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bentonite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Soil Acidity and Organic Matter by Applic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Soil Mulching with Pine Needles for Soil Surface Management in Blueberry Eco-Friendly Farming

  • Ahn, In;Kim, Sam-Hyun;Maeng, Woon-Young;Lee, In-Eae;Chang, Ki-Woon;Lee, Jong-J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56-562
    • /
    • 2013
  • The blueberry eco-friendly farming requires the soil condition of pH 4.2 ~ 5.2 and high in organic matters for stable growth. Most of soil types of blueberry-growing land in Korea, however, belongs to alkaline soils with low organic matter content. As a result, the eco-friendly blueberry growers use peat moss and sulfur powder heavily to improve the soil condition, but the guideline on the effective use of organic materials was not established yet. Therefore, this stur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creasing soil acidity and organic matters by using organic materials. Among 5 organic materials, the pH of soil was lowest in degradable sulfur + bentonite (pH 4.1) and followed by Peat moss+Chaff+Pine Needlesmixtures(pH 4.5), OrganicAcid +vinegar (pH 4.7), Sulfur powder (pH 4.8), Temperature response Elutioner (pH 5.2). The soil organic matter content were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Peat moss+Chaff+Pine Needlesmixtures (8.4%) > degradable sulfur + bentonite (7.8%) > Organic Acid + vinegar (7.2%) > Sulfur powder ${\fallingdotseq}$ Temperature response Elutioner (6.3%). Although different in the degree, all organic materials treated was recognized a good material for improving soil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 The plant height and stem diameter of blueberry were no clear difference among 5 organic materials. Another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mending soils with organic matter by soil mulching with pine needles for soil surface management in blueberry organic cultiva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oil pH by pine needle mulching in blueberry eco-friendly farming was recognized in four test fields. Pine needle mulching for soil surface management in blueberry appeared several advantages, such as improving of soil pH and organic matter content. Therefore, pineneedle mulching in blueberry organic farming is considered as the most efficient means of mulching cultivation for amending soil pH, weed suppression and moisture conservation among mulching materials.

매립지 침출수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한 반응성 차수재 개발

  • 이현주;박재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395-398
    • /
    • 2003
  • Geosynthetic Clay Liners(GCLs) have been widely used as hydraulic barrier in landfills and remediation projects of contaminated site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modify GCLs for effective removal of contaminants. We perform the free swell test, hydraulic conductivity test, and contaminants (TCE, hexavalent chromium, and nitrate) removal test on the bentonite-ZVI mixture with various ZVI content. As the ZVI content increased, contaminants removal efficiencies and swell volume increased, and hydraulic conductivity decreased.

  • PDF

토양유형별(土壤類型別) 삼요소(三要素) 및 점토광물(粘土鑛物)의 전량전층(全量全層) 시용(施用)이 수도생육(水稻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Whole Layer Placement of Total Amount of N.P.K Application with Clay Minerals on the Growth and the Yield of Paddy Rice in Different Soil Types)

  • 김상효;최정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14-20
    • /
    • 1985
  • 사질계(砂質系) 답토양(畓土壤) 유형별(類型別)로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및 Bentonite와 Zeolite를 동시(同時)에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이 수도생육(水稻生育)고 수량(收量) 및 토양개량(土壤改良) 효과(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포장(圃場) 시험(試驗)하였다. 수도수량(水稻收量)은 삼요소(三要素)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에 비(比)해 삼요소(三要素)와 점토광물(粘土鑛物) 동시(同時) 전량전층(全量全層) 시용(施用)이 증수(增收)되었는데 사양토(砂壤土)에서는 Zeolite 1.0 M/T, 사토(砂土)에서는 Bentonite 0.5 M/T, 시용(施用)이 각각(各各) 5%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었고 사토((砂土)에서 Bentonite 1.0 M/T 시용(施用)은 1% 수준(水準)에서 유의증수(有意增收)되었다. 출수기(出穗期) 수도경엽중(水稻莖葉中)의 양분함량(養分含量)은 삼요소(三要素)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에 비(比)해 삼요소(三要素)와 점토광물(粘土鑛物)을 동시(同時)에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함으로써 질소(窒素)와 규산함량(珪酸含量)은 높아졌고 인산(燐酸) 및 염기(鹽基)의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또 토양(土壤)의 pH와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다소 높아졌고 유효규산(有效珪酸) 및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 PDF

토양광물 (Soil Mineralogy)

  • 장용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호
    • /
    • pp.36-44
    • /
    • 1998
  • 우리 나라에서 토양의 점토광물에 관한 최초의 연구는 1958년 김제지방의 답 토양에 관한 연구로 (Dewan, 1958)시작되었다. 1960년대 시작하여 1970년대 까지는 주로 토양점토광물의 동정이 이루어 졌다. 점토광물의 동정(同定)에 사용된 잔적토(殘積土)(Residual Soil)로는 화강암(花崗岩),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 현무암(玄武岩), 석회암(石灰岩), 혈암(頁岩), 제(第)3기층(紀層), 홍적층(洪積層) 유래 토양과 토양종류별(土壤種類別)로는 과부식회색토(寡腐植灰色土), 염류토(鹽類土), 충적토(沖積土), 적황색토(赤黃色土), 화산회토(火山灰土), 퇴적토(堆積土), 갈색토(褐色土), 암쇄토(岩碎土), 저위생산답(低位生産畓)이였으며, 토양점토광물(土壤粘土鑛物)과 작물수량성(作物收量性) 관계에 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와서는 토양중의 1차광물과 점토광물의 풍화에 대한 안정도와 1차광물의 동정이 행해졌으며, 이밖에 Kaolinite 입자의 전하에 관한 연구등 점토광물의 흡착과 활성 연구, 점토광물의 토양개량재로서의 흡착과 화학적 특성 변화 연구와 점토광물의 토양개량 시용효과에 관한 연구가 행해졌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토양 중의 1차광물과 점토광물의 정량에 대한 자료가 축척되었고, 토양의 풍화에 대한 안정성과 생성기작, Zeolite와 새로운 광물이 합성되었다. 또한 합성광물을 이용한 농업과 산업광물로의 응용성 환경 산업에서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시도되었다. 토양의 점토광물의 조성에 관한 연구는 토양 모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화강암(花崗岩)에서는 Halloysite,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에서는 Kaolinite, Metahalloysite, Illite, 산성암(酸性岩)에서는 Kaolinite, Venrmiculite와 Chlorite의 중간광물, 현무암(玄武岩)에서는 Illite, Kaolinite, Vermiculite, 석회암(石灰岩)에서는 Vermiculite-Chlorite 중간광물, Kaolinite와 Illite, 혈암(頁岩)에서는 Kaolinite, Halloysite, Illite 외 Vermiculite-Chlorite, 화산회토(火山灰土)에서는 Allophane이 주광물이었다. Soil Taxonomy와 토양광물과의 관계에서, 답 토양에서는 Entisols의 주점토광물은 2:1형과 1:1형 광물이지만 Inceptisols와 Alfisols에서는 Halloysite가 대부분이다. 밭 토양의 경우는 Alfisols의 주점토광물은 Vermiculite, Illite, Kaolinite이었고, Ultisols에서는 Vermiculite-Chlorite 중간광물이었다. 산림토양에서는 Inceptisols중에서 Andept는 Allophane, Alfisols에서는 2:1 광물이지만, Ultisols에서는 Halloysite이다. 모재별 조암 광물의 풍화와 점토광물의 생성과정에서 화강암(花崗岩)과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의 장석류(長石類)는 kaoline광물로, 이 밖의 운모광물(雲母鑛物), 녹니석(綠泥石), 각섬석(角閃石), 휘석(輝石)으로부터 생성된 illite, chlorite, vermiculite는 풍화중간에 혼층단계(混層段階)를 거쳐서 kaoline 광물로 풍화된다. 석회암(石灰岩) 토양의 smectite가 Mg농도가 높은 토양용액으로부터 침전되어 생성되었거나 운모 또는 chlorite에서 유래된 vermiculite의 변성작용에 의해 생성되고, 혈암(頁岩)토양의 점토에 illite가 주로 풍화에 저항성이 큰 미립자의 함수백운모(含水白雲母)로부터 유래되며, 현무암(玄武岩) 중의 장석류(長石類)는 kaoline광물로, 휘석(輝石)은 chlorite${\rightarrow}$illite의 풍화과정을 거친다. Zeolite, 함불석 Bentonite, Bentonite 등 우량점토 광물이 분포과 광물조성, 이화학적 특성이 조사되었고,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토양의 개량을 위해서 Bentonite, Zeolite, Vermiculite 등의 토양 개량재(改良材)로서의 기초연구와 이들 개량재 시용효과에 관한 연구 등이 주로 논토양에서 수행되었다. 점토광물과 수량관계를 보면 Montmorillonite를 주점토광물로 함유된 답 토양의 수도수량이 1:1 광물을 주점토광물로 함유하고 있는 토양에서의 수도수량 보다 높았다. 토양광물에 관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서 양이온교환능과 포화이온의 영향, 입자의 전기화학적 성질, 흡탈착 성질, 표면적과 등전점, 해성점토에 대한 압밀점토(壓密粘土)의 변형율(變形率)의 추정 등이 주로 연구되었다. 부가가치가 낮거나 폐기되는 광물을 이용하여 토양개량재 혹은 흡착제를 형성하는 연구가 알카리 처리에 의한 Zeolite 합성에 집중되었다.

  • PDF

모형실험을 이용한 안정액 주입 시 공벽붕괴방지 효과 분석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Injected Drilling Fluid for Bore Hole Collapse Prevention)

  • 최정혁;유충식;한윤수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3-6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해상 시추 시 공벽붕괴 방지를 위해 적용되는 시추 안정액(drilling fluid)의 다양한 배합설계에 따른 공벽붕괴방지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결과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내염성점토와 벤토나이트 안정액의 공벽 붕괴 방지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아울러 첨가제 혼합 시 안정액의 성능지표 변화에 대한 실험결과를 간략히 기술하였다. 또한 지반시추(굴착) 및 안정액 투입을 모사하는 토조 장치를 구축하여 세립분이 포함된 화강풍화토 및 모래지반을 대상으로 해수에 배합된 다양한 안정액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고 안정액 투입량, 굴착가능 깊이 등을 측정하여 공벽붕괴 방지 효과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내염성 점토와 벤토나이트 모두 폴리머 첨가시 공벽붕괴 방지효과가 단일 안정액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첨가제로 CMC보다 폴리머가 우수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도출된 연구결과가 실무적 차원에서 지니는 의미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Bacteriophage removal in various clay minerals and clay-amended soils

  • Park, Jeong-Ann;Kang, Jin-Kyu;Kim, Jae-Hyun;Kim, Song-Bae;Yu, Seungho;Kim, Tae-H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33-140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cteriophage removal in various clay minerals and clay-amended soils. Batch experiments in kaolinite, montmorillonite, and bentonite showed that kaolinite was far more effective at the MS2 removal than montmorillonite and bentonite. In kaolinite, the log removal increased from 0.046 to 2.18, with an increase in the adsorbent dose from 0.3 to $50g\;L^{-1}$, whereas the log removals in montmorillonite and bentonite increased from 0.007 to 0.40 and from 0.012 to 0.59, respectively. The MS2 removal in kaolinite-amended silt loam soils was examined at three different soil-to-solution (STS) ratios.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g removal of MS2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kaolinite content and the STS ratio. At the STS ratio of 1:10, the log removal of MS2 increased from 2.33 to 2.80 with an increase in the kaolinite content from 0% to 10% in kaolinite-amended soils. The log removals of MS2 at the STS ratios of 1:2 and 1:1 increased from 2.84 to 3.47 and from 3.46 to 4.76, respectively, with an increase in the kaolinite content from 0% to 10%.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log removals of PhiX174 and $Q{\beta}$ in kaolinite-amended soils were similar to each other, but they were far lower than those of MS2 at all the kaolinite contents. The log removal of PhiX174 increased from 0.16 to 0.32, whereas the log removal of $Q{\beta}$ changed from 0.17 to 0.22 with an increase in the kaolinite content from 0% to 10%.

느슨한 모래지반 개량을 위한 간편고화재의 최적 배합비 및 혼합률 (Optimum Conditions of Simple Solidifying Agent for the Improvement of Loose Sand Ground)

  • 권호진;정기룡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5-21
    • /
    • 2004
  • 본 연구는 느슨한 모래지반에 간편하게 혼합 또는 주입하여 단시간에 고결되는 지반고화재를 개발하는 데 있으며, 지반고화재의 주성분으로 사용한 마이크로시멘트의 공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지반고화재가 최적의 강도와 유동성을 발휘할 수 있는 마이크로시멘트, 벤토나이트, 화학혼화제 등에 대한 최적의 배합비 및 혼합률을 실험을 통하여 구하였다. 시험결과로부터 느슨한 사질토지반의 개량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간편고화재는 마이크로시멘트 : 벤토나이트의 배합비가 70% : 20%, 고화재 혼합률은 8%, 양생기간 5일 정도일 때 효과적인 유동성과 강도를 발휘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Slurry wall 공법에서 안정액의 역할 (I) : 대형모형실험과 설계절차 (The Fluid Loss and Sealing Mechanisms in Slurry Trench Condition (I) : A Large Scale Test and Design Procedure)

  • Kim, Hak-Moon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39-248
    • /
    • 2002
  • 안정액(bentonite slurry)을 이용한 지하연속벽의 건설은 굴착된 trench 내에서 안정액이 침투케익과 표면케익을 포함한 불투수막을 형성함으로서 trench 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구조용 지하연속벽 건설이나 폐기물 매립장의 차수용 연속벽 건설시 지반조건 및 주변여건의 변화에 의하여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안정액 유출과 불투수케익 형성과정을 대형실험으로 모델링하여 그 결과가 slurry trench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현장조건에 적합한 설계절차를 제시하였다.

Effect of microorganism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cohesive soils

  • Yasodian, Sheela Evangeline;Dutta, Rakesh Kumar;Mathew, Lea;Anima, T.M.;Seena, S.B.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4권2호
    • /
    • pp.135-150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the study of the effect of microorganism Bacillus pasteurii on the properties such as Atterbergs' limit and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cohesive soil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liquid limit and plasticity index for all clay soils decreased and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Decrease in plasticity index is very high for Kuttanad clay followed by bentonite and laterite.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for all the soils. The increase was high for Kuttanad soil and low for laterite soil. After 24 h of treatment the improvement in the soil properties is comparatively less. Besides the specific bacteria selected Bacillus pasteurii, other microorganisms may also be taking part in calcite precipitation thereby causing soil cementation. But the naturally present microorganisms alone cannot work on the calcite precipitation.

점토광물 혼합 사료 급여로 발생된 우분의 토양 시용과 질소성분의 변화 (Field Treatment of Cow Manure Originated from the Clay Mineral Feeding and the Change of Nitrogen in Soils)

  • 김정규;이상환;이창호;이남주;손용석;임수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6-371
    • /
    • 1999
  • 점토광물을 혼합한 사료를 급여하여 발생한 우분을 토양에 혼합하여 14, 18, 22, $25^{\circ}C$로 배양하면서 토양 중에서의 질소의 변화과정을 추적하였다. 사료에 혼합한 점토광물은 벤토나이트, 지올라이트, 맥반석이었는데 CEC는 Bentonite> Zeolite > Pophyry로 맥반석은 세 점토광물 중 가장 낮은 값인 12.02이었다. 점토광물을 혼합한 사료 급여후에 배출된 분의 CEC는 Bentonite, Zeolite, Porphyry급여의 경우 147.5, 137.0, 114.0cmol/㎏로 점토광물이 혼합되지 않은 일반분의 107.5cmol/㎏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분과 토양을 혼합하여 $18^{\circ}C$이상의 온도에서 배양되면 8주후에는 처리구간의 차이가 적어져서 안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 배양후 $NH_4\;^+-N$ 함량은 처리구별로 차이를 크게 보이지 않은 반면에 $NO_3-N$ 함량은 Zeolite > Bentonite > Porphyry > 일반분의 순으로 나타났다. 점토광물이 혼합된 분이 처리된 토양에서 NO₃^--N의 함량이 높게 유지된 것은 점토광물에 $NH_4\;^+-N$이 흡착되어 휘산 등에 의한 손실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