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Grain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32초

공차율을 고려한 유연한 수입곡물 화물차운영이 물류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lexible Operation of Imported Grain Transportation Vehicles on Logistics Costs by Considering Empty Transfer Rates)

  • 김병찬;양대용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93-203
    • /
    • 2012
  • This study analyzed regular transportation costs between port warehouses and processing plants and between processing plants and central distribution centers and further transportation costs relations according to empty transfer rates in each circulation by examining the distribution routes of imported grain including wheat, barley, corn, and soybean, namely port warehouses, processing plants, and central distribution center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compared and reviewed the logistics transportation cost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lternative model show that logistics operational costs could be considerably cut down by introducing a flexible vehicle transportation operational method, which is to change the vehicle loading parts for proper substitute transportation after unloading and transport them to other locations such as central distribution centers instead of returning empty, as an alternative to high operational costs deriving from empty vehicle operation in each circulation after unloading items in case of transportation of imported grain and processed items. The results allow for a more realistic approach to general problems with large-scale distribution network operation and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to serve as a guide to establish policies for corporate operation of imported grain logistics systems.

곡물배지가 느타리버섯의 균사배양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id grain media on the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and its biofunctional activity)

  • 류현순;손미예;조용운;갈상완;이상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14
    • /
    • 2004
  • 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전통 장류발효식품의 개발 및 버섯가공산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상식하고있는 7종류의 곡물배지에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을 행하고 그 배양추출물의 생리활성 등을 검토하였다. 곡물을 냉수에 4시간 수침시킨 후 물 빼기를 한 다음 곡물 중량비에 대하여 수분을 25%(V/W) 전후로 첨가하고 증자시간을 30분 행하는 것이 느타리버섯 균사생육에 효과적이었다. 7종류의 곡물배지에 느타리버섯 균사를 고체 배양한 결과 조와 보리쌀 배지에서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고 그 다음은 대두박과 검정콩 배지로 나타났으며 밀, 옥수수 및 현미배지에서는 생육이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 균사추출물들이 폐암세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옥수수, 대두박, 현미, 보리쌀 및 검정콩 배지에서 비교적 높은 항암성을 나타내었고, 조와 밀의 배지에서는 낮은 항암성을 나타내었다. 혈전용해활성은 대두박, 밀, 조, 보리쌀, 현미, 검정콩, 옥수수배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Pseudomonas aeruginosa 및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높게 나타났다.

  • PDF

하전작물 품종 및 재배기술의 1962년 이후 변천 (Changes in Variety and Cultural Practices of Soybean, Sweet Potato and Corn Since 1962 in Korea)

  • 홍은희;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62-469
    • /
    • 1982
  • Since 1962, varieta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for summer upland crops have been actively initiated by the Crop Experiment Station, Office of Rural Development, Suweon, Korea. The major breeding objectives of soybeans have been to develop varieties which are early maturing, disease resistant, and adaptable to late planting for after-barley cropping. Development of eleven new soybean varieties including Hwangkeumkong, Jangyeobkong, Danyeobkong, and Kwangkyo has greatly increased the soybean yield throughout country. For com, after development of Hwangok #2, a synthetic, in early 1960's, nine corn hybrids-single crosses, double-crosses, and three-way crosses-such as Jecheon-ok, Hoengseong-ok, Kwangok, Suweon #19, etc., have been disseminated mainly to Kangweon province, a major corn producing area in Korea, and drew up the yield over 4 tons per hectare. The major breeding objectives of sweet potato have been to develop varieties which have high starch content and root yield. Hwangmi, Hongmi, and Shinmi are three sweet potato varieties developed and disseminated by the Crop Experiment Station, Office of Rural Development and are grown most widely in Korea. Most of researches on cultural practices of upland crops have begun on a full scale from early 1960's. In soybeans, for example, no fertilizer but for barley was applied although the effects of phosphate and potassium fertilizers were great on soybeans in after-barley soybean croppings. The effects of heavy application of phosphate and calcium fertilizers on soybeans in newly reclaimed soils were recognized. Recently a mixed fertilizer for soybean (N; 40, P:70, K:60 kg/㏊) was developed and sold for soybean growers. The optimum planting densities of 220, 000 plants/ha in full-season cropping and 330, 000 pts/ha in after-barley cropping of soybeans were known from repeated experiments. For higher yield, a means of cultural practices such as transplanting-pinching, direct planting-pinching, and hilling-up, etc., were developed along with barley-stubble planting with no tillage and integrated herbicide application for labour savings. For sweet potato, cultural practices for planting date, harvesting date, fertilizer, and planting density were fully established. For early marketing, a technique of vinyl-mulching on sweet potato has also fully developed. For com, planting density of 37, 000 pts/ha in early 1960's has been changed to 55, 000 pts/ha for grain production and 67, 000 pts/ha for silage. The amounts of fertilizers have also been changed from 120-120-120kg/ha (N-P-K) in early 1960s to 180-150-150 kg/ha. These increases in number of plants per unit area and fertilizer levels have resulted in greater production for both grain and silage. At the same time,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F1 seeds have also improved.

  • PDF

경기북부지역 콩 생산에 미치는 지구온난화의 영향 (Geographical Shift of Quality Soybean Production Area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by Year 2100)

  • 서희철;김성기;이영수;조영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42-249
    • /
    • 2006
  • 육상생태계에 나타날 수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생태계모형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작물생육모형의 경우 포장단위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기후변화정보만 적절한 공간단위로 제공된다면 경관규모에서 상세한 공간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경기북부지역은 청정환경과 함께 고품질 콩 재배에 알맞는 기후지대이지만 기후변화에 의해 이 지역 내 콩 재배단지가 어떤 영향을 받을지 궁금하다. 향후 100년간(2011-2100) 예상되는 기후조건에서 선발된 10ha 이상 규모의 342개 단지를 대상으로 CROPGRO-Soybean에 의해 조중만생 콩 품종의 생육을 모의하였다. 이를 위해 3개 기후학적 평년(2011-2040, 2041-2070, 2071-2100)에 대해 월별 30m 격자형 기후변화 자료로부터 각 재배단지의 일 최고 및 최저 기온, 강수량, 강수일수, 일사량을 추출하고, 각 평년별로 일기상자료를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무작위로 30년치씩 생성하였다. 미래 3개 평년의 기상자료에 의해 생육모형을 구동하여 342개 재배단지의 생장, 발육, 수량특성을 모의한 결과 온난화가 진행될수록 콩의 개화기와 성숙기가 단축되며, 전체적인 생육기간은 $7{\sim}9$일 정도 줄어들었다. 수량은 조중생종의 경우 온난화에 따라 $1{\sim}15%$ 정도 감소하였는데 반해 만생종은 증가 후 감소하였다. 그 결과 현존하는 재배구역의 남북간 생산성 차이가 미래에는 크게 감소하거나 품종에 따라 역전되는 현상이 기대된다.

Varietal Difference of Dry Matter Production and Photosynthetic of Middle and Lower Leaves in Soybean

  • Cho, Jin-Woong;Kim, Choong-Soo;So, Jung D.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5-30
    • /
    • 200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ry matter production and the yield productivity among nine soybean cultivars by measuring the photosynthetic ability of the middle and lower leaves at the flowering and the seed development stages. The leaf greenness(SPAD value) were ranged as 32-42 at the flowering stage. Also, They were ranged as 25-40 and 38-51 at the fifth leaf and the seventh leaf, respectively. The photosynthetic ability at the flowering and the seed development st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oybean cultivars, and the photosynthetic ability at the seed development stage showed higher difference among cultivars than the flowering stage. The variation of the photosynthetic ability at the flowering and the seed development stage also was significant among cultivars. The light saturation point at the flowering stage was about 1500 $\mu$mol $m^{-2}$ $s^{-1}$ PAR, and the seed development stage was about 1000 $\mu$mol $m^{-2}$ $s^{-1}$ PAR. The photosynthesis showed the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eaf area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af area ratio. Also, photosynthesis at seed development stag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grain yields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between photosynthesis and yields at flowering stage..

풋콩품종의 생육, 수량 및 외관품질 특성과 파종기의 영향 (Growth, Yield, and Quality of Vegetable Soybean and Their Responses to Different Planting Dates)

  • 김홍식;고문환;김석동;홍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8-235
    • /
    • 1995
  • 본 시험은 일본에서 도입된 풋콩용품종인 화엄풋콩과 석량풋콩과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장류 및 두부용콩 품종인 장엽콩을 1992년 4월15일, 5월 15일 및 6월 15일에 파종하여 풋콩용품종과 우리나라 장류 및 두부용콩품종과의 생육, 수량 및 외관품질특성과 그 특성에 대한 파종기의 영향을 규명하여 콩 육종 및 재배의 기초자과를 얻고자 수행한 바 그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특성은 풋콩용품종인 화엄풋콩과, 석량풋콩이 장류 및 두부용콩인 장엽콩에 비하여 이생종으로서 내도복성이며 저협조밀도가 높게 보이고 유효저협절수비율이 높았다. 2. 10a당 풋콩수량은 풋콩용품종인 화엄풋콩과 석량풋콩이 장류 및 두부용콩인 장엽콩에 비하여 다소 낮으나 2∼3립협의 종품수량이 높았고 대립이었으며, 500a당 생조수, 생조장 및 폭으로 본 외관상 품질도 좋았다. 3. 풋콩용품종인 화엄풋콩과 석량풋콩은 4월15일 파종에서 생육이 양호하고 풋콩수량이가장 높았으며, 500a당 생조수는 적었고, 생조장 및 폭 이 길어져 외관상 품질이 향상되어 이기파종에서 수량과 품질이 유리하였다.

  • PDF

대두생력재배(大豆省力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대두(大豆)의 만파밀식재배(晩播密植栽培)에 있어서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Labour Saving culture of Soybean (II) -The Effect of Nifrogen Fertilization Amount on the Growth and Grain Yield of Densely and Lately Seeded Soybean)

  • 최창렬;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권1호
    • /
    • pp.27-33
    • /
    • 1974
  • 본시험(本試驗)은 대두생력재배(大豆省力栽培)의 일환(一環)으로 만파밀식재배(晩播密植栽培)에 있어서 알맞은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기(發芽期)는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의 차이(差異)에 따라 아무런 변이(變異)도 나타내지 않았으나 개화기(開花期) 및 성숙기(成熟期)는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할수록 늦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간장(稈長) 및 절간장(節間長)은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길어졌으며 경경(莖徑)은 반대(反對)로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가늘어 짐으로써 이들이 도복(倒伏)을 초래(招來)하는 원인(原因)이 되었다. 3) 주당협수(株當莢數)는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감소(減少)되었으며 1,000입중(粒重)도 또한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4) 10a당(當) 수량(收量)은 품종간(品種間)에는 고도(高度)의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으나 처리간(處理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그러나 조생종(早生種)인 품종(品種)(충북백(忠北白))은 극만파재배(極晩播栽培)(7월(月)5일(日)파종(播種))인 경우(境遇)도 10a당(當)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을 6kg 수준(水準)으로 증시(增施)함으로서 수량(收量)의 증가(增加)를 초래(招來)할 수 있었다.

  • PDF

Growth Performance of Nursery Pigs Fed 30% Distillers Dried Grain with Solubles (DDGS) and the Effects of Pelleting on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 Zhu, Zhengpeng;Hinson, Rodney B.;Ma, Li;Li, Defa;Allee, Gary 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6호
    • /
    • pp.792-798
    • /
    • 2010
  • Four experiments with 2,020 nursery pigs (Triumph-4${\times}$PIC Camborough 22) were conducted at a commercial research site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cluding 30% distillers dried grain with solubles (DDGS) in late nursery diets on pig growth performance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pelleted and meal diets containing 30% DDGS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Exp. 1, 312 pigs (10.54${\pm}$0.16 kg) were allotted to two diets: corn-soybean meal based control diet and a corn-soybean meal diet containing 30% DDGS. In Exp. 2, 337 pigs (16.70${\pm}$0.14 kg) were used to validate Exp. 1 with similar diets. In Exp. 3, 665 pigs (11.77${\pm}$0.12 kg) were allotted to diets containing 30% DDGS, but in different forms: meal or pellet.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the final day of the trials to measure nutrient and energy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In Exp. 4, 706 pigs (18.40${\pm}$0.18 kg) were allotted to the same diets as Exp. 3. In Exp. 1 and 2, there was no (p>0.05) effect of DDGS on ADG, ADFI or G:F. In Exp. 3, pelleting improved (p<0.01) ADG (578 vs. 541 g/d) and G:F (714 vs. 674 g/kg), with no difference (p>0.05) in ADFI. The ATTD of most nutrients and energy were improved by pelleting (p<0.05). In Exp. 4, ADG (717 vs. 675 g/d) and G:F (680 vs. 648 g/kg) were improved by pelleting (p<0.01), with no difference (p>0.05) in ADFI. In conclusion, 10-23 kg pigs in late nursery phase can be fed up to 30% DDGS without having a detrimental effect on pig performance, and pelleting the diet will increase nutrient and energy availability.

벼, 콩, 고추의 생육시간별 인공 산성비에 대한 내성 (Tolerance of Rice, Soybean, and Hot Pepper to Simulated Acid Rain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이석순;김태주;김복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48-555
    • /
    • 1994
  • 작물의 생육시기별 산성비에 대한 내성과 피해양상을 알기 위하여 벼, 콩, 고추 3개 작물을 영양생장기-수확기 또는 생식생장기-수확기에 pH2.7의 인공산성비를 10mm씩 2일 간격으로 처리한 후 작물의 생육,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작물의 피해양상, 식물체 중 엽록소, 질소, 황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공산성비에 대한 잎의 가시적 피해는 벼 < 고추 < 콩의 순으로 컸으며, 생식생장기-수확기 처리보다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에서 피해가 더 심했다. 피해증상은 벼는 갈색반점, 콩은 황화현상과 갈색반점, 고추는 작은 갈색반점이나 구멍이 생겼다. 2. 생식생장기에 조사한 벼, 콩, 고추의 엽록소 함량은 모두 pH 2.7 인공산성비의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 < 생식생장기-수확기 처리 < 무처리 순으로 높았으나 광합성 능력은 차이가 없었다. 3. 질소 함량은 벼에서는 인공산성비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콩과 고추에서는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에서 생식생장기-수확기 처리 혹은 무처리보다 질소 함량과 흡수량이 많았다. 4. 황 함량은 벼, 콩, 고추에서 모두 차이가 없었으나 흡수량은 벼 와 콩에서는 인공산성비 처리 기간이 길수록 많았다. 5. 벼와 콩의 수량은 pH 2.7 인공산성비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벼는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에서 임실률, 등숙률, 1,000립중이 감소하였다. 고추는 주당 과실수와 과중의 감소로 수량은 영양생장기-수확기 처리 < 생식생장기-수확기처리 < 무처리 순으로 높았다. 6. 인공산성비를 개화기에 1회 처리할 때 벼는 pH2.3이하에서 영화에 갈색반점이 생기며, 콩과 고추는 각각 pH 1.7 및 2.0에서 꽃잎은 시드나 과실은 생장하였다. 인공산성비의 pH가 2.6에서 1.7까지 낮아질 때 콩은 협당립수가 감소하였으나 벼의 임실률과 고추의 착과율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사료첨가제로서 맥주박이 장수풍뎅이 유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Brewers' Dried Grain as a Feed Additive for the Korean Rhinoceros Beetle, Allomyrina dichotoma)

  • 송명하;이희삼;박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01-1506
    • /
    • 2018
  • 장수풍뎅이 유충은 쌍별귀뚜라미와 갈색거저리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과 함께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 일반식품원료로 등록되었다. 이에 곤충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이와 함께 양질의 곤충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용곤충 전용 먹이원 개발 등과 관련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식품가공 부산물은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기타 여러 가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가축 등 동물 사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귤박, 비지박, 대두박, 맥주박 등 4종의 식품가공 부산물을 첨가한 먹이원 급여에 따른 장수풍뎅이 유충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장수풍뎅이 3령 유충에 10% 맥주박을 첨가한 먹이원을 급여했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유충의 무게 또한 대조구 대비 약 26%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충기간에 있어서도 10% 맥주박을 첨가했을 때 약 120일로 대조구보다 28일 이상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10% 맥주박 첨가 실험구의 용무게와 용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맥주박이 장수풍뎅이 사육용 사료 소재로서 충분히 활용될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맥주박은 시중에서 쉽고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곤충사육 농가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 부산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식용곤충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사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