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Restructuring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1초

Industrial Restructuring and Spatial Development in Korea, 1983-1993

  • Lee, Won-Sup
    • 지역연구
    • /
    • 제14권2호
    • /
    • pp.85-105
    • /
    • 1998
  • This paper examines spatial of industrial restructuring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83 to 1993. Changes in manufacturing location are analyzed using both descriptive and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industrial restructuring has brought about a new locational trend of decentralization toward formerly less industrialized regions away from traditional centers. With reduced disparities between core and peripheral regions, the new process of spatial restructuring provides an opportunity for more balanced territorial development in Korea.

  • PDF

수도권 농촌의 기능 변화와 지역구조 (Changing Rurality of the Countryside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조영국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1권1호
    • /
    • pp.139-159
    • /
    • 2004
  • Since 1990s, the countrysid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been exposed to the unprecedented forces like developing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the boom of exurban housing, increasing concern about food quality. While these new forces are restructuring the social and spatial pattern of countryside, a legal regulation can be assumed as exerting an overarching moulding power. This paper shows how the legal regulation works in the restructuring rurality.

  • PDF

Subway Network Expansion and Spatial Restructuring of Accessibility in Seoul

  • Lee, Keum-Sook
    • 지역연구
    • /
    • 제11권2호
    • /
    • pp.53-63
    • /
    • 1995
  • Changes in transport are reflected in the accessibility of a place, which is denoted as the inherent advantageous characteristics of a place with respect to overcoming spatial friction, and affect the land use ultimately. A composite accessibility measurement scheme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ubway network in Seoul, which has been constructed in 1972. Changes in the transport network are reflected in the spatial structure of accessibility and affect ultimately the land use pattern. Therefore, it is of relevance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accessibility, which allows to forecast the direction of changes in the land use pattern.

  • PDF

Building Back Better: Distribution Dynamics in Post-Pandemic Urban Resilience

  • Choongik CHOI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69-77
    • /
    • 2024
  • Purpose: This paper aims to tackl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cities' response to COVID-19 and provide cities with policy implications for better adapting to the post-pandemic era. Cities around the world are facing new challenges and have had to adapt to maintain social distancing measures while also addressing equity and social inclusion issu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research methodology relies on an examination of existing literature, coupled with trend analysis employing discourse analysis to investigate post-pandemic urban resilience. The article also attempts to employ the concepts of adaptive urbanism and spatial flexibility and their potential to address these challenges not only in response to the pandemic, but also in the long-term. Results: The article explores the impact of COVID-19 on urban spatial structure through a public health lens and proposes actions that cities are able to take to enhance their resilience in the aftermath of the pandemic. Conclusions: It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reconstructing with improved distribution dynamics and provides valuable guidance for companies and policymakers on navigating these challenges. Ultimately, it also suggests that the pandemic has initiated a worldwide restructuring of urban planning, potentially leading to the emergence of smart cities grounded in science and technology.

경제위기 국면에서의 대기업 재구조화와 이의 학습 및 적응에 대한 함의: 진화론적 및 역량기반 관점 (Corporate Restructuring in the Face of the Korean Financial Crisis and Its 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Adaptation: An Evolutionary and Competence-based Perspective)

  • Lee, Jong-Ho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80-497
    • /
    • 2002
  • 본 연구는 진화론적 및 역량기반 관점에 기초하여 외환위기 이후의 한국 대기업의 재구조화 과정을 생산과 조직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경제위기에 대한 기업의 반응성과 적응 특성을 밝힌다. 이와 함께, 기업 재구조화가 기업 학습 및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규명한다. 사례연구는 한국의 대표적 기업가운데 하나인 LG전자를 대강으로 한 심층 인터뷰조사와 문헌고찰을 토대로 한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구조와 조직구조의 재편은 기업 역량을 향상시키고, 경제환경변화에 대한 반응성을 높이는 데 있어 중요하다. 둘째, 다운사이징과 고용 조정은 기존의 루틴과 관행으로부터의 탈피뿐만 아니라 새로운 학습을 추구하는데 기여한다. 셋째, 생산조직의 공간 재편과 공정 변화 및 혁신은 다양한 수준에서의 조직적 학습 과정을 내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 재구조화는 단기적 적응을 위해서일 뿐만 아니라 장기적 측면에서 학습과 적응 능력 향상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미국 대도시지역 산업재구조화에 따른 신이민집단의 사회ㆍ경제적 적응양태의 도시별 다양성에 관한 연구 (Socio-Economic Adaptation of New Immigrant Groups and their Divergence across Large US Metropolitan Areas under Economic Restructuring)

  • 권상철;이영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5-195
    • /
    • 1997
  • 본 연구는 미국의 대도시지역이 경험하고 있는 산업재구조화와 신이민집단의 적응양태를 연계시켜 이해하기 위하여. 로스엔젤레스, 뉴욕. 시카고. 그리고 애틀란타를 선정하고 이들 지역에 거주하는 중남미계와 동양계의 취업분포와 거주양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의 산업별 취업분포는 모든 분야에 나타나 대체적으로 전체인구와 유사한 분포를 보이나 제조업, 서비스업 그리고 소매업에서 비교적 높은 집중도를 보이고 있다. 이들의 거주집중지역은 도심 주변과 더불어 외곽 지역에도 나타나고 있다. 이는 기존 유럽계 이민집단이 제조업에 편중적으로 고용되고 도심 주변에 거주지를 집중시키던 적응양식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도시별로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따라서 신이민집단의 적응양태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정착지역이 경험하고 있는 산업재구조화와 이에 따른 공간상의 변화 그리고 집단 내부의 다양성을 고려한 관점에 기초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정보화사회로의 경제재구조화과정에 따른 지역발전 - 한국을 사례로 하여 - (Regional Development in Economic Restructuring toward the Information Society: The Case of Korea)

  • ;이희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7-401
    • /
    • 1994
  • 지난 30여년간 국제경제와 긴밀하게 연관을 맺으면서 급성장해온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시키기 위하여 산업 구조를 조정하면서 경제의 재구조화과정을 겪고 있다. 특히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생산직 노동력의 부족, 임금 인상과 더불어 선진국들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자 정부는 산업정책 을 기술, 지식집약적 산업을 육성하는 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즉 국제적으로 기술우위에 있는 선진국가들과의 경쟁 속에서 국제시장확보를 위해 중화학공업에 치중하던 국내의 산업 을 "고부가가치 산업인 첨단 산업의 육성과 정보집약적인 서비스산업의 육성"으로 재구조화 시키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 지식 집약적 산업의 육성책과 더불어 점차 정보화되어가는 경제의 재구조화과정이 지역성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려는 것이었다. 지난 10년동안 우리나라는 전반적으로 정보화가 상당히 진전되어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정보화의 진전도와 그 수준은 지역간에 상당히 차이가 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왔다. 본 연 구에서는 정보화수준의 지역격차를 비교하고, 또 어느 분야에서의 격차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제적, 사회적, 하부구조의 세 가지 측면에서 정보화수준을 측정 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경제적 측면에서의 지역간의 정보화수준은 사회적, 하부구조적 측면에서의 정보화수준보다 그 격차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의 정 보화수준이 다른 지역들과 비교하여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나고 있는 요인들을 규명해 보고 자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정보화수준은 경제발전과도 상당히 상관성을 갖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제가 재구조화되어가는 과정에서 지역간의 경제성장의 격차가 야 기된 것 처럼, 지역의 경제구조는 차별적인 정보화를 진전시키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 므로 정보화사회로 점차 진전됨에 따라 경제활동이 점차로 정보집약적으로 진전되어간다고 볼 경우 차별적인 정보화수준은 지역성장의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게 될 것이라고 전망해 볼 수 있다. 서울로의 정보집약적 활동의 과도한 집중과 재벌 그룹들이 가지고 있는 경제통제 력, 그리고 점점 심화되어가는 노동의 공간적 분업화는 앞으로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공간 적인 마찰을 가져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국제적으로는 국가 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수출력을 신장시키면서도 국내적으로는 보다 균형적인 지역발전을 가 져올 수 있거나, 적어도 지금보다는 더 심각한 지역격차를 야기시키지 못하게 하는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변지역의 잠재적인 성장을 유도하며 정보화사회로의 진 전을 촉진시킬 수 있는 다차원적인 측면에서의 지역정보화 전략에 대해 모색하였다.

  • PDF

대전.충청권 타올 산업 연계의 공간적 특성과 정책적 함의 (Spatial Features of the Linkages Developed in the Towel Industry in the Daejeon and Chungcheong Regions and their Implications on Government Policy)

  • 신혜영;장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58-376
    • /
    • 2011
  • 본 연구는 타올 산업이 집적한 대전 충청권을 사례로, 타올 산업 집적지의 형성 과정을 산업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타올 산업 생산 연계의 공간적 특성을 하청 연계를 중심으로 파악하며, 이러한 타올 산업 하청 연계의 공간적 특성이 관련 정책에 주는 함의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 지역에서 타올 산업이 성장하기 시작한 것은, 한국 전쟁 이후 북한 출신 직물 기술자들이 정착하면서 관련 기술과 정보가 지역 내에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타올 산업은 1980년대에 재구조화를 거치면서 사회적 분업에 의한 기업별 전문화를 통해, 지역 내 기업 간 긴밀한 연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타올산업 지역에 대한 정책을 추진하는 경우에는, 산업 자체의 특성은 물론, 이와 같은 산업 연계와 연계 공간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자동차 부품산업의 공간적 재구조화와 입지 패턴 변화 (The Spatial Restructuring and Changes of Locational Pattern of Auto Parts Industry in Korea)

  • 김태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34-452
    • /
    • 2007
  • 경제의 글로벌화에 따른 자동차 부품산업의 구조 재편과정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의 입지선택과 공간조직은 더욱 중요해졌다. 완성차 업체의 인수 합병으로 촉발된 부품업체의 변화는 거래선 다변화와 부품 생산의 모듈화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따른 부품업체의 입지변화와 생산조직의 공간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적인 스케일에서 보면, 수도권 남부 및 충청권 북부지역에서 부품업체의 수가 증가였고, 현대차는 수도권에서, 기아차는 동남권에서 부품공급 거래가 확대되었다. 둘째, 완성차 공장을 중심으로 보면, 전속거래업체는 완성차 공장과 근접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복수(네트워크)거래 업체들은 분산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품공급체계에 있어서 JIT(Just In Time, 적기공급)보다 더욱 세밀해진 JIS(Just In Sequence, 동기서열공급)체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례연구를 통해 부품업체의 전략적 입지선정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완성차 업체의 외부화 경향과는 반대로 규모의 경제를 위한 내부화 경향이 현저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