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Shuttle Guidanc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우주발사체의 정밀한 외연적 유도 알고리듬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Precise Explicit Guidance Algorithm for Space Launch Vehicles)

  • 송은정;조상범;박창수;노웅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853-86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3단형 발사체의 상단부 폐루프 유도 방식 선정을 위해 널리 알려져 있는 Space Shuttle의 PEG 알고리듬보다 유도명령의 형태가 최적화 해에 가까운 Jaggers가 제안한 직접식 유도 방식에 대해서 다루었다. 이 알고리듬을 주어진 발사체의 상단부인 2단 및 3단 비행 구간에 적용할 경우에 대해서 유도 성능을 분석했다. 또한 보다 정밀한 유도를 위해 알고리듬 유도를 위해 사용된 근사식들을 가능한 사용하지 않도록 했으며 원래의 알고리듬에 비해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한국형 우주비행기의 기준 항력 추종 기반 재진입 유도 기법 (Reentry Guidance for Korean Space Plane Based on Reference Drag Following)

  • 윤다인;김영원;이창훈;최한림;유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8호
    • /
    • pp.637-64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 우주비행기(KSP)에 대한 새로운 재진입 유도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법은 우주 왕복선 유도 개념과 유사하게 다양한 비행경로 제약조건과 경계조건을 만족시키는 기준 항력 프로파일을 미리 결정하고, 결정된 기준 항력 프로파일을 추종하는 방식으로 유도명령이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항력 동역학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항력과 비행경로각의 동역학적 응답 특성이 상당히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사실을 바탕으로 제안한 유도명령은 시간분리 기법과 궤환선형화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제안한 유도기법의 주요 특징은 간단한 구조와 명확한 작동 메커니즘에 있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구현이 간단하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비행성(Flying Qualities) 의 발전과정 (Flying Qualities from Early Airplanes to the Space Shuttle)

  • 김호식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9-129
    • /
    • 1996
  • 이 기술해설은 1989년 7 - 8월호 Journal of Guidance and Control ( Vol. 12, No. 4) 에 실린 William H. Phillips의 "Flying Qualities from Early Airplanes to the Space Shuttle"의 논문을 발췌, 번역한 것이다. 여기서는 비행성 연구에 관한 역사적인 발전과정과 비행성 요구조건의 변천에 대하여 그 내용을 비행성의 영역, 초기의 발전과정, 요구조건에 관한 연구, 지령식 조종계통, 돌풍반응과의 관계, 그리고 비행성의 예측과 양식(format)등으로 구분하여 간단히 소개한다.

  • PDF

교통약자용 무료 셔틀버스 실내의 물리적 환경 특성 예비연구 - 노인의 특성을 중심으로 - (A Preliminary Study on the Physic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Free Shuttle Bus Interior for Vulnerable Pedestrian.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

  • 정상원;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56-164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nvironment of existing free shuttle bus Interior centered on elderly people who frequently use free shuttle b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improvement of existing free shuttle buses. In the case of the old type, in terms of accessible design, the middle entrance is not normally opened except the wheelchair occupant, so that the entrance of the front wheel is always used. Therefore, most elderly people go to the back seat and travel distance is twice longer. In addition, many stairs caused frequent inconveniences for boarding. In the case of the new type, it is planned to be a low-floor type, and various types of safety rods and handles, pictograms for enhancing the information convenience are well-equipped,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overall design characteristic is high. However, in the case of mental st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at of the bus is colored with a cold color system and is in a different relationship with the warm color which can feel mental stability. Overall, both old and new shuttle buses lack audiovisual feedback on bus routes and route guidance in terms of Supportive design. Also, since the cleaning tools and other miscellaneous items were left in the room, it became an obstacle to space utilization in terms of adaptable design. In terms of safety, both shuttle buses did not come into view with fire extinguishers shaded by miscellaneous items. Therefore, immediate action is unlikely in case of emergency. This problem should be resolved quick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