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Arragemen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국민주택규모 APT 거실의 가구사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using living room furniture in the apartment size for the common people)

  • 이명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7-95
    • /
    • 1992
  • This study attempts to fix an appropriate quantity of space evaluation, focusing on important furniture room visual environment element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living room is affected by an evaluational factor among factors of space evaluation. 2. In the space estimation for the furniture, the wall furniture is important in the living room because the arragement and occupying proportion of the wall furniture varies widely. 3. In the living room of the APT siza for the common people an appropriate quantity of furniture is classified into 3 types of the occuppying proportion. As the floor occupancy proportion supporting furniture is 13~19%, wall furniture is 10~16% and total furniture which combined both the supporting furniture and the wall furniture is 23~34%. Second, the proportion occupying the wall is 6~9% for the supporing furniture, 9~20% for the wall furniture, and 21~31% for the total furniture. Finaly the proportion occupying the space is 6~9% for the supporting furniture, 9~20% for the wall furniture, and 21~31% for the total furniture. Finaly the proportion occupying the space is 6~9% for the supporting, 6~10% for the wall furniture, and 11~16% for the total furniture.

  • PDF

한옥표준설계도의 평면도 공간배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pace Arrangement in 'Standard Korea Traditional-Houses Desig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79-586
    • /
    • 2019
  • 본 연구는 경상북도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는 한옥표준설계도 4개 타입 32개 종류의 평면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목표는 한옥표준설계도의 타입별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한옥을 설계하고자 하는 이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옥표준설계도에 현대주택에서 사용하는 현관과 같은 건축구성요소를 포함시켜 현대인의 삶을 수용하려고 노력하였다. 2. 농촌의 다양한 대지조건에도 불구하고 한옥표준설계도에서도 거실과 현관을 남쪽으로 배치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추후 확장을 위한 여분의 공간도 있었다. 3.침실개수는 2개 또는 3개가 가장 많았고 이에 침실의 개수 추가 및 농촌의 다양한 기능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공간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4. 공간구문론과 감마맵을 이용한 공간깊이 분석에서 안방의 공간 깊이는 툇마루에서 진입하는 동선보다 현관에서 진입하는 동선이 공간의 깊이가 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안방의 공간 깊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되는 만큼 충분한 공간깊이로 확보될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노후생활주택단지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노후생활에 대한 주의식과 노후 생활주택단지에 대한 욕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Elderly Housing - Focuses on Conciousness of Living Arrangement for Elderly and Needs towards Elderly Housing-)

  • 지순;윤복자;홍영기;김은덕;신화경;최희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5-113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future demands of elderly housing and to give the basic data for elderly housing.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1) to investigate the conciousness of living arragement for elderly; 2) to dientify the needs towards private and group space, entertainment facilities, support facilities, and management methodes. For the objective 1,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322 male adults selected from relatively high econoic level in Seoul. For the objective 2, questionnares were interviewed to 30 male adults who lived with their spouses only, selected from 322 respondents. Data from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X^{2}$-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