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Environmental Planning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28초

시가화지역 공간상 위치분배와 폭염현상과의 관계성: 5개 광역시 사례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Allocation of Developed Area and the Heat Wave Phenomenon: The Case of Five Metropolitan Cities)

  • 강상준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3호
    • /
    • pp.175-185
    • /
    • 2021
  • 도시지역 폭염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서는 토지이용의 총량적 이해와 더불어서 토지이용의 공간적 위치분배와 폭염현상과의 관계성 이해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군집개발과 파편화된 개발이 폭염일수와 순위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주요연구방법으로는 형태학적공간패턴, 공간자기상관성, 스피어만상관성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 광주, 울산, 부산, 대전광역시이며 폭염지표는 30년간 연간폭염일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군집개발 유무보다는 나홀로 개발 등의 파편화개발방식이 폭염에 부정적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곧 개발형태가 폭염과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방촌마을의 생태주거단지 계획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n eco-housing in Bang chon village)

  • 최율
    • KIEAE Journal
    • /
    • 제2권1호
    • /
    • pp.33-40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a typical Korean traditional settlement for searching for planning criteria of ecological friendly housing estates. The interpreting framework is five environmental ecological ideas as the adaptation to the exterior of village, the eco-space in village, the interior of house, the cycling of material and the reasonable energy system, prevention of environment pollution and reduction of wastes. Through the interpretation, it has been found out that Bang chon village has been developed to an environmental ecological rational setting and has the meaningful elements for environmental friendly housing estates. Particularly, the spatial components of Bang-chon are characterized by the concept of multi-function, and diversity, which are worth of being considered as important planning of ecological friendly housing estates.

공간통계모형을 이용한 도로 소음과 도시 구성 요소의 관계 연구 (The Spatial Statistical Relationships between Road-traffic Noise and Urban Components Including Population, Building, Road-traffic and Land-use)

  • 류훈재;박인권;장서일;전범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48-356
    • /
    • 2014
  •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traffic noise and urban components such as population, building, road-traffic and land-use, the city of Cheongju that already has road-traffic noise maps of daytime and nighttime wa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whole area of the city is divided into square cells of a uniform size and for each cell, the urban components are estimated. A spatial representative noise level for each cell is determined by averaging out population-weighted facade noise levels for noise exposure population within the cell during night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presentative noise level and the urban components is statistically modeled at the cell level. Specially, we introduce a spatial auto regressive model and a spatial error model that turns out to explain above 85 % of the noise level. These findings and modeling methods can be used as a preliminary tool for environmental planning and urban design in modern cities in consideration of noise exposure.

저탄소도시계획지원을 위한 포털서비스의 구축방향 (A Study on Building up the Portal Service to Support Low-Carbon City Planning in Korea)

  • 김한준;최홍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465-2473
    • /
    • 2013
  • 본 논문은 도시.지역계획 등 공간계획 분야의 계획지원시스템(PSS)을 핵심구성요소인 도시모형(특히, 토지이용-교통 모형 LUTM)과 지리정보시스템(GIS) 기술의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를 중심으로 한 계획과정에 대한 시민참여 요구 확대, 인터넷과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IT 기술심화를 주요 특징으로 하는 변화된 계획환경에 대응하여 PSS의 보완 또는 확장 개념으로서 저탄소도시계획지원에 초점을 둔 포털서비스의 구축방향을 제안한다.

컴퓨터 지도분석(地圖分析)을 이용(利用)한 임도계획(林道計劃) (Computer-Assisted Map Analysis for Planning Forest Road Network)

  • 이규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3호
    • /
    • pp.317-325
    • /
    • 1991
  • 경영적(經營的) 요소에서부터 환경보호(環境保護) 측면까지 임도(林道) 노선(路線)의 선정(選定)에서는 여러가지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이 많다. 이 연구(硏究)에서는 다각적인 상황하(狀況下)에서 임도노선망(林道路線網) 계획과정(計劃過程)을 컴퓨터 지도분석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效果的)으로 접근해보려 한다. 소규모의 임도설정구획(林道設定區劃)을 대상으로 노선계획(路線計劃)에 필요한 세가지 가정(假定) 상황(狀況)을 부여하였다. 첫번째의 임도계획은 단지 경사도(傾斜度)만을 고려하였고, 두번째의 계획은 경사도와 함께 토양침식(土壤浸蝕)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시도되었으며, 세번째의 계획은 경사도, 최소한의 토양침식, 그리고 산 림경관보호(山林景觀保護)를 다함께 고려하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연구지역의 지형도(地形圖), 임소반(林小班) 구획도(區劃圖), 지적도(地籍圖)등을 컴퓨터로 처리하기 위하여 디지탈 자료화(資料化)한 후, 연결분석(連結分析)(connectivity analysis)을 주축으로하는 여러가지 컴퓨터 지도분석 기법(技法)들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삼차원 도면을 이용한 시각적 방법과 계획임도상(上) 지형의 횡단측면(橫斷測面)을 통한 경사도(傾斜度) 및 전장(全長) 등의 비교를 바탕으로 검토되었다. 컴퓨터를 이용한 지도분석기법은 여러가지 복합적인 사항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임도계획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遂行)할 수 있다는 잠재력(潛在力)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자연환경 특성을 적용한 '작은도서관'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mall Library' Design Applying Natur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 Focused on the Case Study -)

  • 홍민희;심은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1호
    • /
    • pp.3-12
    • /
    • 2020
  • 최근 다수의 도서관은 단지 대형화 그리고 산업화되는 추세이다. 각 지역의 자연환경과 기후를 살린 공간은 소외되었고 최근에 이르러서야 자연환경을 고려한 공간이 주목받고 있다. 대부분 공간 방법에 있어서의 자연환경은 주로 과학적이고 시스템적인 개념이 적용되고 있고, 그 지역의 자연환경 특성에 감성적 접근은 면밀히 고려되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연과 공간이 조화되는 공간계획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작은도서관' 계획 및 설계 시 지역의 주변 환경 특성을 반영하고 자연요소를 활용한 공간의 표현 기법(직접적 표현, 간접적 표현, 복합적 표현)을 적용하여 주변 자연경관과 공간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국토계획체계내 기초정보 통합 및 연계화 방안 (A study on the integration and linkage of basic information within National Territorial planning system)

  • 김정훈;채미옥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1권4호
    • /
    • pp.465-480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에 개정된 국토공간계획체계에서 요구되는 각종 제도 시행에 필요한 기초정보의 통합 및 연계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국토공간관련 기초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현재 많은 국토 정보화사업이 공공부문에서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국토정보화사업은 주로 단위사업별로 추진되어 각 사업간에 데이터테이스 공유나 정보시스템간의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유사한 정보가 중복해서 조사되거나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한 정보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사장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토공간계획체계내에 기초정보를 통합하고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계획적 국토이용과 친환경적 국토관리로 나아가는 초석이 되고자 한다.

  • PDF

도시녹지 미세먼지 조절 서비스 수요와 공급의 공간적 차이 분석 - 수원시를 대상으로 - (Spatial Analysis on Mismatch Between Particulate Matter Regulation Services Supply and Demand in Urban Area - A Case Study of Suwon -)

  • 강다인;권혁수;최태영;박찬;김성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7-69
    • /
    • 2021
  • Urban green spaces supply ecosystem services (ESs), which are consumed by city residents and generate demand, to improve air quality.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supply and demand for ESs and reduce the gap for efficient management.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to use the concept of supply and demand for ES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urban planning or management. PM10 concentrations were converted to weight for demand assessment on PM10 reduction, and PM10 absorption capacity of all green spaces including the forests, and that of urban green spaces excluding forests, was calculated for each supply assessment. The differences in the calculated supply and demand were analyzed to derive the mismatched regions in Suwon. As a result, regions with big forested areas showed sufficient supply, indicating that the degree of mismatch among administrative neighborhoods (dong) varied greatly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a forest. An analysis of only urban green spaces showed that all neighborhoods lacked supply. Forests with high PM10 absorption capacity had a great effect, but urban green spaces can be considered a key element in reducing PM10 in daily life. Considering the mismatch of supply and demand, spatial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istribution, it is possible to prioritize the supply of urban green spaces to reduce PM10 and, furthermore, support decision making for priority zones subject to forest conservation and designation and cancellation of green spaces, which gives significance to this study.

열수지를 활용한 서울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공간 유형화 (Spatial Typification based on Heat Balance for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in Seoul)

  • 권유진;안새결;이동근;윤은주;성선용;이기승
    • 국토계획
    • /
    • 제53권7호
    • /
    • pp.109-12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types for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 considering heat flux and its spatial context through empirical orthodox formulas. First, k-means clustering was used to classify values of three kinds of heat flux - latent, sensible and storage heat. Next, from the k-means clustering, we defined a type of thermal environment (type LHL) where improvement is needed for more comfortable and pleasant thermal environment in the city, among the eight types. Lastl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ified thermal environmental types based on land cover types. From the study, we found that the ratio of impervious surfaces, roads, and buildings of the type LHL is higher than those of the type HLH (relatively thermal comfort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thermal environment, the following contents are proposed to urban planners and designers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Increase the green zone rate by 10% to reduce sensible heat; b) Reduce the percentage of impermeable surfaces and roads by 10% ; c) Latent heat increases when water and green spaces are expanded. This study will help to establish a minimum criterion for a land cover rate for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and a standard index for the thermal environmental improvement can be derived.

6SV2.1과 GK2A AOD를 이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Sentinel-2 영상 대기보정 (Machine Learning-based Atmospheric Correction for Sentinel-2 Images Using 6SV2.1 and GK2A AOD)

  • 김서연;윤유정;강종구;정예민;최소연;임윤교;서영민;박찬원;이경도;나상일;안호용;류재현;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3호
    • /
    • pp.1061-1067
    • /
    • 2023
  • 이 단보에서는 차세대 중형위성 4호(농림위성)의 활용에 앞서, 농림위성과 분광밴드가 유사한 Sentinel-2 위성영상에 대하여 대기보정을 모의하였다. second simulation of the satellite signal in the solar spectrum - vector(6SV)2.1 복사전달모델과 기계학습의 일종인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RF)를 활용하여 6SV2.1을 모사한 RF 기반의 대기보정 모델을 개발한 결과, 6SV2.1로 산출된 반사도와 RF 모델로 예측된 반사도 간의 유사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