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rbus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초

공주시 공산성의 산림식생 구조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Gongsanseong, Gongju-Shi)

  • 정용문;권용호;이상화;최재용;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25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se an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Gongsanseong forest through phytosociological and quadrat method with 20 plot samples. In result, the forest was classified as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The subcommunity was composed of Quercus aliena and Zelkova serrata. The average vegetation coverage of Quercus aliena subcommunity was upper tree layer (83%), lower tree layer (48%), shrub layer (39%), and herb layer (30%), while the average vegetation coverage of Zelkova serrata subcommunity was upper tree layer (76%), lower tree layer (52%), shrub layer (40%), and herb layer (45%). The order of importance value of the forest community with DBH 2cm above plants was Quercus acutissima (72.62), Quercus aliena (40.52), Prunus sargentii (19.81), Styrax japonica (19.39), Zelkova serrata (15.78), Robonia pseudoacacia (14.76), Quercus variabilis (13.83), Sorbus alnifolia (13.71), Platycarya strobilacea (10.74), Pinus densiflora (10.08), and Quercus serrata (9.31). According to breast diameter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ce value of Prunus sargentii and Zelkova serrata will be continuously increased while Quercus sp. is dominating the forest. With the result of ordinat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est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could be affected by soil nutrition, moisture, and elevation etc.

도시림 식생의 생태적 특성과 복원모델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storation Model of Vegetation in the Urban Forest)

  • 김석규;주경중;남정칠;박승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0-9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 to restoration model of Pinus thunbergii in Saha-gu, Busa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is presented by separating community planting and edge planting. In community planting, as a group of canopy, there are 6 species; Pinus thunbergii, Quercus acutissima, Quercus dentata, Quercus serrata, Quercus alienna, Quercus variabilis. As a group of understory, there are 5 species; Platycarya strobilacea, Prunus sargentii, Styrax japonica, Eurya japonica, Morus bombycis. Also as a group of shrub, there were 15 kinds of species; Ulmus pavifolia, Ulmus davidiana, Lindera obtusiloba, Elaeagnus macrophylla, Mallotus japonicus, Ligustrum obtusifolium, Sorbus alnifolia, Rhus trichocarpa, Zanthoxylum schinifolium, Rosa wichuraiana, Rhus chinensis, Viburnum erosum, Rhododendron mucronulatum, Rhododendron yedoense, Indigofera pseudotinctoria. And as a group of edge vegetation, there were 10 kinds of species; Japanese Angelica, Symplocos chinensis, Pittosporum tobira, Lespedeza maximowiczii, Lespedeza bicolor, Rubus coreanus, Rubus idaeus, Vitis thunbergii, Ampelopsis brevipedunculata, Rosa multiflora. Vegetation restoration models of Pinus thunbergii community were calculated the units $400m^2$ for the average populations of the woody layer is 24 in canopy layer, 35 in understory layer, 410 in shrub layer, 34% herbaceous layer ground cover. And the average of breast-high area and canopy area is $10,852cm^2$ in canopy layer, in understory layer $1,546cm^2$, in shrub layer $1,158,660cm^2$.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rees is calculated as 2.0m in canopy layer, 1.9m in understory layer.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I) -소나무림 보존계획-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I) - The Conservation Planning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

  • 이경재;임경빈;조재창;류창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3-32
    • /
    • 1990
  • 속리산지역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분석 및 보존대책을 위하여 2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l0$\times$10m 방형구 5개씩 설치)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에 대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방법과 DCA ordination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classification과 DAC ordination방법에 의한 군집분리가 명확하지 않았다. 추정된 천이과정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쇠물푸레나무, 갈참나무, 팥배나무, 산벚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 까치박달나무의 순이었고, 교목하층에서는 개옻나무, 생강나무$\longrightarrow$쪽동백, 당단풍, 노린재나무$\longrightarrow$비목나무, 덜꿩나무의 순이었다. 속리산지역 소나무림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방해극상적인 생태적 관리방법에 의해 교목하층에 자라고 있는 활엽수를 제거하여야 한다.

  • PDF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II)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식생분석 - (Studies on the Structure of the Forest Community in Mt. Sokri(II) -Analysis on the Plant Community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 이경재;박인협;조재창;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3-43
    • /
    • 1990
  • 속리산국립공원 법주사지역의 삼림군집을 대상으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및 DCA의 ordin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고 천이계열을 추정하기 위하여 70개 조사구(1조사구당 500$m^2$)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에서 6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어 소나무 군집, 신갈나무-소나무 군집, 졸참나무-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졸참나무 군집으로 나뉘었고, 분리환경인자는 해발 고와 토양습도였다. 본 연구에서는 DCA기법이 TWINSPAN보다 효율성이 더 좋았다.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는 소나무, 팥배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longrightarrow$서어나무와 소나무, 쇠물푸래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이었고, 교목하층 및 관목층에서는 참싸리, 개옻나무. 산초나무$\longrightarrow$철쭉, 참개암나무, 생강나무, 함박꽃나무$\longrightarrow$참회나무로 추정되었다. 산화발생에 의해서 식물군집의 종다양성은 매우 감소하였고, 참나무류의 상대우점치는 증가하였다.

  • PDF

설악산 국립공원 잣나무 천연림의 군락유형 및 임분구조 (Community Type and Stand Structure of the Korean Pine(Pinus koraiensis) Natural Forest in Seoraksan National Park)

  • 송연희;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9-40
    • /
    • 2006
  • 잣나무 천연림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설악산 대청봉 일대의 잣나무 천연림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던 바 설악산 잣나무 천연림의 군락유형은 잣나무군락에서 단풍취군과 철쭉군으로 분류되었고, 단풍취군은 시닥나무소군과 실새풀소군으로 세분되어졌다. 본 조사지의 중요치 결과를 보면 잣나무, 분비나무, 청시닥나무, 사스래나무, 당단풍, 마가목, 신갈나무 순으로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의 종다양도의 범위는 0.44에서 0.86이고, 종내경쟁보다는 종간의 경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5개 매목조사구에서 DBH 10cm이하의 잣나무는 35개체로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었으며, 잣나무가 현재 상층임관을 점하고 있으나 하층목의 우점도가 낮아 그대로 방치하면 차대림은 다른 종으로 천이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본 조사지의 잣나무 개체는 직경생장에 있어서 느린 생장과 빠른 생장의 시기가 교대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기적인 교란이 발생하였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Sangwonsa, Pirobong, Horyo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 김갑태;추갑철;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1-159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의 상원사-비로봉-호령봉-상원사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3개의 방형구(20*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젓나무, 복장나무-분비나무, 젓나무-난티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피나무와 백당나무, 분비나무와 정향나무, 정향나무와 호랑버들, 소나무와 젓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 신갈나무와 가래나무, 조릿대와 나래회나무, 고로쇠나무와 고광나무, 젓나무와 나래회나무, 사스래나무, 정향나무 및 호랑버들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2973~1.4633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오대산 국립공원 두노봉-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분비나무림과 주목림 -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urobong-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 Abies nephrolepis and Taxus cuspidata Forest -)

  • 김갑태;엄태원;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60-168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의 두로봉, 상왕봉 지구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19개의 방형구(10*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고산지대에 생육중인 주목과 분비나무를 대상으로 생육현황표를 이용하여 잎의 변색, 낙엽율, 줄기, 신초와 소지, 정아우세, 수세 등의 항목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두 개의 군집(주목군지보가 신갈나무-사스래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주목과 미역줄나무, 마가목; 분비나무와 신갈나무; 호랑버들과 부게꽃나무; 신갈나무와 참빗살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저으이 상관이 인정되었고, 주목과 분비나무, 신갈나무 및 사스래나무; 분비나무와 미역줄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대상지의 종다양도(H')는 1.2499~0.9608로 나타났다. 분비나무의 생육현황조사의 점수평균은 6.1점이며, 고사목의 비율이 10.9%였다. 주목의 생육현황조사의 점수평균은 17.3점이었고, 피해유형은 정단부를 비롯한 가지의 고사, 줄기의 동공, 줄기가 구부러지는 것 등의 세 가지였다.

  • PDF

국내 성인 여성의 음주 인식과 형태 및 천연 소재를 활용한 항산화 맥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of Alcoholic Beverage among Women and Development of Anti-Oxidant Beer Natural Ingredients)

  • 신복희;유선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24-937
    • /
    • 2017
  •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20대부터 60대까지의 국내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366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항산화 맥주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항산화 수제 맥주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자는 음주 인식에 대해 긍정적으로 확인되었으며, 국내 성인 여성들은 맥주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체력, 기분, 상황, 장소, 동행자 유형에 따라 음주 형태는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주정으로 추출된 천연 소재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 효과를 확인하였고, 수제 맥주 선호도 조사에서는 아로니아 열매를 첨가한 군이 전체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국내 성인 여성 음주 및 항산화 맥주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강원 남부지역 분비나무림의 식생구조 및 특성 분석 (Vegetation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Abies nephrolepis Forest in Southern Region of Gangwon-do, Korea)

  • 신동빈;오승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2호
    • /
    • pp.224-233
    • /
    • 2022
  •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종인 분비나무가 생육하는 임분 식생의 종조성과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강원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현장 식생조사와 식물사회학적 군집분류를 실시하였다. 약 400 m2 규격의 총 192개소를 대상으로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따른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원지표종분석(TWINSPAN)과 표조작법을 이용하여 식생유형을 분류하고 각 식생단위별 중요치와 종다양도를 산출하였다. 군락 유형을 분류한 결과, 강원 남부지역 분비나무 분포지의 산림 식생유형은 분비나무-당단풍나무군락, 분비나무-관중군락, 분비나무 전형군락으로 구분되며, 분비나무-당단풍나무군락은 4개의 아군락과 2개의 변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목본성 수종의 중요치 분석 결과 분비나무,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마가목, 피나무, 당단풍나무 등이 높은 생태적 지위를 띠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An Analysis of Permanantly Shaded Areas and the Defect Rate of Landscape Trees in Apartment Complexes Using Daylight Simulations

  • Park, Sang Woo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3-345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trees that can be used for planting design and construction for permanently shaded areas by grasping the growth status of trees according to the daylight conditions of the outdoor spaces of apartment complexes. Methods: On the recently completed apartment complexes, daylight conditions were analyzed by using daylight simulations utilizing Solar Access Analysis of Ecotect Analysis. With a criteria for assessment of tree condition, the defect rate of trees planted in permanently shaded areas and green spaces with good daylight conditions was analyzed to suggest trees applicable to permanently shaded areas. The first tre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8, 2019 to February 15, 2020, focusing on trees planted in permanently shaded areas, and the second tree survey of all the trees planted on the study sites including permanently shaded areas was conducted from March 16 to March 30, 2020. Results: Evergreen trees which are classified as shade intolerant trees including Pinus densiflora, Thuja occidentalis, and Abies holophylla showed a higher defect rate of trees among the trees planted in permanently shaded areas. Taxus cuspidata, Zelkova serrata, Cornus kousa, Chionanthus retusus and Acer palmatum which are classified as shade tolerant trees and shade moderate tolerance trees seemed to be able to be used in the plant design of permanently shaded areas in apartment complexes because the trees showed good growth and a low tree defect rate. In addition, although it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due to a small number of samples, Sorbus commixta and Prunus cerasifera var. atropurpurea also can be used for planting in permanently shaded areas. Conclusion: The daylight simulation technique used to analyze permanent shaded areas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analysis tool considering the daylight environment at the stages of design and construction, and additional research will be required to analyze tree growth according to daylight conditions through data accumulation and monitoring by managing records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of trees in the process of planting and mainte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