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ial configura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2초

서울 및 대전지역에서의 전계강도와 경로손실 분석 (Analysis of Field Strength and Path Loss in Seoul and Daejeon Area)

  • 송기홍;정인명;김종호;양기곤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4권2호
    • /
    • pp.4-10
    • /
    • 1993
  • 이동통신에서, 전파경로는 이동국의 위치변동때문에 시간 및 공간에 따라 변한다. 전파경로 손실은 주 파수와 거리뿐만 아니라 안테나 높이, 지형구조와 인위적 환경에 따라 탄라지브로 이동 전파신호의 전파 경로손실을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본 고에서는 대전 및 서울 지역에서 전계강도를 측정하여 단구간 중앙치,500m 거리별 평균치 및 표준 편차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로손실 특성이 예측모텔과 유사하였으며, 특히 단구간 중앙치 는 기지국 안테나 높이, 지형구조와 인위적 환경에 의존하며, 표준편차는 2-1OdBuV사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보건건강교육변화에 따른 초등학교 특수교실구성에 관한 연구 (Configuration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for the New Trends of Health Promoting Education)

  • 김소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7-3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onfiguration alternatives for the special classroom of the elementary school reflecting current trends of the health promotion education. Initiated by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concept of health-promoting school has been widely advocated as an approach to enhance public health through school based health promotion.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also adopted the concept and many elementary schools has been participating in developing the curricula and educating students as the health promoting model schools. This study analyzes methodologies and education programs of current health promoting curriculum of the schools since 2009, explores the spacial features of other public facilities offering similar education program and surveys relating teacher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seeks the basic elements for health promoting classroom and deduces several classroom space configurations to optimize students' learning effects. This study can be a case method for other classroom typology studies especially with the current diversification tendency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ervices.

융합화 모델 개발을 위한 초고층 주거 커뮤니티 공간 분석 (An Analysis of Community Space of High-rise Housing for Convergence Model)

  • 박소윤;이현수;정아린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8-19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of community space of high-rise housing as a basic research towards developing a model of spacial convergence. For this, 10 cases of high-rise housing complexes are compiled.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10 high-rise housing complexes, the types of community space program are categorized by concepts. Second, community space plans are analyzed by flo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analysis of 10 cases, the types of community space program are classified 8 categories : Culture, Health, Leisure, Education, Life-style Assistance, Business Assistance, Open Space, Commercial Facility. Second, community space plans are arranged at the lower floor of the building at a high ratio. Third, the types of convergence model for community programs are suggested by 4 categories : Human, Time, Experience, Local Community. Fourth, community space configuration is categorized by 4 types.

  • PDF

공간정보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스마트사회 네트워크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twork Strategy for Smart Society by Analysis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rends)

  • 강영모;강찬우;한경석;김종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411-1418
    • /
    • 2015
  • 공간정보 정책과 관련하여, 아직까지 그 개념이나 구성 및 체계에 관한 선행연구가 미미한 수준이며, 그 연구들마저도 정책이론 관점에서 공간정보 정책의 기본 구조체계를 제시하는 정도로, 공간정보 정책을 정립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본 개념을 모색하려는 시도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기존의 PC기반에서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반으로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라는 현재의 스마트사회에 있어, 한국의 미래국가경쟁력을 좌우할 공간정보기술 정책의 바람직한 미래전략 설정을 위한 전략방향을 고찰하고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글로벌 차원에서 지리공간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와 기술 변화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국내지리공간정보에 대한 정책 및 연구 개발 로드맵 수립을 지원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도서관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구성에 관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 연구 - C대학교 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Research about Spacial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Remodeling University Library Focused on C University Library)

  • 남영준;문정현;이현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5-222
    • /
    • 2009
  • 대학도서관은 대학교육과 상호 관련되어 있다. 지식 정보사회에는 대학의 경쟁력을 키우고 나아가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대학도서관이 발전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교수와 학생들의 연구 및 학습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적절한 시설과 시스템을 갖추어야만 대학도서관 본연의 기능과 역할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대학교 중앙도서관 중심으로 공간구성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리모델링 전 후의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용자들의 공간구성에 대한 만족도와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는 이용자가 원하는 도서관 공간 활용 가운데 열람공간과 휴게공간에 대한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도서관 서비스의 질을 높이거나, 도서관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세종시 신설초등학교의 조리장 공간구성과 면적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and Allocation of Catering Facilities of Newly-Built Elementary Schools in Sejong City)

  • 송병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33-442
    • /
    • 2017
  • 본 연구는 세종시 신설초등학교의 조리장 공간과 면적의 적정성에 관한 사례연구로 5개 학교의 조리장을 대상으로 공간구성과 면적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 조리장의 기준면적 대비 계획면적의 확보율은 A학교 99.2%, B학교 91.1%, C학교 81.4%, D학교 110.8%, E학교 88.1%로 세부적으로 조리실의 면적은 기준에 근접하거나 초과되어 계획되었지만 그 외의 실들은 계획되지 않거나 기준에 부족한 상황으로 대체적으로 부족한 면적을 확보하고 있었다. 검수실이 계획되지 않은 학교는 3개교로 전처리실과 겸용하면서 전처리실의 실제 사용면적이 감소하여 별도의 검수실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실은 세척과정의 특성상 최소 3.6m의 유효폭과 1.6m 이상의 통로폭이 요구되었으며 세척기구 반입동선을 고려하여 식당 및 조리실 방향으로 출입구를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용자 면담결과 공통적으로 조리/세척영역의 면적, 공간구성에 대해서 불만사항이 나타난 반면 보관 및 사용자영역에서는 불만을 제기하지 않았다. 이는 사용자들이 보관 및 사용자 영역보다 조리활동의 주요공간인 조리/세척 영역의 면적확보와 공간구성을 중요시하는 결과이며 현재의 조리장 기준 면적에서 각 영역 및 공간별 면적의 조정과 분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복합화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경향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nd and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y by the Mixed)

  • 장우석;손광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99-207
    • /
    • 2011
  • After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since the 15th century and the rise of citizen consciousness in the 18th century, the library has taken a public concept. And after the 20th century, its role as a public library for the public was stressed, and as its spatial composition became miniaturized and specialized, its function changed from stacking and reading to various kinds including culture and service and is getting more complex beside the function of a library. Thereupon,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limitations of public libraries' opening years shown in advanced researches an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patial composition by complexation with the subjects of five public libraries opened after the end of December, 2006 in order to examine their tendencies of complex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sition by the complexation of public libraries. As a result, the present public libraries have at leaser more than two spaces with complex func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types, locational relations between spaces showed the mixed type the most. In the types of building allocation, the building integrated type had a higher percentage than the separated type. About the types of entrance, the one common door type was fewer than the two separate door type. In the analysis on the types of the interior line of flow, the common type was similar to the dispersed type, and it is thought to be resulted from spatial composition rather than the preplanned line of flow.

종합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급성기 병동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Planning for the Establishment of Design Guideline for the Acute Psychiatric Ward in General Hospitals)

  • 지수인;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39-48
    • /
    • 2023
  • Purpose: In Korea, the increase rate of the number of mentally ill patients increases, and the hospitalization period for severely mentally ill patients to stay in acute wards is long and the re-hospitalization rate is high. In order to improve the dignity of patients with acute mental illness and to plan a therapeutic environment for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basic framework of spacial planning for establishing guidelines for psychiatric acute ward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By analyzing the acute psychiatric ward guidelines of the UK, Australia, and the US., this study analyzed the areas and required rooms of psychiatric acute ward in general hospitals, as well as the net floor area of each room,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om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asic framework for the ward areas and the required rooms, the net floor areas of the room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rooms were presented for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the psychiatric acute ward in general hospitals. Impl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framework of space planning for establishing of guidelines for the psychiatric acute ward in general hospitals and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detailed guidelines based on the space configuration through surveys and analysis of space use status, operation status, and expert interviews in Korea.

조립식 격자 옹벽의 변형거동에 관한 모형실험 연구 (A Study on the Deformation Behavior of the Segmental Grid Retaining Wall Using Scaled Model Tests)

  • 배우석;권영철;김종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7권5호
    • /
    • pp.350-359
    • /
    • 2007
  • 노천광산이나 도로 철도의 대절토사면 등은 급경사를 형성하며 대부분이 토양층을 포함하지 않는 암반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암반 비탈면은 풍화와 파쇄가 발달해 있으며 경사가 심하여 표면침식에 의한 탈락과 붕괴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암반 비탈면의 붕괴억제 등 토압의 지지를 위해 가장 널리 쓰이는 토류 구조물로는 현장 타설식 콘크리트 옹벽이나 석축 등이 있으며, 기존의 옹벽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구조물로 기성 부재를 결합하여 시공하는 조립식 격자옹벽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립식격자옹벽의 변형거동을 평가하기 위해 배면 strecher의 형상과 벽체의 높이와 경사에 따른 실내모형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을 통해 옹벽경사의 변화에 따른 상대적인 변위를 측정하고 위치별 변위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옹벽을 구성하는 header와 strecher 중 상부하중 전달의 역할을 수행하는 rear strecher의 유 무와 rear strecher의 형태에 따른 옹벽의 거동특성, 옹벽 배면채움재의 변위 특성 및 작용점의 위치를 측정하고 조립식 격자 옹벽의 하중-변위 특성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조립식 격자 옹벽의 파괴는 옹벽의 높이가 감소함에 따라 파괴하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최대변형률의 크기가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동일한 경사와 높이에서 rear strecher의 형태는 최대수평변위 발생위치와 변형의 크기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며 벽체의 경사에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