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design network analysis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초

개방형 BIM 기반 공간네트워크 분석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patial Network Analysis Tool based on Open BIM Technologies)

  • 박영섭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7-16
    • /
    • 2012
  • One distinguishing feature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the objectification of spatial elements independently, which makes it easy to represent spatial network.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spatial network analysis tool based on open BIM technologies.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 object model of spatial network with nodes and links and a process model from construction to visualization were established. A prototype system implementing the proposed models, named SNAT(Spatial Network Analysis Tool), was developed in Java platform with using its open source packages. SNAT can create a spatial network from IFC-BIM model, calculate the indices of spatial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e it with the representing types(map, graph, matrix and table).

도시 공간분석을 위한 지상·지하 공간 네트워크 (Integrated Ground-Underground Spatial Network for Urban Spatial Analysis)

  • 박근송;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4호
    • /
    • pp.69-7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d verify a spatial network construction method that integrated roads and subway lines to improve the predictability of the urban spatial analysis model. The existing axial map for urban spatial analysis did not reflect the subway line that serves as an important moving space in modern cities. To improve this axial map, proposed a Ground-Underground Spatial Network by integrating the underground spatial network with the axial map. As a result of the integration analysis, the Ground-Underground Spatial Network(GUSN) were similar to the movement frequency. Correlation of GUSN was 0.723, which showed higher explanatory power than correlation coefficient of 0.575 in axial map.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theoretical basis for constructing spatial network in urban space analysis with subway.

Analysis of Multiple Network Accessibilities and Commercial Space Use in Metro Station Areas: An Empirical Case Study of Shanghai, China

  • Zhang, Lingzhu;Zhuang, Yu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49-56
    • /
    • 2019
  •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Shanghai Metro network, this paper attempts to establish an analytical approach to evaluate the impact of multiple transport network accessibilities on commercial space use in metro station areas. Ten well-developed metro station areas in central Shanghai are selected as samples. Commercial space floor area and visitors in these areas are collected. Using ArcGIS and Spatial Design Network Analysis, the Shanghai Metro network and road network are modeled to compute diversified transport accessibilities. Evidence from land use and commercial space floor area within a 0-to-500-meter buffer zone of stations is consistent with location and land-use theory: commercial land use is concentrated closer to stations. Correlation analysis suggests that hourly visitors to the shopping mall are mainly influenced by metro network accessibility, while retail stores and restaurants are affected by both metro and pedestrian accessibility.

창조산업의 공간적 특성과 기관별 네트워크구조 변화 분석 : 디자인산업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nter-organizational Network Structure Change in the Creative Industry: Focused on Design Industry)

  • 최해옥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6-130
    • /
    • 2012
  • 성장동력산업의 육성 정책에 따라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을 광역 경제권단위에서 육성하는 정책이 진행되고 있다. 이 분석의 목적은 창조산업의 대표적 분야인 디자인산업을 발전시키고 있는 지식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과 기관별 네트워크 구조를 도출하고, 2000년에서 2010년까지의 시간적 변화에 초점을 두어 분석함으로서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한다. 먼저 전국 디자인산업의 변화와 시도별 광역별 성장을 살펴보고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기관별 네트워크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산업과 관계된 공동연구 데이터를 가공하여 구조적, 공간적, 시간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판단으로 공간적 특성과 기관별 네트워크 구조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그룹분석에 활용되는 지표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밀도, 링크수, 집중도를 기준으로 다른 그룹과 상대적으로 변화하는 하는 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GIS 공간분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통합을 위한 WebGIS 구현 (Implementation of WebGIS for Integration of GIS Spatial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 최효석;염재홍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5-107
    • /
    • 2014
  • 일반적으로, 공간 도메인의 공간자료는 지형적인 현상을 도형적으로 표현하고 비공간 도메인의 속성자료는 공간 자료의 특징을 서술적으로 설명한다. GIS에서 속성자료를 이용한 분석은 조건을 이용한 검색이나 통계분석에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그래프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기법은 인문 사회적 현상을 분석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GIS의 비공간적인 속성자료 처리에 적용하여 분석기능을 다양하게 하였다. 또한, 공간 데이터베이스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GIS 공간분석과 비공간적 네트워크 분석의 통합분석 방법을 설계하였고, 이를 WebGIS를 구현하여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현된 WebGIS를 상수도 보급 대상 가구 선정 업무와 구제역 질병의 2차 전파 분석 업무에 적용하여 실험 및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구현된 시스템의 통합 분석을 통해 공간적인 요인 및 사회적 친밀도와 같은 비공간적인 요인을 고려한 방역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질병 전파의 효과적인 차단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사회-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학교설계 사용자 참여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중,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for School using Socio-Spatial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the middle and high school in Seoul -)

  • 신두식;조태호;전 영 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0호
    • /
    • pp.19-3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efficiently capture the opinions of students who are main users in the planning, planning and design of school facilities. There are many criteria for determining good schools, but in this stud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the main users as student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etwork and the actual spatial structure (network) created by the hope of students' use of school space, and the direction to overcome the differences. After surveying students' opinions about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space and their desire to use school space by limiting the survey target to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the 'social-space network analysis' was recently established in the social science fiel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oximity of space and space desired by students in the school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 geographical conditions, school districts, and the status of the current facilitie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specialized for each school was found.

개방형 GIS 컴포넌트에서의 공간분석 컴포넌트 연동 (Interoperability of OpenGIS Component and Spatial Analysis Component)

  • 민경욱;장인성;이종훈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49-62
    • /
    • 2001
  •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서비스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은 최근 네트워크 및 분산환경의 기술개발과 더불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정보시스템은 컴포넌트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OGC(OpenGIS Consortium)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한 다양한 사양과 토픽을 제시하고 있다. OGC의 사양을 충족하는 개방형 지리정보시스템은 다양한 컴포넌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컴포넌트 기반의 시스템에 추가적인 요소로써 공간분석 컴포넌트를 구현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공간분석기능은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전체 시스템의 성능적, 기능적 평가 기준이 되기도 한다. OGC에서 제시하는 기본 공간데이터 모델인 Geometry 모델은 기본 기하공간객체를 관리하는 모델이며, 다양한 분석 컴포넌트들의 연동을 위하여 확장이 필요하다. 즉 기본 기하공간데이터 모델뿐 아니라, 기본 위상공간데이터 모델을 제공해야 하며 또한 이러한 기본 위상공간모델을 다양한 분석기능에 맞게끔 확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GIS컴포넌트의 전체 아키텍쳐와 이와 연동되는 분석 컴포넌트로써 네트?p 분석, TIN 분석 컴포넌트에 대하여 살펴보고 또한 기본 기하 데이터 모델인 OGC Simple Feature Geometry의 확장과 연등방법에 대하여 논의해 볼 것이다.

  • PDF

GIS를 이용한 상수관로 설계지원 기법 연구 (A Study on Design Support Technique for Water Distribution Network using GIS)

  • 조효섭;최승철;이기하;조복환;김정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3-116
    • /
    • 2005
  • 최근 GIS를 이용한 관망 DB화가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관망해석 모형과의 연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 주된 이유는 이들 DB가 관망해석 모형에서 요구하는 전문적인 공간정보의 작성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배수관망도의 작성과 이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공간자료를 구축할 수 있는 GIS 기법 적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관망 수리해석 모형구축에 필요한 제반 공간자료를 GIS를 이용하여 손쉽게 작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관망해석모형의 계산결과를 활용하여 상수관로 위치의 공간적인 적정성(노후도 분석, 표고별 수압분포, 수용가 관리를 위한 유량공급의 분석 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새그 비를 고려한 케이블 네트 구조물의 역학적 거동 (Mechanical Behavior of Cable Net Structures Considering Sag Ratio)

  • 박강근;이동우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7-58
    • /
    • 2016
  • Cable network system is a flexible lightweight structure which curved cables can transmit only tensile forces. The weight of cable roof dramatically can reduce when the length becomes large. The cable network system is too flexible, most cable systems are stabilized by pretension forces. The tensile force of cable system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ag ratio and pretension forces. Determining initial sag ratio of cable roof system is essential in a design process of cable structures. Final sag ratio and pretension depends on initial installed sag and on proper handling during installation. The design shape of cable system has an affect on the sag and pretension, and must be determined using well-defined design philosophy. This paper is carried out the comparative data of the deflection and tensile forces on the geometric non-linear analysis of cable network systems according to sag ratio. The study of cable network system is provided to technical informations for the design of a large span cable roof, analytic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other researchers. Structural nonlinear analysis of systems having cable elements is relatively complex than other rigid structural systems because displacements are large as a reason of flexibility, initial prestress is applied to cables in order to increase the rigidity, and then divergence of nonlinear analysis occurs rather frequently. Therefore, cable network systems do not exhibit a typical nonlinear behavior, iterative method that can handle geometric nonlinearities are necessary.

MIMO Ad Hoc Networks: Medium Access Control, Saturation Throughput, and Optimal Hop Distance

  • Hu, Ming;Zhang, Junshan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6권4호
    • /
    • pp.317-330
    • /
    • 2004
  •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utility of recently discovered multiple-antenna techniques (namely MIMO techniques) for medium access control (MAC) design and rout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Specifically, we focus on ad hoc networks where the spatial diversity technique is used to combat fading and achieve robustness in the presence of user mobility. We first examine the impact of spatial diversity on the MAC design, and devise a MIMO MAC protocol accordingly. We then develop analytical methods to characterize the corresponding saturation throughput for MIMO multi-hop networks. Building on the throughout analysis, we study the impact of MIMO MAC on routing. We characterize the optimal hop distance that minimizes the end-to-end delay in a large network. For completeness, we also study MAC design using directional antennas for the case where the channel has a strong line of sight (LOS) component. Our results show that the spatial diversity technique and the directional antenna technique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mobile ad hoc networks significa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