2.943, 종풍부도는 8.998과 9.793, 균등도는 0.849와 0.680, 희귀성지수는 11.976과 10.783, 교란종지수는 0.214과 0.357으로 나타났다. 두 국립공원 모두에서 고유생물자원은 풍부하게 나타났다. 산림구조는 다양한 임상을 보이고 안정적인 4층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수관울폐도는 지리산 국립공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평가지표에서 지리산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이 북한산 국립공원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first record of the rare fern Pteris griffithii (Polypodiales: Pteridaceae: Pteridoideae) in the Bhutan Himalayas

  • DORJI, Rinchen;DEMA, Sangay;NIROLA, Mani Prasad;GYELTSHEN, Chok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4-28
    • /
    • 2022
  • Pteris griffithii Hook., one of the rarest fern species on the Indian subcontinent, is reported from Bhutan for the first time. The identity of this species was confirmed through morphological determination at the National Herbarium (THIM) of the National Biodiversity Centre (NBC) of Bhutan. It was found only in one location, in Gyelpozhing in eastern Bhutan, at an elevation of 521 m a.s.l. on 10 January 2016. Given that a very limited study of this species was conducted, the knowledge baseline with regard to its distribution is poor. It is also reported that this species has not been found for several years. The species is also considered to be very rare or critically endangered in some countries; however, there are no assessments on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Red List for this particular species.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baseline information considering its rarity and data deficiency. This species is also reported from the adjacent neighboring Indian state of Arunachal Pradesh as very rare, and also from Myanmar; however, confirmation of its presence in China is not clear at this time. Therefore, considering its data deficient status, we attempt to document it scientifically to create a knowledgebase pertaining to this particular species. Concurrently, this species merits further research to understand its distribution patterns in Bhutan and any related anthropogenic threats.

DNA Barcoding of Isaacsicalanus paucisetus (Copepoda: Calanoida: Spinocalanidae) from the Hydrothermal Vent in the North Fiji Basin, Southwestern Pacific Ocean

  • Park, Chailinn;Lee, Won-Kyung;Kim, Se-Joo;Ju, Se-Jo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2호
    • /
    • pp.182-184
    • /
    • 2020
  • Isaacsicalanus paucisetus Fleminger, 1983, a monotypic species of the family Spinocalanidae Vervoort, 1951, was first reported from a hydrothermal vent field in the East Pacific Rise off the mouth of the Gulf of California.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mtCOI) DNA barcodes are considered a useful tool to assist traditional taxonomy and species discrimination in calanoid copepods. However, the mtCOI DNA barcodes of I. paucisetus have not been reported due to the species rarity and the difficulty of sampling. In this study, we firstly determined the mtCOI DNA barcodes of the I. paucisetus newly collected from a hydrothermal vent in the North Fiji Basin of the southwestern Pacific. All mtCOI DNA barcodes of I. paucisetus were identical and intraspecies variations of spinocalanid species were 0.0-3.0%. Interspecies and intergeneric variations were 13.4-25.2% and 16.7-24.1%, respectively. The DNA barcodes of I. paucisetu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axonomic relationships of widespread spinocalanid species.

우리나라에서 보전우선순위를 위한 입지 및 식물종 선정의 평가기준 : 개관 (Evaluation Criterias of Site and Plant Species for Conservation Priorities in Korea : An Overview)

  • Yong-Shik Kim;Michael Maunder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26
    • /
    • 1994
  • 우리나라에서 앞으로 적용가능한 식물의 서식처 및 종의 선정에 대한 보전평가기준 특히 식물적 가치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1969년부터 1986년 사이에 발표된 야생동물의 보전가치의 평가에 관련된 논문에 발표된 기준을 재정리하였다. 희귀성, 다양성, 크기 및 정도 및 자연성 등은 대부분의 논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준이었다. 위와 같은 내용을 우리나라의 상황과 비교하여 서식처의 크기를 고려하여 16개의 요인을 정리하였다. 인간의 간섭, 생태적 분쇄성 및 희귀성 등은 서식처의 규모가 비교적 좁은 경우에 고려되어야 할 요인인 반면, 지역, 생태적 및 지리적 단위내에서의 다양성 위치 및 자연성 등은 입지의 규모가 큰 지역에 고려되어야 할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유일성, 전형성, 연구 및 교육적 가치 등은 규모의 크기 여하를 불문하고 고려되어야 할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본 기준이 우리나라에서 실제로 적용되어 앞으로 적용가능한 평가기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기는 하지만, 장차 우리나라에서 마련되어야 할 보호지역 및 특정식물의 평가기준을 위한 지침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First Record of the Pacific Fanfish Pteraclis aesticola (Jordan and Snyder, 1901) in the Tropical Eastern Pacific

  • Aguero, Jose De La Cruz;Gomez, Victor Manuel Cota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3권3호
    • /
    • pp.161-164
    • /
    • 2008
  • One specimen of Pteraclis aesticola was collected off San Jose del Cabo, Baja California Sur, Mexico ($22^{\circ}54'N$, $109^{\circ}45'W$), in March 2007. Present record is the first reported occurrence of the species in the Tropical Eastern Pacific biogeographic region (Gulf of California to southern Ecuadorian waters). Its large fan-like anal and dorsal fins and its counts of fin rays and vertebrae can distinguish the Pacific fanfish from the other species in the genus. This fish may have not yet been recorded in the region because its presence has been overlooked in the past because of rarity and lack of commercial value.

한라산 자생 왕벚 및 추정양친에 관한 연구 (II) (Wild Prunus yedoensis and its putative parent in Mt. Halla (II))

  • 한창열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8권1_2호
    • /
    • pp.11-18
    • /
    • 1965
  • Since Taquet's first discovery of wild P. yedoensis at Mt. Halla, Korea, in 1908, its morphological chracteristics and question of origin of cultivated yedoensis have given controversies to the botanists. Takenaka, through his experiments on the hybridity of cultivated P. yedoensis, recently holds the opinion that P. yedoensis might have originated in Izu peninsula, Japan. The author presents the summarized report on the wild P. yedoensis and its putative parents based on his 2 years' investigated carried out at Mt. Halla during his breeding experiment of genus Prunus. The species of cherry tree used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were identified by Prof. Mankyu Park and Mr. Jonghyu Pu, Korean taxonomists. 1) Wild cherry trees which grow wild in Mt. Halla and whose blooming season is April are mostly P. subhirtella var. pendula form. ascendens and P. donarium P. yedoensis is rare in number, around 10 individuals, having been found in a half century. 2) Individuals of wild yedoensis are variable in some of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is, also, true in other species of Prunus. 3) Wild yedoensis whose vigorous growth, sterility, and rarity in number suggest hybrid origin, has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 subhirtella and P. donarium. 4) Due to the abnormal weather of the island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havbitats, some of the early-blooming subhirtella and late-blooming donarium would bloom at the same time, giving these two species the changes to cross. 5) Wild yedoensis is slightly different in some of its quantitative characters from cultivated species.

  • PDF

Recent changes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of Soda Lake Chitu, Ethiopia, in response to some environmental factors

  • Demtew Etisa;Yiglet Mebrat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7권1호
    • /
    • pp.23-34
    • /
    • 2024
  • While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spatial variation of soda lake Microalgae is important to limnological studies, little information was reported from the Ethiopian Rift Valley Lake, Lake Chitu.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ominant Microalgae taxa in Lake Chitu, Ethiopia. The collection of samples and in situ measurements of some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recorded at three sites for one cycle in November 2021. Fourteen species or genera of Microalgae were identified. Among those, Bacillariophyta were the most important with regard to species abundance and the rarest in species richness. Cyanophyta were the second-most important group in terms of species richness and rarity. Comparatively, all microalgae taxa were rare at both the anthropogenic areas (AA) and the flooding area (FA), which could be mainly due to intensive human and animal intervention and associated with extreme turbidity. Among Cyanophyta, Chroococcus minutus, Microcystis aeruginosa, and Spirulina platensis/fusiformis were predominant at both AA and FA, revealing their adaptation to less clear water and pollution. But S. platensis/fusiformis attained the highest abundance at the FA, indicating their preference for water in a highly nutrient-enriched area. We concluded that the spatial variation of microalgae diversity in relation to water quality parameters has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microalgae as a baseline indicator of water quality assessment tools in lak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