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Regression analysis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22초

국내 지역별 도로운송네트워크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SNA 및 공간패널회귀모형의 적용 (A Study on Road Transport Network And Economy effect in Korea: Application of SNA and Spatial Panel Regression)

  • 오진호;안재선;오진
    • 무역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5-193
    • /
    • 2022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road transportation networks on the local economy in korea. The analysis methods are SNA and spatial panel regression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inland areas of Korea, and the research period is from 2010 to 2019. The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the connection centrality of Gyeongg-do was high internally and externally. Gyeonggi-do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domestic road freight transportation industry. The results of spatial pane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economic competition between regions. Domestic road transportation industry has been competitive among regions and has economic ripple effect. And Internal cargo has been shown to boost the economy of the region. But internal cargo has been shown to lower the economy of surrounding regions, but external cargo has been shown to increase the economy. In order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road cargo.

A New Forest Fire Detection Algorithm using Outlier Detection Method on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 Huh, Yong;Byun, Young-Gi;Son, Jeong-Hoon;Yu, Ki-Yun;Kim, Yong-Il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574-577
    • /
    • 2006
  •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forest fire detection algorithm which uses a regression function between NDVI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Previous detection algorithms use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as a main factor to discriminate fire pixels from non-fire pixels. These algorithms assume that the surface temperatures of non-fire pixels are intrinsically analogous and obey Gaussian normal distribution, regardless of land surface types and conditions. And the temperature thresholds for detecting fire pixels are derived from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non-fire pixels’ temperature using heuristic methods. This assumption make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non-fire pixels very diverse and sometimes slightly overlapped with that of fire pixel. So, sometimes there occur omission errors in the cases of small fires. To ease such problem somewhat, we separated non-fire pixels into each land cover type by clustering algorithm and calculated the residuals between the temperature of a pixel under examination whether fire pixel or not and estimated temperature of the pixel using the linear regression between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As a result, this algorithm could modify the temperature threshold considering land types and conditions and showed improved detection accuracy.

  • PDF

공간가중회귀 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에너지 소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분석 (Spatial Pattern Analysis of CO2 Emission in Seoul Metropolitan City Based on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 김동하;강기연;손소영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6-111
    • /
    • 2016
  • Effort to reduce energy consumptions or CO2 emissions is global trend. To follow this trend, spatial studi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affecting energy consumptions or CO2 emissions have been conducted, but only with the focus on spatial dependence, not on spatial heterogeneit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atial heterogeneity patterns of CO2 emission based on socio-economic factors, land-use characteristics and traffic infrastructure of Seoul city.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423 administrative district data in Seoul. The results suggest that population and employment densities, road density and railway length in most districts are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 on the CO2 emissions. Residential and green area densities also have the highest positive impact on CO2 emissions in most districts of Gangnam-gu. The resulting model can be used to identify the spatial patterns of CO2 emissions at district level in Seoul. Eventually it can contribute to local energy policy and planning of metropolitan area.

장수의 환경생태학적 요인에 관한 지리가중회귀분석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on the Environmental-Ecological Factors of Human Longevity)

  • 최돈정;서용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7-63
    • /
    • 2012
  • 정규최소자승법(OLS : Ordinary Least Square)은 장수인구의 지역적 분포와 적용된 환경변수들의 관계가 공간상에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장수현상이나 그와 관련된 변수의 공간적 특성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지리가중 회귀분석(GWR :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모형은 지리적 가중 함수를 통해 인접지역들의 공간적 유사성을 대변할 수 있다. 또한 환경특성에 따른 장수인구분포의 공간적 변이를 국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된 장수의 환경생태학적 요인들에 대해 보통 최소자승법과 GWR모델간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GWR모형이 OLS모형보다 높은 모형 부합도를 가지고 특정 환경 변수가 가지는 효과에 대한 공간적 변동성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공간특성과 Walkability Index의 상관성에 관한 공간통계학적 접근 -부산광역시 2개 구를 대상으로-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Walkability Index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Case Study on Two Administrative Districts, Busan-)

  • 최돈정;서용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4_1호
    • /
    • pp.343-35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도시공간의 보행환경 평가와 관련하여 지역의 보행친화도와 물리적 사회경제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공간통계학적 측면에서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2개 구의 보행성 지수(Walkability Index)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였고 이에 대한 전역적 국지적 공간 자기상관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Walkability Index에 대해 도시환경 변수와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지리가중 회귀분석(GWR :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이하 GWR)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지역의 Walkability Index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공간 자기상관 수치와 군집이 도출되었다. 또한 GWR 분석결과 OLS(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이하OLS) 회귀모형보다 통계적으로 개선된 추론이 가능 하였으며, 보행 환경변수에 대한 국지적 수준의 영향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지역의 보행환경 평가 및 그와 연관된 환경변수의 탐색 시 공간 통계학적 접근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고령화 현상의 공간적 패턴 변화와 지역특성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n Spatial Pattern Changes of Aging Phenomenon and Relation between Aging Populati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 이지민
    • 농촌계획
    • /
    • 제22권4호
    • /
    • pp.139-146
    • /
    • 2016
  • Aging phenomenon is an important issue in Korea national policy. This aging phenomenon depends on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regions. Also aging phenomeno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have spatial dep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spatial changes in aging population rate and to find local factors of regional aging phenomenon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 For spatial analysis of ageing phenomenon, local Moran's I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were applied. As the results,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of aging phenomenon appeared between 2000 and 2005, and most of hot-spot regions (aged regions) were distributed in Jullanam-do and Jullabuk-do. The results of GWR (R-square: 0.681) shows that total fertility rate, the number of doctor per 1,000 people and forest area rate have positive relation with aging population rate, but the number of private academy per 1,000 people has negative relation.

공간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한 통행발생모형 (Trip Generation Model based on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 김진희;박일섭;정진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1-109
    • /
    • 2011
  • 대다수의 현대 도시들은 집적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군집을 형성하고 각 지역 간에 다양한 공간적 영향을 주고받는다. 그러나 전통적 4단계 수요예측방법의 첫 단계인 통행발생단계에서 주로 적용되는 선형회귀분석모형은 공간적 영향을 반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간적 상관성을 반영할 수 있는 통행 발생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상관성을 고려할 수 있는 통행발생모형으로 공간가중회귀모형(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을 제안한다. 공간가중회귀모형은 공간적 상관성을 고려할 수 있는 가중치 행렬을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회귀식의 계수를 각 존별로 추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권 통행자료를 이용하여 공간가중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공간가중회귀모형의 우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회귀모형과 적합도, RMSE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국지적 공간상관성을 측정하는 척도인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지표를 각 모형별로 산출하였다. LISA 지표를 통하여 현재 분석대상지역은 국지적 공간상관성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공간가중회귀모형을 적용함으로써 공간상관성으로 인한 오차가 크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지리적 특성을 고려한 범죄두려움 영향 요인 분석 - 범죄취약계층인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Fear of Crime Consider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 Focused on Women in 20's who are Vulnerable to Crime -)

  • 변기동;하미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5호
    • /
    • pp.23-32
    • /
    • 2020
  • Recently, women's fear of crime continues to increase in space of everyday. By the way, the fear of crime has the spatial properties as cri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patial dependence of fear of crime and to suggest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fear of crime. For this, a spati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atial weights was conducted based on the location data of the fear of crime measured through a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ear of crime felt by women in their twenties who are vulnerable to crime has spatial depend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patial characteristics in analyz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is. Second, in order to reduce the fear of crim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nvironments of old housing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There is also a need for ongoing management. Third, careful consideration is needed in the installation of CCTV and street lights, which are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crim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asonable arrangement standard for CCTV and to analyze the street lighting in detail.

미국 소득분포의 지역적 수렴에 대한 공간자료 분석(1969∼1999년) - 베타-수렴에 대한 비판적 검토 - (Spatial Data Analysis for the U.S. Regional Income Convergence,1969-1999: A Critical Appraisal of $\beta$-convergence)

  • Sang-Il Lee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12-228
    • /
    • 2004
  • 본 연구는 지역간 소득분포의 수렴/발산의 주요 측면인 베타-수렴을 공간자료분석에 의거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베타-수렴에 대한 통상적인 접근법은 두 가지 측면에서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회귀분석 결과 도출되는 잔차의 공간적 자기상관을 고려하지 못한다. 둘째, 베타-수렴의 국지적 변이, 즉 공간적 이질성을 탐색할 어떠한 절차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다양한 공간자료분석 기법들, 즉, 공간적 자기회기 모델(spatial autoregressive models), 이변량 국지통지(bivariate local statistics)를 이용한 탐색적 공간자료분석(ESDA: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기법, 그리고 지리적 가중회귀분석(GWR: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을 사용하여 1969-1999년 간의 미국 노동시장지역에 대한 소득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OSL모델을 적용한 결과 베타-수렴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드러났고, 베타-수렴 계수도 시기별로 상당한 편차를 보였다. 둘째, 공간적 자기회기 모델의 분석 결과 OLS에 의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베타-수렴 계수가 99% 신뢰수준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탐색적 공간자료분석과 지리적 가중회귀분석의 결과는 베타-수렴의 경향에 상당한 정도의 공간적 이질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 공간적 이질성의 양상이 시기별로도 다양하게 드러남이 관찰되었다.

공간이웃정보를 고려한 공간회귀분석 (A study on the spatial neighborhood in spatial regression analysis)

  • 김수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505-513
    • /
    • 2017
  • 최근, 더욱 상세하고 정확한 추정 결과를 위해 소지역추정(small area estimation; SAE)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공간회귀모형 (spatial regression model)을 이용한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이웃 (spatial neighbor)의 정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이웃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도로네 삼각망 (Delaunay triangulation; DT)을 소개하고 k-최근접 (k-nearest neighbor; KNN)과 비교하여 분석한다. 두 가지 공간이웃을 정의하는 방법중에서 어떤 방법으로 이웃을 정의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지가 (land price)데이터를 이용하여 실 데이터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