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rbus commixta Hedl.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6초

정공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Sorbus commixta HEDL Cortex Extract)

  • 김태혁;유진균;김정미;백종미;김현숙;박정해;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1418-142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정공피 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효능을 검증하였고, 멜라닌 생성의 첫 단계인 tyrosinase 활성, mouse melanoma B16BL6 세포 생존율 및 TRP-1, TRP-2 mRNA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정공피 물추출물은 DPPH 및 hydroxy 라디칼 소거 작용을 통하여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TRP-1, TRP-2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공피 물 추출물이 직접적으로 B16BL6 melanoma 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정공피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민간약 "마가목"의 생약학적 연구 (P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Korean Folk Medicine "Ma Ga Mog")

  • 박종희;도원임;김미희
    • 생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2-34
    • /
    • 2009
  • Korean folk medicine 'Ma Ga Mog' has been used as a remedy for rheumatis, cough and bronchitis in Korea.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been no pharmacognostical confirmation on it.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Ma Ga Mog',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bark of Sorbus amurensis Koehne, S. commixta Hedl. and S. sambucifolia (Cham. et Schltdl.) Roemer var. psuedo-gracilis C. K. Schneid. were studied. As a result, it was clarified that 'Ma Ga Mog' from Korea was the bark of Sorbus amurensis Koehne and S. commixta Hedl.

마가목의 항암활성탐색 (Anticancer Effect of Sorbus commixta Hedl Extracts)

  • 이미경;이현용;이진하;오진석;최근표;김재헌;김종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403-408
    • /
    • 2002
  • 마가목 잎, 수피, 열매 추출물의 Spore-rec assay와 Ames test에 의한 항돌연변이 활성탐색 결과, 추출물 모두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열매와 수피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MNNC에 대하여 높은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인간 암세포주를 이용한 항암효과 실험은 먼저 정상간세포인 WRL68에 대한 세포독성효과를 검토한 결과, 0.75mg/ml 이하의 농도에서 수피의 물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20% 이하의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추출물 자체의 세포 독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간 폐암세포(A549), 유방암세포(MCF7), 간암세포(HepG2)에 대한 세포독성 결과, 수피의 에탄올 추출물이 폐암세포주인 A549에 대하여 1.0 mg/ml의 농도에서 94%의 가장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능을 나타내었으며, 0.75mg/ml 이상의 농도에서 65%이상의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 대하여서는 0.75mg/ml 이상의 농토에서 58%이상의 생육억제능을 나타내었으며,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이 1.0mg/ml의 농도에서 91%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간암세포주인 HepG2에 대하여서는 수피와 열매의 추출물들이 0.75mg/ml 이상의 농도에서 56%이상의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마가목 잎, 열매, 수피 추출물들은 시료자체의 독성은 낮은 반면 항돌연변이원성 및 암 세포주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이 높아 앞으로 이들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rbus commixta Hedl. Natural Populations in Mt. Chiri

  • Kim, Sea-Hyun;Han, Jin-Gyu;Chung, Dong-J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70-578
    • /
    • 200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asic vegetation informatio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Sorbus commixta habitat in Korea, 31 plots in Mt. Chiri area were selected of which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e habitat was classified as S. commixta community group which was then subdivided to Prunus padus group and Picea jezoensis group. Prunus padus group was classified in Ainsliaea acerifolia subgroup and Magnolia sieboldii subgroup, while the Picea jezoensis group was classified in Rhododendron mucronulatum subgroup and Echinopanax horridum subgroup. Thus, the forest vegetation of S. commixta was classified in 1 community, 2 groups and 4 subgroups, and found to have 4 vegetation units in total.

한반도내 당마가목의 실체와 근연종과의 관계-전형질분석을 중심으로 (Using morphometrics to unravel species relationships and delimitations in Sorbus pohuashanensis in the Korean peninsula)

  • 박수경;길희영;김휘;장진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00-311
    • /
    • 2013
  • 플라보노이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반도 아고산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당마가목[Sorbus pohuashanensis (Hance) Hedl.]은 중국 내륙에 분포하는 S. wilsoniana, S. amabilis과 동일한 화학형을 보이거나, 혹은 마가목[S. commixta Hedl.]의 화학형이 집단별로 나타나 잡종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근연종과 잡종가능성이 제기되는 중국 내륙의 개체들과 당마가목과 마가목 분포지인 한중일의 721개 개체의 19개 형질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시도하여 분류군의 형태적 분화와 형질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정량적 형질에 대한 단변량과 다변량분석에서 마가목분류군 전체 종간에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는 식별형질은 찾지 못한 반면, 정성형질인 동아의 색, 동아와 잎 뒷면의 털의 색깔 및 유무, 탁엽의 모양의 차이와 심피의 모양에서 종간 식별 형질을 확인하였다. 형태 분석과 플라보이드 연구 결과, 한반도에 분포하는 한반도당마가목은 중국동북 3성과 극동러시아의 당마가목(S. pohuashanensis)과는 전혀 다른 화학형으로서, 중국 내륙에 분포하는 S. wilsoniana와 마가목과의 과거 잡종이입에 의한 분류군으로 판단된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추정 교잡종인 당마가목은 정량적, 정성적으로 마가목과 형태적으로 별다른 차이점을 확인할 수 없어, 역사적 종의 개념(historical species concept)에 의한 신 잡종기재보다는 전형질적 종의 개념(phenetic species concept)에 근거하여 마가목과 동일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여 마가목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Selection of Superior Trees for Larger Fruit and High Productivity in Sorbus commixta Hedl.

  • Kim, Sea-Hyun;Jang, Yong-Seok;Chung, Hun-Gwan;Choi, Myoung-Sub;Kim, Sun-Chang
    • Plant Resources
    • /
    • 제6권2호
    • /
    • pp.120-128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n analysis of the variation for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among the selected ten populations of Sorbus commixta Hedl. could be used for the conservation of gene resources and could provide information to superior trees selec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pproximately, the Mt. Sungin population at Ulleung island showed larger values in overal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s. On the other hand, Mt. Halla population at Jeju island showed the smaller values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populations. ANOV A tes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leaf characteristics among the populations as well as individual trees within populations. But, for fruit characteristics,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among the populations. Cluster analysis using single linkage method based on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en selected populations of S. commixta in Korea could be clustered into three groups. Group I is Mt. Sungin at Ulleung island, Group II is Mt. Halla at Jeju island, and Group III comprises Osan, Mt. Kaji, Mt. Duckyoo, Mt. Balwang, Mt. Sobaek, Mt. O-dae, Mt. Jiri, and Mt. Taebaek. The selection level based on major agronomic traits, which are the Number of Fruit per Fruiting Lateral(NFL) over 50, and Fruit Length(FL) and Width(FW) over 10 mm, and Weight of 100 Fruit(WFI00) over 66 g, was applied on 100 sample trees, and five trees were selected. The selection effects from selected trees in NFL, FL, FW, and WF100 were evaluated as 132%, 151 %, 142%, and 264% compared to the mean of those 100 sample trees, respectively. Especially, Ulleung 2 showed excellent values that NFL and WFI00 were 95, and 69 g, respectively, suggesting a promising new cultivar for larger fruit and high productivity.

  • PDF

마가목 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 향상(向上) 및 육묘기술(育苗技術) (Study on germination rate enhancement and seedling raising-method development on Sorbus commixta Hedl.)

  • 이성열;조수현;노준현;윤종탁;유창연;이진하;김종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5-142
    • /
    • 2003
  • 본 연구는 마가목의 발아율 제고 및 육묘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마가목 종자는 무처리에서 22.6%정도의 저조한 발아율을 보였으나, BA 200ppm을 20분간 처리에서는 78.9%정도로 발아율이 높았다. 산사나무 종자는 최고 11.1%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화학약품과 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발아율 증가는 없었다. 출현율은 상자 육묘와 포트육묘 재배 시 93-95%로 높았으며, 49공 포트육묘 재배 시 육묘기간 50일 묘에서 근장이 길고, 건조근중이 높아 근생육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상자육묘 재배 시 육묘기간이 40일 묘에서 초장, 건조엽중이 포트육묘 보다 높았으며. 결과적으로 마가목의 실생육묘시 포트육묘로 50일 재배 후 이식하는 것이 가장 양호 하였다.

마가목의 열매 추출물이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uit extracts from Sorbus commixta Hedl.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 정병희;이현용;이진하;김나영;이성열;최진태;김재헌;김종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3-147
    • /
    • 2003
  • Sprague-Dawley rats에 동결건조한 마가목 열매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식이에 1% 수준으로 첨가하여 4주간 사육한 결과, 성장률과 식이섭취량에 있어서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 중의 total cholesterol과 triglyceride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마가목 열매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군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HDL-cholesterol과 phospholipids 및 glucose는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장 중의 triglyceride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메탄올추출물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물추출물군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간장 중의 total cholesterol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물추출물군과 메탄올추출물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phospholipids 함량은 물추출물군과 메탄올추출물군이 대조군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다. 분변량은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담즙산 배설은 물추출물군과 메탄올추출물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마가목 6개 천연집단의 열매와 종자 형질 변이 (Variation of Fruit and Seed Morphology of 6 Natural Populations of Sorbus commixta Hedl. in Korea)

  • 송정호;장경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1-6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분포하는 마가목의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 열매와 종자 형태에 대한 변이를 조사하였다. 6개 천연집단의 42개 개체목에서 열매를 채취하여 열매특성 6가지와 종자특성 4가지를 분석하였다. 모든 특성들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특히, 결실지당 열매수와 열매당 종자수 특성은 전체 분산 가운데 집단이 차지하는 비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변이계수 값은 결실지당 열매수와 종자무게 특성이 다른 특성들(11.9~32.1%)에 비해 높은 42.0~75.3%의 값을 나타냈다. 상관분석결과 결실지당 열매수 특성은 위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경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각각 나타냈다. 군집분석결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집단들이 유전적으로 가깝게 묶이는 경향을 나타냈다. 주성분분석결과 집단간의 유연관계에 의미를 갖는 3개 주성분을 도출하였는데 전체 분산에 대한 설명력은 87%였다. 제1주성분은 종자길이와 종자무게, 제2주성분은 열매폭과 종자지수, 제3주성분은 열매길이와 결실지당 열매수 특성이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