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Variables

검색결과 857건 처리시간 0.023초

지역 단위 조사연구와 공간정보의 활용 : 지리정보시스템과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GIS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in the Survey Research of Small Areas)

  • 조동기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0권3호
    • /
    • pp.1-19
    • /
    • 2009
  • 본 연구는 조사연구의 과정에서 활용 가능한 공간분석의 유용성을 지리정보시스템(GIS)과 공간적 이질성을 고려하는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GWR)을 통해 탐색한다. 많은 사회현상은 공간적 차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GIS, GPS 단말장치, 온라인 위치기반 서비스의 발달로 위치정보의 수집과 활용이 용이해짐에 따라 조사연구의 과정에서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분석이 이전보다 훨씬 더 용이해지고 있다. 관찰의 독립성과 오차의 동분산성을 가정하는 전통적 회귀분석은 공간적 의존성을 분석하지 못한다. GWR 분석은 속성정보뿐만 아니라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공간분석 기법으로서, 공간적으로 근접한 사례들은 유사성을 가진다는 가정에 따라 지리적 가중함수를 활용한다. A 기초자치단체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 자료를 공간정보와 결합시킨 후 간단한 행정만족도 모형을 추정해 본 결과,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은 전통적 회귀분석에 비해 공간적 자기상관의 문제를 극복하고 모형의 부합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WR 결과를 GIS와 결합시켜 독립변수 효과의 공간적 변이를 시각화시켜 봄으로써, 변수들의 효과와 관계를 더 자세하고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서 이 기법은 특정 변수의 효과가 예외적으로 낮거나 높은 지역을 더 쉽게 밝혀냄으로써 정책방안을 모색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on the Temporal-spatial Gait Parameter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 Oh, Dong-Gun;Yoo, Kyung-Tae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7-4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on temporal-spatial gait and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9 hemiplegic stroke patients (57.7 ± 10.3). The patients walked at a self-controlled speed in four states: (1) walking without FES (non-FES), (2) walking with FES on the gluteus medius in the stance phase (GM), (3) walking with FES on the common peroneal nerve and tibialis anterior in the swing phase (PT), (4) walking with both GM and PT. A GAITRite system, Timed-Functional Movements battery, and Timed UP and Go test were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all variables of the GM+PT, GM, and PT states compared to the non-FES state (p < .05).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GM+PT state compared to GM and PT states (p < .05). Moreover,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noted in the single support time on the affected side, backward walking 10ft, and side stepping 10ft on the affected side of the GM state compared to the PT state (p < .05).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stride length on the affected side and side stepping 10ft on the unaffected side of the PT state compared to the GM state (p < .05). CONCLUSION: FE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temporal-spatial gai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종합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과 외래 의료이용 분석 (A Study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to the Psychiatry Department in General Hospital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Visit of Mental Patients)

  • 동재용;이광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5-323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was purposed to analyze the effect of spatial accessibility to the psychiatry department in general hospital on the outpatient visit of mental patients. Methods: Data was provided from the Statistics Korea and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and Korea Transport Institute in 2015. The study regions were 103 administrative regions such as Si and Gu. The 103 regions had at least one general hospitals with a psychiatry department.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 of mental patients in regions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Spatial accessibility to mental general hospital was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Control variables included such as demographic, economic, and health medical factors. This study used network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Network analysis by ArcGIS ver. 10.0 (ESRI, Redlands, CA, USA) was used to evaluate the average travel time and travel distance in Kore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AS ver. 9.4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Results: Travel distance and ti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in mental patients in general hospital. Average travel time and travel distance had negative effects on the number of visits. Variables such as (number of total population, percentage of aged population over 65, and number of mental general hospita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number of visit in mental patients. Conclusion: Health policy makers will need to consider the spatial accessibility to the mental healthcare organization in conducting regional health planning.

하천망분석도(KRF)의 활용성 증대를 위한 공간데이터 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design of Spatial Data Structure of Korean Reach File for Improving Adaptability)

  • 송현오;이혁;강태구;김경현;이재관;류덕희;정동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11-519
    • /
    • 2016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has developed the Korean Reach File (KRF) for scientific and systematic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water quality, pollutant sources and aquatic ecosystems in consideration of steam reach networks. The KRF provides a new framework for data production, storage, management and analysis for water related variables in relation to spatial characteristics, connections, and topologies of stream reaches. However, the current version of KRF (ver.2) has limited applicability because its nodes include not only the stream points based on topological characteristics but also those based on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which may undermine its generality. In this study, a new version of KRF (ver.3) was designed and established to overcome the weak point of version 2. The version 3 is a generalization of the old KRF graphic data and it integrates the attribute data while separating it from the graphic data to minimize additional work that is needed for data association and search. We tested the KRF (ver.3) on actual cases and convenience and adaptability for each application was verified.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developing a database link model and real-world applications that are targeted to process event data.

RMR의 불확실성 모델링을 위한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eostatistical Simulation Technique for the Uncertainty Modeling of RMR)

  • 류동우;김택곤;허종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3권2호
    • /
    • pp.87-99
    • /
    • 2003
  • 지구통계학적 접근법은 지역화 변수를 모델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한된 공간 샘플 자료로부터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추정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정문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리깅 기법과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에 대해 이론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시뮬레이션과 달리, 크리깅은 자료의 통계량과 공간 구조를 유지할 수 없으며, 불확실성의 측도를 제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 평가를 위한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의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RMR의 공간 분포 파악 및 그 불확실성의 평가 과정을 현장 적용을 통해 살펴보았다.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은 지반공학적 변수들의 공간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 결과는 다양한 지질학적조건 및 시공 계약 조건하에서 설계자의 의사결정을 위한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Prediction of Daily PM10 Concentration for Air Korea Station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LDAPS Weather Data, MODIS AOD, and Chinese Air Quality Data

  • Jeong, Yemin;Youn, Youjeong;Cho, Subin;Kim, Seoyeon;Huh, Morang;Lee, Yangw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73-586
    • /
    • 2020
  • PM (particulate matter) is of interest to everyone because it can have adverse effects on human health by the infiltration from respiratory to internal organs. To date, many studies have made efforts for the prediction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Unlike previous studies, we conducted the prediction of tomorrow's PM10 concentration for the Air Korea stations using Chinese PM10 data in addition to the satellite AOD and weather variables. We constructed 230,639 matchups from the raw data over 3 million and built an RF (random forest) model from the matchups to cope with the complexity and nonlinearity. The validation statistics from the blind test showed excellent accuracy with the RMSE (root mean square error) of 9.905 ㎍/㎥ and the CC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18. Moreover, our prediction model showed a stable performance without the dependency on seasons or the degree of PM10 concentration. However, part of coastal areas had a relatively low accuracy, which implies that a dedicated model for coastal areas will be necessary. Additional input variables such as wind direction, precipitation, and air stability should also be incorporated into the prediction model as future work.

공간-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결측대체 방법에 대한 연구 (Imputation Method using the Space-Time Model in Sample Survey)

  • 이진희;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3호
    • /
    • pp.499-514
    • /
    • 2007
  • 표본조사에서 항목무응답 발생 시 결측대체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은 결측변수와 관계 있는 보조변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최근 이진희 등 (2006)은 2002년 강원지역의 농가경제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조사에서 공간통계를 이용한 결측대체 (missing imputation) 방법을 비교하였으며, 자료들 사이에 지역적 상관이 존재할 때 이를 이용한 결측대체가 효율적임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확장한 개념으로, 강원지역의 2000-2002까지의 월별 자료가 공간상관과 시계열상관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이 관계를 결측대체에 이용하였다. 또한 공간상관과 시계열상관이 모두 존재할 경우 공간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결측 대체 방법이 공간모형을 이용하였을 때에 비해 더 효율적임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보로노이 기법과 밀도분석을 활용한 미세먼지 측정소 공간적 위치 문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Position Problem of PM Monitoring Stations Using Voronoi Technique and Density Analysis)

  • 정종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2호
    • /
    • pp.185-195
    • /
    • 2018
  • 서울시에서 시민들이 사용하는 미세먼지 앱은 위치기반으로 자신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측정소의 미세먼지 농도를 제공받는다. 현재 환경부에서 고려하는 미세먼지 측정망 선정 방법은 측정소의 분포 및 인구밀도를 고려한 방식과 지도상의 표현방식이 주 결정방법이나 인위적인 변수 및 다른 환경요인을 고려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측정소와 행정동의 대표성을 보여주는 행정동 중심점을 활용하여 측정소와 동중심의 거리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측정값을 제공하는 측정소의 개수를 확인하였다. 또한 보로노이 알고리즘과 헥사곤 격자를 활용하여 각 측정소의 제공범위를 면적으로 나타내며 현 측정소의 공간적인 위치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공간분석을 위한 환경변수는 단독주택, 공동주택, 제1종 근린생활권, 제2종 근린생활권, 쓰레기처리장, 위험물처리시설, 공장이며 분석결과로 만들어진 신규 측정소 위치는 기존의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선정기준이 아닌 추가적인 변수를 고려한 선정기준을 제시하였다.

An Analysis of Spatial Differences in the Efficiency of Regional Industrial Enterprises in China

  • Qingsong Pang;Yanan Sun;Sangwook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263-271
    • /
    • 2024
  • 본 연구는 2011-2021년을 분서기간으로 중국의 공업기업의 효율성의 지역차이를 분석하고 있다. 효율성은 DEA-CCR 모형을 이용하고 있다. 효율성 분석의 투입변수는 자산총계, 연평균 취업자수를 이용하고 산출변수는 주요영업수입과 이윤총액을 이용하고 있다. 효율성의 지역차이는 Trend Surface 분석방법과 Gravity Center Model을 이용하고 있다. Gravity Center Model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2011년의 중국 공업기업의 효율성의 Gravity Center는 112.303°E & 34.239°N이고 2021년은 111.753°E & 33.791°N이다. 이 결과는 2011-2021년 기간 동안 중국 공업기업의 효율성의 Gravity Center는 서남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Trend Surface 분석결과에 의하면 중국 공업기업의 효율성은 동서 방향과 남북 방향으로 공간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Controlling environmental factors of soil enzyme activities at three altitudes on Mt. Jumbong

  • Jang, In-Young;Kang, Ho-Je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3호
    • /
    • pp.223-228
    • /
    • 2010
  • Soil microbes perform crucial roles in the nutrient cycles of forest ecosystems, by effecting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Enzyme activities have been used to evaluate decomposition rates, as well as microbial activities. The principal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activities of different soil enzymes, to compare enzyme activities at different elevations, and to elucidate the most important controlling variables for enzyme activities. We conducted a field survey at three sites in Mt. Jumbong on a monthly basis from May, 2004 to September, 2005. Enzyme activities did not change substantially over different seasons. However, the spatial differences were distinct; the lowest elevation site evidenced the lowest levels of enzyme activity. Soils at the lowest elevation were nutrient-depleted soils, and enzyme activities appeared to be affected by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However, enzyme activities in fertile soils at high elevations were associated with nutrients and organic matter. The enzyme activities detected in this study differed significantly at the three elevations, and their controlling variables also evidenced different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