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Hierarchy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초

현대 공간 프로그램의 복합화에 따른 실내공간의 위계소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n-hierarchy of the interior space based on complexity of modern spatial program)

  • 박은실;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9-212
    • /
    • 2006
  • To develop in the long view, based on context of city, the spatial program change to new spatial program that can be adopt city architectural environment. The new spatial program must have paring lot, open space, community center, which are infra structure for citizen. The needs about flexible space Increase according to complexity of spatial program. The space of absolutism, is made up hierarchy, can't accommodate complexity of spatial program. Therefore, modern architectural spaces are characterized by non-hierarchy. This research is tendency to search special quality of space program that is going complex composition according to change of modern society and modern architecture space, and analyze characteristic of inner space that have non-hierarchy to correspond hereupon.

  • PDF

국토공간계층에서 상방 및 하방 이주 흐름 변화 분석 (Up and Down Flows of Migration in National-Space Hierarchy Over Time)

  • 한이철
    • 농촌계획
    • /
    • 제22권1호
    • /
    • pp.49-56
    • /
    • 2016
  • Throughout the economic development era of Korea, migration occurred within a spatial hierarchy, with upward flows from rural areas to urban. The concept of step migration is a typical theory to explain these upward migration flows. Recent migration data and trends, however, indicate that migration-pattern regime shows strongly opposite-direction flows, with many of the major migration flowing downward on this national-spatial hierarchy, away from urban area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most recent structure of migration flows up and down within the national-spatial hierarchy. We define seven tiers to tabulate origin-destination migration flows from population density of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for the period 2001-2014, and then analyze the migration patterns between the tiers over time. The results show differentiated patterns of migration within the national-spatial hierarchy over time including specific states of migrants' life cycles.

지형(地形)에 따른 향교건축(鄕校建築)의 배치(配置) 위계연구(位階硏究) (A Study on the Spatial Hierarchy Responding to the site in Hyangkyo Architecture)

  • 조원섭;이달훈
    • 교육시설
    • /
    • 제10권5호
    • /
    • pp.35-43
    • /
    • 2003
  •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hierarchy of Hyangkyo architecture. Hyangkyo was built on the basis of Confucianis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patial hierarchical construction responding to the site. The arrangement style of hierarchical construc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site. This is the reason that the hierarchy of Confucianism has the relationship of the upper class and the lower class, high and low of position, high of right and low of left, and the theory of division based on topography. 2) The hierarchical construction 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style. Buildings were hierarchically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ite of the architecture. This is the result of hierarchy. In conclusion, the spatial hierarchy means that Hyangkyo architecture had been built according to an order on the basis of Confucianism.

중심지 위계 분석을 통한 대전시 도시공간구조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Urban Spatial Structure through Central Hierarchy Analysis: Focus on Daejeon)

  • 류경수;박성은
    • 지역연구
    • /
    • 제40권2호
    • /
    • pp.57-73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차별화 된 분석지표를 활용하여 2040년 대전의 중심지 위계와 도시공간구조를 설정하는 것이다. 미래의 대전시의 도시공간에서 중심지 위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인구밀도, 건축물의 용도(상업 및 업무, 주거 등), 통행량 데이터(KTDB) 등 3개 지표를 도출하였다. 지표를 활용하여 중심지 위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핵)기능을 담당하는 1차 중심지는 둔산도심과 원도심(대전역세권, 도심융합특구지정), 도안신도시 일원으로 3개 지역으로 설정하고, 부도심(지역거점)에 해당하는 2차 중심지는 9개로 설정하였으며, 지역중심(생활권 중심)에 해당하는 3차 중심지는 10개, 그리고 특화거점 5개를 신설하는 중심지 위계를 설정하였다. 둘째, 2030대전도시기본계획 상 중심지 위계와는 다른 새로운 2차 중심지와 3차 중심지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3개 지표를 통해 도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도시공간구조와 중심지 위계 설정에 있어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공간 데이터의 개념계층기반 사전집계 색인 기법 (Pre-aggregation Index Method Based on the Spatial Hierarchy in the Spatial Data Warehouse)

  • 전병윤;이동욱;유병섭;김경배;배해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421-1434
    • /
    • 2006
  •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SOLAP(Spatial On-Line Analytical Processing)을 이용하여 의사 결정에 필요한 분석 정보를 제공한다. SOLAP은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하기 때문에 사전집계를 이용하여 분석비용을 줄이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기존 기법들은 고정크기노드를 갖는 색인을 이용하여 개념계층을 지원하였다. 따라서 산개분포 영역에는 빈 공간이 많이 발생하며, 밀집분포 영역에는 개념계층을 지원할 수 없다. 본 논문은 공간 데이터의 개념계층기반으로 사전집계 색인의 동적 구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트리구조를 이용하여 개념계층의 레벨을 트리의 레벨과 같도록 지원한다. 하나의 노드는 데이터가 적을 경우 엔트리를 분할하여 서로 다른 부모 엔트리를 가질 수 있으며, 데이터가 많을 경우 노드의 연결리스트를 이용하여 같은 레벨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따라서 데이터가 산개된 분포의 노드에 대해서 저장 공간의 낭비를 최소화하며, 데이터가 밀집한 영역의 노드에 대해서도 노드의 연결리스트로 노드가 분할되지 않으므로 개념계층을 지원할 수 있다. 성능평가를 통하여 색인 구축 시간이 다른 기법과 비슷하고, 색인의 저장 공간이 감소하며, 집계정보의 검색 성능이 다른 기법에 비해 우수한 것을 보인다.

  • PDF

공간 개념 계층에 따른 STOMP(FW) 알고리즘의 정확도 분석 (Precision Analysis of the STOMP(FW) Algorithm According to the Spatial Conceptual Hierarchy)

  • 이연식;김영자;박성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015-5022
    • /
    • 2010
  • 기존의 패턴 탐사 기법들은 대부분 객체가 갖는 공간 정보의 연속적인 변화에 대한 패턴 탐사는 가능하나, 추출하고자 하는 패턴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공간 정보에 대한 제약이 없어 특정 지점들 사이의 최적 경로 탐색 문제나 단위기간 동안 이동 객체가 순회해야 하는 지점들에 대한 경로 예측 문제 등에 적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Road Network 상의 특정한 지점들 사이를 이동한 객체의 위치 데이터들 중 최다 빈발 패턴과 시간 및 비용 등의 가중치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이동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Spatial-Temporal Optimal Moving Pattern(with Frequency & Weight) algorithm)[13]을 이용하여, 공간 개념 계층에 따른 경로 탐색의 정확도를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는 패턴 탐사 과정에 있어 공간 제약을 적용하여 검색 데이터 범위를 축소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간을 최소화함을 보이고, 또한 공간 추상 계층의 각 계층별 영역 내 포함여부를 고려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최적 이동 패턴을 탐색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공간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 통합된 다차원 개념 계층 지원을 위한 데이터 큐브 색인 (Data Cude Index to Support Integrated Multi-dimensional Concept Hierarchies in Spatial Data Warehouse)

  • 이동욱;백성하;김경배;배해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386-1396
    • /
    • 2009
  • 공간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의사 결정 지원을 위한 공간 데이터 큐브는 크기가 방대하기 때문에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질의 처리의 수행 속도를 높이기 위한 공간 데이터 큐브 색인 기법이 요구된다. 제안된 데이터 큐브 색인 기법들 중 Hierarchical Dwarf는 사실 테이블의 튜플 필드 값의 중복을 이용하여 큐브를 압축하여 저장 비용과 질의응답 속도 면에서는 우수하지만 공간 차원을 지원하지 않으며, OLAP-favored Search 기법은 R-tree기반으로 공간 차원에 대한 계층적 집계 값을 제공하고 공간 OLAP 연산을 지원하지만 공간 및 비공간 차원들을 통합한 의사결정을 지원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된 다차원 개념 계층지원을 위한 데이터 큐브 색인을 제안한다. 이는 개념 계층에 대한 정보와 사실 테이블에 지장된 튜플들을 참조하여 각각의 차원에 대해 생성된 개념 계층 트리들이 연결되어 통합된 색인이다. 이 때, 중복되는 개념계층 트리가 존재할 경우 이를 공유함으로써 저장 비용을 줄인다. 특히 제안 기법은 공간 및 비공간 차원이 통합된 개념 계층 트리들을 사용하므로, 공간 및 비공간 차원에 대한 OLAP 연산 비용이 감소한다.

  • PDF

동적 분할 기법을 이용한 네트워크 계층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twork Hierarchy Model which uses a Dynamic Segmentation Technique)

  • 주용진;이용익;문경기;박수홍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245-260
    • /
    • 2006
  • 이동성을 지원하는 모바일 환경에서 위치정보의 활용과 사용자 요구가 증가되고 GIS 공간 DB와 연계된 다양한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 DB를 구성하는 교통 네트워크의 논리적 관계의 표현은 노드-링크 구조를 사용한다. 이러한 단일 수준에 적합하게 설계된 구조는 다양한 모형 적용에 유연하지 못하고, 데이터베이스 검색과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 분할(Dynamic Segmentation)을 이용한 네트워크 모델의 설계와 구축을 통해 기존 도로망 모델의 문제점과 구축상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네트워크의 검색과 표현에 효율적인 계층 모델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설계된 모델은 다양한 수준의 단계별 표현과 계층 간 개체 관계성을 지원하며, GIS가 지닌 네트워크 공간 모델링 기능을 대폭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PDF

한국 근대 주거 및 취락의 공간적 질서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Layout of Modern Settlements in Hwangjon Korea)

  • 이현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호
    • /
    • pp.197-202
    • /
    • 1997
  • In this study, we surveyed historical housing settlements of Hwangjon in Bonghwa-a clan village in Youngnam district which was formed in the Chosun Dynasty. We observ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patial layout of clan villages, the water flows and the family hierarchies as follows; (1) when a clan village was initially formed, the water flow, which is the phylosophical foundation of Poong Soo,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the original location; (2) as villages prosper, the water flow and the family hierarchy stil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following geological locations; (3) in modern age, however, the water flow and the family hierarchy lost the role in detrmining the geological locations; (4) consequently, in present days, each household becomes isolated from the village. Reflecting on these observations, for village to be maintained, we conclude that we need novel practical and cohesive village forming drives that can replace the water flows and the family hierarchy in the past.

  • PDF

고대 백제.신라.일본의 초석 형태에 따른 공간위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patial hierarchy by the form of the basestone in ancient architecture between Baekje, Silla and Japan)

  • 한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3-10
    • /
    • 2008
  • The basestone is a kind of foundation part of the building and can be said to deliver the loads from the upper part to ground. It is the explanation of structural role for the basestone. But the basestone has been used as the decorative element in a building. So this study is on design of the basestone. First the type division can be studied as form of the basestones. Also the investigation of development aspect of them needs to as times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other goal of this study is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basestone from the comparison to the basestone in ancient Japan was initiated in the architectural technology from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Baekje rectangular basestones were used in static space for ceremony and circular ones were used in dynamic space for life. Also the basestones with joojwa(smoothing surface for sitting on column) were used for accessory buildings rather than main. In Silla the same type of basestone was made in a temple but according to hierarchy of buildings the sizes of them seem to have been different. The other side in Japan carved basestones were for the main buildings and for the accessory natural stones were used to.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the buildings the kinds of stones were diffe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