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ar Cell System

검색결과 790건 처리시간 0.028초

3D 스캔을 이용한 실리콘 태양전지의 휨 현상 측정 연구 (Measurement of Bow in Silicon Solar Cell Using 3D Image Scanner)

  • 윤필영;백태현;송희은;정하승;신승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9호
    • /
    • pp.823-828
    • /
    • 2013
  • 실리콘 태양전지의 두께를 줄일 경우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중에서 태양전지의 휨 현상은 제품 수율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제품 상용화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의 실리콘 웨이퍼 두께를 가변하였을 때의 휨 정도에 대해 정밀하게 측정하고자 하였다. 측정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 비 대칭성 형상에 대해 자세하고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3D 이미지 스캐너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가 감소할수록 휨 정도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곡률 또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가 감소할 수록 휨 정도의 편차가 증가하여 형상의 비 대칭성이 증가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 또한 Ag 전극의 부착이 휨 현상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백시트 종류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방열 특성 평가 (Evaluation of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PV Module with Different Backsheet)

  • 배수현;오원욱;강윤묵;이해석;김동환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39-42
    • /
    • 2018
  • When the PV module is illuminated in a high temperature region, solar cells are also exposed to the high temperature external environment.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solar cell inside the module is increased, which causes the power drops.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duce the operating temperature and compensate the power of solar cells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such as installing of a cooling system. Researches have been also reported to lower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solar cells by improving the heat dissipation properties of the backsheet.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test to measur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each module components and the external temperature when the light was irradia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temperature. Backsheets with different thermal conductivities were compared in the test. Finally, in order to expla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outside of the module, we proposed an evaluation method of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photovoltaic modules with different backsheet.

VHF-PECVD를 이용한 다결정 실리콘 박막 증착 및 태양전지 제조 (Poly-Si Thin Film and Solar Cells by VHF-PECVD)

  • 이정철;정연식;김석기;윤경훈;송진수;박이준;권성원;임광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2
    • /
    • pp.995-998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the deposition of poly-Si thin-film and fabrication of a solar cell by VHF-PECVD method. The poly-Si thin films. and pin-type solar cells are fabricated using multi-chamber cluster tool system. A 7.4% conversion efficiency was achieved from poly-Si thin film solar cells with total thickness less than $5{\mu}m$. The physical characteristic was measured by Raman spectroscopy, solar cell characteristic was measured under AM1.5 illumination.

  • PDF

SOLAR-LED 시스템과 저탄소녹색동굴조명 (Low Carbon and Green Growth Cave Lightings with SOLAR-LED System)

  • 소대화;강상택;소현준
    • 동굴
    • /
    • 제95호
    • /
    • pp.15-21
    • /
    • 2009
  • 온실가스와 지구촌 온난화, 그리고 이를 치유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과 필요한 대안기술은 마치 성난 자연을 잠재우기 위한 노력과 그에 필요한 재원을 동원하기보다도 더 어려운 일인가보다. 한정된 화석연료는 수십 년 내에 고갈될 수밖에 없으며, 국제무대에서 나라마다 자원을 확보하려는 외교활동의 치열함은 마치 자원 확보를 위한 전쟁을 방불케 하는 모습이다. 화석연료의 고갈은 친환경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대안정책을 불러왔고, 태양에너지 활용을 위한 태양전지기술은 날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세상을 밝혀주기 위한 조명광기술은 석유등, 백열등으로부터 발광다이오드에 이르러 첨단 광역시장을 이루었다. 따라서 이들을 탄생시킨 반도체기술로부터 태양전지와 발광다이오드를 접목시켜 일체화시킨 SOLAR-LED 시스템과 함께 저탄소녹색조명의 동굴응용 기술을 조명한다.

다목적 위성 태양전지 모델링 및 해석 (Modeling and Analysis of Solar Array of KOMPSAT)

  • 정규범;이상욱;최완식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1997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5-369
    • /
    • 1997
  • In this paper, solar array of KOMPSAT was modeled and analyzed. The modeling results of solar array was achieved by neural algorithm, which is powerful of nonlinear system with a few data sets. The algorithm was analyzed and verified by simulation considering on solar cell data of KOMPSAT. The characteristics VI curves and power generation of solar array are analyzed by using the modeling.

  • PDF

EAV2 전기추진비행기용 동력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wer System for the EAV2 Electric Propulsion Vehicle)

  • 이보화;박부민;양수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0년도 제3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16-819
    • /
    • 2010
  • 태양전지, 연료전지, 이차전지와 같은 동력시스템을 사용하는 EAV2 전기비행기의 특정 비행 전 구간에서 걸쳐 필요한 추진요구전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비행영역에서 최적의 추진시스템 무게로 공급가능전력에 대한 동력 시나리오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길이 6m, 폭 0.35m의 글라이더형 전기추진비행의 위해서는 최적의 추진시스템 무게는 7.06kg이며, 연료전지 500W와 이차전지 100W의 전력으로 비행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MPPT Control and Architecture for PV Solar Panel with Sub-Module Integrated Converters

  • Abu Qahouq, Jaber A.;Jiang, Yuncong;Orabi, Mohamed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4권6호
    • /
    • pp.1281-1292
    • /
    • 2014
  • Photovoltaic (PV) solar systems with series-connected module integrated converters (MICs) are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because of their ability to create high output voltage while performing local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control for individual solar panels, which is a solution for partial shading effects in PV systems at panel level. To eliminate the partial shading effects in PV system more effectively, sub-MICs are utilized at the cell level or grouped cell level within a PV solar panel.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a series-output-connection MPPT (SOC-MPPT) controller for sub-MIC architecture using a single sensor at the output and a single digital MPPT controller (sub-MIC SOC-MPPT controller and architecture). The sub-MIC SOC-MPPT controller and architecture are investigated based on boost type sub-MICs. Experimental results under steady-state and transient conditions are presen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controller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architecture.

태양광 어레이 설치 위치 및 각도변경 전후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출력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V System Output Changes by PV Array Installation Position and Mount Angle Change)

  • 윤정필;차인수;최정식;김동묵;박종복;하민호;김원배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2권4호
    • /
    • pp.189-194
    • /
    • 2014
  • In this paper, We have simulated the output variation of the PV arrays installation with position & angle change. The existing 3 solar array system are $43^{\circ}$ southeast and each of the mounting angle is $17^{\circ}$. The PV output power is 240 kW. The composite studied systems in this paper arrays altered 2 PV array among 3 PV array system- the output 144kW. We simulated this system using Solar Pro ver.4.1. The simulation conditions are southwest $43^{\circ}/array$, mount angle $27^{\circ}/array$. Because the southeast have shadow effect-higher mountain The purpose of southwest $43^{\circ}$ is reduce the shadow effect.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suggestion design algorithm compared to 1,590 kWh/year output is increased with the southeast.

독립형 태양광시스템에 적용한 태양광 모듈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mulation of Photovoltaic Module for Stand-Alone Photovoltaic System)

  • 황계호;김원곤;윤종보;문인호;이봉섭;정도영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31-137
    • /
    • 2009
  • 본 논문은 일사량과 온도의 조건에 따른 태양전지 셀의 등가회로 모델을 모델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제작사의 태양광 모듈을 시뮬레이션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태양광 모듈의 사양서와 시뮬레이션 값의 오차율이 낮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또한 최적인 태양광 모듈 어레이를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인 태양전지 모듈 어레이의 규모를 선택하여 독립형 태양광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 특정지역에 설치시 최적인 출력전력도 시물레이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의 벅 컨버터 모델링과 해석 (Modeling and Analysis of The Buck Converter in Photovoltaic Power Conditioning System)

  • 정승환;최익;최주엽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039-1048
    • /
    • 2013
  • 일반적으로 벅 컨버터 제어기는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도록 설계하지만,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의 벅 컨버터 제어기는 설계 방식을 달리 구분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을 위하여 벅 컨버터의 입력 전압(태양광전지의 출력 전압)을 제어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컨버터의 입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벅 컨버터 모델을 제시한다. 이 컨버터 모델은 최대전력점(MPP)에서 동작점을 두어 선형화한 태양광전지의 모델을 포함하며,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신호와 소신호로 나누어 분석한다. 또한 일반적인 선형제어기를 설계하였을 때, 제어 가능성을 분석하여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