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o-temporal data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26초

모바일 환경에서 양방향 동기화 시스템을 위한 회복 기법의 설계 (Design of the Recovery Scheme for the Bidirectional Synchronization System on Mobile Environments)

  • 김동현;김홍기;조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105-1110
    • /
    • 2011
  • 모바일 클라이언트에서 갱신된 시공간 데이터는 서버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동기화되고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서비스 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기나 무선 네트워크는 오류에 매우 취약하다. 만약 동기화 도중에 오류가 발생하면 동기화 대상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동기화 도중의 오류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회복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회복 기법은 모바일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지역저장장치에 로그 레코드를 기록하고 오류가 발생하면 저장된 로그 레코드를 이용하여 회복한다. 그리고 제안한 회복 기법을 위한 회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계층형 시간적 메모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스트림 데이터의 연속 다중 예측 (Continuous Multiple Prediction of Stream Data Based on Hierarchical Temporal Memory Network)

  • 한창영;김성진;강현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권1호
    • /
    • pp.11-20
    • /
    • 2012
  • 스트림 데이터는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일련의 값들로 나타난다. 이러한 스트림 데이터의 특성상 다양한 시간 간격의 기준에 따라 계속적으로 그 동향이 달라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트림 데이터의 추세 예측은 간격이 갱신될 때 마다 연속적인 환경에서 여러 간격들을 기준으로 동시에 이루어지는 연속 다중 예측(Continuous Multiple Prediction, CMP)이 지원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스트림 데이터의 연속 다중 예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신피질 학습 모델인 계층형 시간적 메모리(Hierarchical Temporal Memory, HTM) 모델을 확장하여 연속통합 HTM(Continuous Integrated HTM, CIHTM)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HTM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존 노드들 외에 새롭게 이동 벡터 파일 센서, 시공간 분류 노드, 다중 통합 노드를 고안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바탕으로 CIHTM 네트워크의 학습과 추론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Desktop program production

  • Enami, Kazumasa;Fukui, Kazuo;Yagi, Nobuyuki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6년도 Proceedings International Workshop on New Video Media Technology
    • /
    • pp.77-81
    • /
    • 1996
  • In order to conform to the needs of effective program production in multimedia era, we are studying Desk Top Program Production system. With the DTPP, users can easily produce multimedia program including video, sound, and ancillary data, and freely handle video images synthesizing video components retrieved from video database. This paper describes the new program production system, DTPP and its key technologies such as cooperative program production via multimedia network, indexing and utilization of attribute information of images, and image segmentation and spatio-temporal editing.

  • PDF

시계열 등온선 자료에서의 SAR로 관측된 내부파의 추적 연구 (Tracking of Internal Waves Observed by SAR in the Time Series of Temperature Profile Data)

  • 김태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5-163
    • /
    • 2009
  • 여름철 우리나라 서해 연안을 관측한 SAR영상에서 다수의 내부파가 관측되고 있으며 이들은 동지나해에서 관측되는 내부파들에 비하여 소규모이며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내부파들은 여름철 표층 해수의 혼합을 발생시킴으로서 해양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대륙붕에서의 퇴적물 이동 및 음파의 전달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소로서 서해의 물성 특성 연구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내부파의 특성 분석을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정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현장 관측과 위성 관측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 5월 29일 현장 관측과 동시에 획득된 SAR영상을 분석하고 영상에 나타난 내부파와 동일한 내부파를 시간에 따른 수심별 등온선의 변화에서 분석 추적하였다.

우리나라 여름철 극한강수현상의 시·공간적 특성(2002~2011년)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Summer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2002~2011)

  • 이승욱;최광용;김백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3-4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름철 극한강수현상 발생의 시 공간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최근 10년간(2002~2011년) 기상청 산하 전국 약 360여개 방재기상관측장비 및 종관기상관측장비의 일강수량 자료이다. 일강수량 80mm 이상의 극한강수현상과 일강수량 극값은 여름장마기(6월 하순~7월 중순)에 전국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장마전선이 북상하는 장마휴지기(7월 하순~8월 초순)에는 경기북부~강원 영서 북부 지역에, 장마전선이 남하하는 늦장마기(8월 중순~9월 초순)에는 경기도~강원 영서 남부 지역 및 지리산, 한라산 주변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지역별로 극한강수현상의 발생빈도와 극값 분포를 살펴보면, 종관규모인 장마전선의 위치뿐만 아니라 해발고도와 사면의 방향성과 같은 지형요소와 기류의 유입 등이 극한기후현상의 시 공간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각 지역과 여름철 시기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극한강수현상의 발생빈도와 강도를 고려하여 지역별로 차별화된 호우 피해 저감 대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생체 기반 시각정보처리 동작인식 모델링 (A Bio-Inspired Modeling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for Action Recognition)

  • 김진옥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8호
    • /
    • pp.299-308
    • /
    • 2014
  • 신체 동작, 얼굴 표정과 같이 아주 복잡한 생체 패턴을 인식하고 분류하는 인간의 능력을 모방한 정보처리 컴퓨팅 관련 연구가 최근 다수 등장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비전 분야에서는 인간의 뛰어난 인지 능력 중 상황정보 없이 시각시퀀스에서 동작을 분류하는 기능을 통해 시공간적 패턴 코딩과 빠른 인식 방법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비디오 시퀀스상의 동작인식에 생물학적 시각인지과정의 영향을 받은 생체 기반 컴퓨터비전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안 모델은 이미지 시퀀스에서 동작을 검출하고 시각 패턴을 판별하는 데 생체 시각처리과정의 신경망 구조 단계를 반영하였다. 실험을 통해 생체 기반 동작인식 모델이 인간 시각인지 처리의 여러 가지 속성을 고려했을 뿐 아니라 기존 동작인식시스템에 비해 시간 정합성이 뛰어나며 시간 변화에 강건한 분류 능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제안 모델은 지능형 로봇 에이전트와 같은 생체 기반 시각정보처리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남한의 백악기-제3기초 화강암과 마그마 혼합 : 시공간적 변화와 지구조적 의미(다중 슬랩 윈도우 모델) (Cretaceous to Early Tertiary Granites and Magma Mixing in South Korea : Their Spatio-temporal Variations and Tectonic Implications (Multiple Slab Window Model))

  • 김종선;김건기;좌용주;손문
    • 암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3-216
    • /
    • 2012
  • 한반도 남부의 백악기-제3기초 화강암의 암석학적 특징과 연대측정 자료들을 종합하여 시공간적 변화를 반영하는 지구조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여러 암석기재와 지화학적 연구결과로부터 이들 화강암류는 대륙 연변부에서 해양지각의 섭입에 의해 형성된 마그마 기원으로 지각 천처에서 정치된 특징을 보인다. 또한 화강암류 내에는 고화과정 중 맨틀에서 유래한 염기성 마그마의 주입에 의한 마그마 혼합을 지시하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MME들이 분포한다. MME의 분포와 화강암의 연령자료를 함께 살펴보면 시공간적으로 일정한 시기의 것들이 일정한 지역에 한정되어 분포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후기 백악기의 이자나기-태평양판의 해령섭입으로 인한 다중 슬랩 윈도우 모델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시공간 컨텍스트를 이용한 모바일 앱 추천 (Mobile App Recommendation using User's Spatio-Temporal Context)

  • 강영길;황세영;박상원;이수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9호
    • /
    • pp.615-620
    • /
    • 2013
  •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앱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에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앱을 매번 찾아야 하는 문제점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앱 탐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시간 및 장소에 따른 사용자별 앱 사용 로그를 수집하고, 이를 학습하여 사용자의 상황 정보에 따라 최적의 앱 추천 리스트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앱 로그로부터 요일, 시간대, 주중주말 여부 등의 시간 속성과 주소명, POI 등의 장소 속성을 학습하여 최대사용빈도기반 예측 모델, Naive-Bayesian 예측 모델, SVM 예측 모델 등의 3가지 예측 모델을 생성한다. 최적의 예측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 다양하게 조합된 학습 속성들을 학습한 예측모델들의 추천 정확도 비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단일 예측 모델의 성능 개선을 위한 하이브리드 추천 방법을 제안한다.

하계 한국동해안 냉수대 발생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Study on the Cold Mass Occurrence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ummer)

  • 서영상;황재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0호
    • /
    • pp.945-953
    • /
    • 2005
  • Daily time series of longshor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ata at 3 stations, sea surface SST data at 58 stations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from 2001 to 2005 were used in order to study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he upwelling coastal cold water occurred in summer season. When the cold water occurred, SST has been decreased more than $-5^{\circ}C$ in a day. The cold water occurred frequently in the 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such as Ulgi, Kampo, Jukbyun. Daily variations of cold water temperature were quantified using remote control buoy system at Kijang in the southeastern coastal water from July to August in 2004. Hourly variations of SST occurred around $\pm3^{\circ}C$ when cold water disappeared at Kijang. There wer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of East Korean Warm Current, North Korean Cold Water and the scale of spatio-temporal cold water variations in summer season.

통계적 공간상세화 기법의 시공간적 강우분포 재현성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Reproducibility for Spatio-temporal Rainfall Distribution Downscaled Using Different Statistical Methods)

  • 정임국;황세운;조재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5권1호
    • /
    • pp.1-13
    • /
    • 2023
  • Various techniques for bias correction and statistical downscaling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related to the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and error of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required in various applied research fields including agriculture and water resource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ree different statistical dowscaling methods (i.e., SQM, SDQDM, and BCSA) provided by AIMS were summarized, and climate change scenarios produced by applying each method were comparatively evaluated. In order to compare the average rainfall characteristics of the past period, an index representing the average rainfall characteristics was used, and the reproducibility of extreme weather conditions was evaluated through the abnormal climate-related index. The reproducibility comparison of spatial distribution and variability was compared through variogram and pattern identific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using the average value of the index of the past period. For temporal reproducibility comparison, the raw data and each detailing technique were compared using the transition prob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by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method. Through comparison of statistical techniques, we expect tha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detailing technique can be represented, and the most appropriate statistical detailing technique can be advised for the relevant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