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ution growth

검색결과 2,914건 처리시간 0.032초

산성비와 오존에 대한 두 수종의 생장반응 (Growth Responses of two Tree Species Exposed to Simulated Acidic Rain and Ozone)

  • Lee, Woong-Sa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31-141
    • /
    • 1994
  • One-year-old yellow-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 and sweetgum (Liquidambar styraciflua L.) seedlings were exposed to 0.10 ${\mu}l/l\;O_3$and simulated acid rain at pH 3.0 for ten consecutive weeks. Shoot height growth (SHG), fresh weight (FWT), dry weight (DWT), apparent plastochron duration (APD) and foliar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None of growth measurements, except the apparent plastochron duration (APD),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ny treatment in yellow-poplar seedlings. APD was approximately 30% higher in seedlings exposed to $0.1{\mu}l/l\;O_3$ + pH 5.6 solution than any other treatment. Ozone significantly reduced SHG of sweetgum seedlings by 24% at the end of the ten-week fumigation. There were also significant effects of single and combined effects of ozone and simulated acid rain on APD in sweetgum. AP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19.8% and 25.7% in seedlings exposed to $0.1{\mu}l/l\;O_3$ and pH 5.6 solution, respectively, and resulted in 46.1% higher APD in seedlings exposed to $0.1{\mu}l/l\;O_3$ + pH 5.6 solution compared with seedlings exposed to $0.0{\mu}l/l\;O_3$ + pH 3.0 solution. Phosphorus and sulphur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seedlings exposed to simulated rain at pH 3.0 compared with pH 5.6 for both species. Foliar S concentration was higher in seedlings exposed to $0.0{\mu}l/l\;O_3$ + pH 3.0 than in seedlings exposed to any other treatment in sweetgum. Ozone significantly increased Ca in sweetgum seedlings, however, ozone reduced Ca in yellow-poplar. Ozone also reduced S and Mg in sweetgum seedlings.

  • PDF

소나무 묘목의 생장 및 영양상태에 미치는 Mn의 영향 (Effects of Mn on the Growth and Nutrient Status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Nutrient Culture Solution)

  • 이충화;이승우;진현오;정진현;이천용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5호
    • /
    • pp.349-352
    • /
    • 2002
  • Mn 처리에 대한 소나무 묘목의 생장 및 영양상태의 반응을 수경재배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Mn 처리 농도별(0, 30, 60ppm) 배양액의 pH를 4.0으로 조절한 후, 소나무(Pinus densiflora) 2년생 묘목을 배양액에 이식하여 90일 동안 온실에서 생육시켰다.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은 Mn 처리에 의하여 감소하였으며, 상대생장율(RGR)과 순동화율(NAR) 감소에 대한 Mn의 영향이 인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배양액의 Mn 농도 증가에 의해 잎의 건물생산효율이 저하되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식물체내 원소함량에 대한 Mn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소나무 묘목의 줄기와 뿌리내 Ca 및 Mg 함량은 Mn 60ppm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Mn 농도는 뿌리에 비하여 잎에서 3배 가량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무처리구에 비해 Mn 처리구에서 순광합성 속도의 감소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뿌리의 양분 흡수저해 및 뿌리에서 잎으로 이행된 Mn의 과잉축적에 의한 광합성 저해를 반영하는 것으로써, 결과적으로 소나무 묘목의 건물생장량 감소가 이들 결과의 복합적인 영향에 의해 초래되었음을 시사한다.

Determining the Proportions of Bone and Cartilage Growth in the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Using the Modified Simultaneous Differential Staining Technique

  • Lee, Jin-Heo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37-341
    • /
    • 2010
  • The modified simultaneous differential staining technique, which enables double staining of cartilage and bones, needs to be improved to prevent soft tissues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staining process. Key factors influencing the extent to which soft tissues are damaged include the fixative used, macerating time, potassium hydroxide concentration, incubation temperature and the removal of skin from specimens. Here we describe a protocol that enables the hardening of tissues during bleaching and maceration. We also describe a method for objectively measuring rates of cartilage and bone growth. The use of formalin as a fixative rendered soft tissues more rigid due to the resulting chemical bonds formed between proteins. Blotted specimens were immersed in 1% potassium hydroxide (KOH) and incubated at $37^{\circ}C$ for 1 day (smaller specimens) or 2-3 days (larger specimens). The 1% KOH solution was also used as the diluent solution for the subsequent immersion in a graded series of 30%, 50%, 70%, 90%, 100% glycerol solutions, a procedure that made soft tissues even more transparent and hardened. It was not necessary to remove the skin of specimens shorter than 2 cm, since the macerating solution could easily penetrate their thin skin layer and continuously remove those pigments hindering visibility. Since excessive osmosis is another factor that can damage soft tissues in the macerating process by causing the rupture of those cells not able to withstand the osmotic pressure, here it was minimized by balancing the salt concentration betwee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cells with the addition of 0.9% sodium chloride (NaCl) in the macerating solution. Finally, to determine the proportions of cartilage and bone growth, photographs of the stained specimens were taken with a dissecting microscope and sections corresponding to the cartilage and bones were cut out from the printed pictures and weighed. Our results show that this method is suitable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of bone and cartilage growth.

양액농도와 Cu 스트레스가 양액재배 머스크멜론의 수분포텐셜, 침투포텐셜 및 팽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centrations of Nutrient Solution and Cu Stress on the Water Potential, Solute Potential and Turgor Pressure in Hydroponically Grown Muskmelon)

  • 장홍기;정순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5-70
    • /
    • 1996
  • 1. 배양액의 EC(mS/cm)와 배양액의 수분포텐셜은 직선적인 관계가 있고, EC의 증가는 배양액의 수분포텐셜 저하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상위엽의 수분포텐셜이나 침투포텐셜이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2. 물리화학, 열역학적인 지표가 되는 수분포텐셜($\phi$w)은 배양액 뿐만 아니라 식물의 근, 경, 엽 및 과실에서의 수분 상태를 동일 단위로 나타내는 것으로 식물의 생장을 제어할 때 유일한 지표인 것으로 나타났다. 3. 배양액의 수분포텐셜 저하에 따라 상위엽의 수분포텐셜이나 침투포텐셜이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4. 배지내 Cu 농도가 5$\mu\textrm{m}$이상으로 되면 생육, 지상부의 생체중, 지하부의 건물중, 엽록소 함유율이 동시에 급격히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5. 배지내 Cu 농도의 증가에 따라서 생장율의 저하가 나타났으며 생장율의 저하에 따라 상위엽의 수분포텐셜이 저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팽압은 처리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게 나타나 팽압과 배지내 배양액의 Cu 농도 스트레스간에는 직접적으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포텐셜($\psi$w)은 식물신장, 세포신장을 수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원이 되는 용액이나 배지, 식물체를 동일 단위(㎫)로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 식물체의 수분생리적 비교 검사를 위한 유효한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 PDF

질소 시비농도가 잎들깨의 생육, 생리장해 발현 및 무기원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Deficiency Symptom and Tissue Nutrient Contents of Leaf Perilla (Perilla frutesens) as Influenced by Nitrogen Concentrations in the Fertigation Solution)

  • 최종명;박종윤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5-371
    • /
    • 2007
  • 본 연구는 질소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잎들깨를 관비재배 하면서 질소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생육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질소 무시비구에서 지상부 식물생육의 심한 억제 현상과 노엽의 엽신 전체가 황화된 후 점차 괴사하는 결핍증상이 나타났다. 질소 시비농도가 높아질수록 정식 75일 후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무거워졌고, 엽병 추출액의 $NO_3-N$ 농도와 토양 $NO_3-N$ 농도가 높아졌으나, 20mM 시비구에서는 질소과잉증상이 나타났다. $10{\sim}15mM$ 시비구에서 가장 바람직한 생장을 보였으며, 이때의 질소 함량은 건물중 기준으로 $0.9{\sim}1.25%$, 엽병추출액 및 1:2 추출법으로 분석한 토양의 $NO_3-N$ 농도가 각각 $800{\sim}3,300mg{\cdot}kg^{-1}$$28.7{\sim}47.3mg{\cdot}L^{-1}$ 범위에 포함되었다.

맹꽁이 유생의 생장과 생존에서의 염분영향 (Effect of Salinity on the Survival and Growth of Larvae of the Boreal Digging Frog (Kaloula borealis))

  • 고상범;고영민;이정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33-538
    • /
    • 2015
  • 우리는 염분농도가 맹꽁이 초기발생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2013년 6월에 제주지역 해안가에서 산란하는 맹꽁이 포접쌍의 알을 가지고 실시하였다. 염분농도는 0, 1, 3, 5, 7‰로 하여 알에서 외부아가미가 닫힐 때까지 생존여부와 생장을 관찰하였다. 또 다른 실험은 내부아가미 단계인 올챙이를 0, 1, 3, 5, 7‰의 염분농도에 넣어 생존율과 생장률을 관찰하여 두 실험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알 - 외부아가미 단계에서는 3‰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이 생존하였으나 5‰에서는 생존율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7‰에서는 모든 알이 죽는 것으로 나타나 염분농도가 5‰이상에서는 맹꽁이 초기발생에 생존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아가미 단계에서의 유생들은 5‰까지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7‰에서는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생장률인 경우도 염분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생장이 느려지고 있었고 외부아가미 단계 및 내부아가미 단계 모두 5‰에서 생장률이 대조군과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 염분의 농도가 높을수록 맹꽁이 유생의 생존과 생장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해안지역 개발에 따른 부작용인 맹꽁이의 감소에 대한 종 보존에 대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양액농도가 추식 수경재배 나물자원 3종의 생장과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ifferent Concentration of the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the Inorganic Matter Contents of Three Kinds of Fall Planting Namul Resources in Water Culture)

  • 조자용;김홍기;양승렬;박윤점;김현주;허북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12
    • /
    • 2007
  • 나물자원의 수경재배시 양액농도가 생장 및 무기물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벌개미취, 원추리 및 질경이를 펄라이트 배지에 추식하여 70일간 재배 한 후 생장정도와 무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다. 벌개미취와 원추리의 초장, 줄기직경, 잎의 수, 신선중 및 건물중은 1.5배액 처리구에서 확연하게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질경이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은 양액의 농도가 0.2재액에서 1.5배액으로 증가할수록 증가한 반면, 엽수와 근장은 0.5배액과 표준농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a Mg 및 Na 함유량은 벌개미취의 경우 1.5배액에서, 원추리와 질경이는 0.25배액에서 가장 많았다. K 함량은 벌개미취와 원추리는 0.5배액에서, 질경이는 1.5배액에서 가장 많았다. $P_2O_5$는 나물종류 및 양액의 농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혼합영양생물인 Scenedesmus acuminatus의 반연속 배양 시 성장특성 연구 (Growth Characteristics of Mixotrophic Scenedesmus acuminatus under Semi-Continuous Culture System)

  • 고시원;홍가이;이태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32-338
    • /
    • 2017
  • 본 연구는 혼합영양생물인 Scenedesmus acuminatus의 최적배양조건을 찾기 위한 연구로서 최적 공기주입량, 아세테이트 주입량, $CO_2$ 주입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공기주입량은 0.72 vvm에서 최대 비성장속도와 최대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으며, 0.3 M의 아세테이트를 주입하였을 때 최대 비성장속도와 최대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얻었다. 반연속배양에서는 추가로 $CO_2$ 주입이 배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CO_2$ 주입 실험에서는 아세테이트로 50% 치환한 후에 최대비성장속도($0.460d^{-1}$)와 최대바이오매스 생산성($0.936gL^{-1}d^{-1}$)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후 치환이 계속될수록 최대비성장속도와 최대바이오매스 생산성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공기주입 실험에서는 JM 배지로 배양할 때 가장 높은 비성장속도($0.381d^{-1}$)와 최대바이오매스 생산성($0.253gL^{-1}d^{-1}$)을 보여주었지만 이후 아세테이트를 함유한 배지로 50% 치환하였을 때 오히려 초기값보다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Bonus' 토마토 반촉성 수경재배 시 착과절위에 따른 식물체, 공급액 및 배액의 무기성분 농도 변화 (Changes in Inorganic Element Concentrations in Leaves, Supplied and Drained Nutrient Solution according to Fruiting Node during Semi-forcing Hydroponic Cultivation of 'Bonus' Tomato)

  • 이은모;박상규;이봉춘;이희철;김학헌;윤여옥;박수복;정선옥;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8-45
    • /
    • 2019
  •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을 이용한 배액의 재활용은 수자원 및 생산비 절감, 환경오염 방지를 위하여 중요하다. 따라서 일반 토마토인 'Bonus'를 110일간 반촉성 수경재배하면서 생육 단계별 식물체, 공급액 및 배액의 무기원소 농도 분석을 통하여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착과절위에 따른 엽의 T-N 함량은 생육 초기에 약 4.1%로 높았으나 생육 후기로 갈수록 낮아져 8화방 개화기에는 3.9%로 낮아졌다. P 함량은 초기에 높았으며, 3-7화방까지는 비슷하였고, 8화방에서 낮았다. Ca, Mg 및 Na은 생육초기보다 후기로 갈수록 함량이 높아져 8화방 개화기에 가장 높았다. 토마토 생육 기간이 경과할수록 공급 양액과 배액의 $NO_3-N$, P, K, Ca 및 Mg 농도는 정식 5주 후까지의 생육 초기에는 비슷하였으나 생육 후기로 갈수록 공급액보다 배액에서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B, Fe 및 Na의 경우 생육 초기에는 배액의 농도가 약간 높았으며 중기 이후부터 공급액보다 배액의 농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토마토 순환식 반촉성 수경재배 시 배액의 무기원소 농도를 교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NUMERICAL METHODS FOR A STIFF PROBLEM ARISING FROM POPULATION DYNAMICS

  • Kim, Mi-Young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13권2호
    • /
    • pp.161-176
    • /
    • 2005
  • We consider a model of population dynamics whose mortality function is unbounded. We note that the regularity of the solution depends on the growth rate of the mortality near the maximum age. We propose Gauss-Legendre methods along the characteristics to approximate the solution when the solution is smooth enough. It is proven that the scheme is convergent at fourth-order rate in the maximum norm. We also propose discontinuous Galerkin finite element methods to approximate the solution which is not smooth enough. The stability of the method is discussed. Several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