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suitability clas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9초

토양의 형태 및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복분자 재배적지 기준설정 (Establishment of Soil Suitability for Korean Black Raspberry by Soil Morphological and Physical Properties)

  • 현병근;조현준;손연규;박찬원;전현정;송관철;문용희;노대철;윤관희;김명숙;이덕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92-98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decision criteria of soil suitability for Korean Black raspberry using soil morphological and physical properties.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in Gochang, Sunchang, Jeongeup, Pohang, and Hoengseong districts in Korea.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factors related to the decision criteria of the soil suitability for Korean Black raspberry cultivation were soil texture, soil drainage class, land slope, and available soil depth. The criteria of the best suitability soil for Korean Black raspberry was valley/fan or hill geomorphology, well or moderately drainage class, B-slope(2-7%), coarse loamy soil texture family, less than <15% gravel contents, and available soil depth deeper than 100cm. The area criteria of soil suitability for Korean Black raspberry of Gochang was more than 50% including best and suitable areas.

토양의 형태 및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고추재배 적지 기준 설정 (Suitability Class Criteria for Red Pepper with Respect to Soil Morphology and Physical Properties)

  • 정석재;박병식;장갑수;현병근;임상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36-340
    • /
    • 2004
  • 고추 주산단지인 충북 제천, 괴산, 경북 의성, 안동 전남 고창 및 강원 평창 등 6개 지역 119 농가포장을 중심으로 실시한 세부정밀토양조사 결과에 의해 밝혀진 토성, 배수 등급, 경사, 석력함량, 유효토심 등의 토양특성과 고추 수량을 비교하여 고추 재배지의 적지기준을 설정하였다. 고추재배지의 토양물리성과 고추수량을 비교하여보면 사양질의 토성, 양호한 배수, 7-15%의 경사, 석력함량 10-20%, 유효토심 100 cm 이상, 경반층 깊이가 100 cm 이상이며 암반노출이 없는 토양에서 수량이 가장 높았다. 고추의 역병 발병율은 점토함량이 많고, 배수가 불량하고. 포장의 경사가 완만하며 석력함량이 적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충북 진천군에 고추 재배적지 기준을 적용한 결과 최적지 22.5,% 적지 21.3%, 가능지 16.0%, 저위생산지 40.2%로 나타났으며 타 지역도 적용할 수 있는 지리정보기반을 구축하였다.

인삼 재배 적지 기준 설정 연구 (Establishment of the Suitability Class in Ginseng Cultivated Lands)

  • 현근수;김성민;송관철;연병열;현동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430-438
    • /
    • 2009
  • 논토양에서 토양의 형태적 및 물리적 특성이 인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배수인자의 영향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표토의 토성과 유효토심의 영향이 컸다. 반면에 지형, 경사, 석력함량 등이 인삼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밭토양에서는 토양의 형태 및 물리적 특성 중 표토의 토성이 인삼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유효토심, 석력함량, 배수 순으로 영향이 컸으나 지형, 경사, 경반층 출현깊이 등은 영향이 작았다. 토양의 형태 및 물리적 특성 중 인삼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큰 지형, 표토의 토성, 배수등급, 경사, 유효토심, 석력함량 및 경반층 출현 깊이를 재배 적지 기준인자로 선정하였다. 다중회귀 확장기법을 이용하여 논과 밭토양에서 각각의 재배 적지 기준 인자가 인삼 수량에 미치는 기여도를 산출하였다. 인삼 재배 적지 기준 인자가 수량에 미치는 기여도와 적지 기준 인자별 수량지수를 이용하여 재배 적지 기준 인자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적지 기준 인자별 점수를 합산하여 최종 점수에 따라 최적지, 적지, 가능지, 저위생산지로 구분하였다. 최종적으로 토양특성과 기상조건을 중첩하여 논과 밭토양에서의 인삼 재배 적지 기준을 각각 설정하였다. 인삼 재배 적지 기준을 기반으로 하고, 토양도, 기후도 및 지리정보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요 인삼 재배단지인 충청북도 음성군에 대하여 인삼 재배 적지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필지별 인삼 재배 적지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을 통하여 경작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였다. 인삼 재배지 조사지역에 대하여 인삼 적지 분포를 분석한 결과 최적지와 적지의 합계가 논토양에서 74.0%, 밭토양에서 88.3.%로 높아 인삼 경작자들이 비교적 적지에 인삼을 재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모작(多毛作)을 위한 답토양(畓土壤)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區分) -제(第)2보(報) :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기준(區分基準) (Suitability Grouping System of Paddy Soils for Multiple Cropping -Part II : Criteria of the Suitability Grouping)

  • 정연태;박은호;노영팔;엄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83-289
    • /
    • 1986
  • 논토양(土壤)에 수도(水稻)를 포함(包含)하여 그 전후작(前後作)으로 밭작물(作物)을 다모작(多毛作) 할 경우에 토양종류별(土壤種類別) 적성정도(適性程度)를 추정(推定) 할 수 있는 논토양다모작적성등급(土壤多毛作適性等級)을 구분(區分)코자 기초시험(基礎試驗)을 실시(實施)하고 적성등급구분(適性等級區分) 기준(基準)을 설정(設定)하였다. 기초시험결과(基礎試驗結果)는 전보(前報)에서 논(論)하였고 구분기준(區分基準) 및 주요결과(主要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적성등급(適性等級) 구분요인(區分要因)은 잠재생산력을 대표(代表)한 토성(土性) 및 배수등급(排水等級), 화학적특성(化學的特性)(표토염농도(表土鹽濃度), 및 심토(心土)의 반응(反應)), 환경조건(環境條件)(경사도(傾斜度) 및 온량지수(溫量指數)) 그리고 지하수위(地下水位) 및 토양모재(土壤母材) 등(等)을 선택(選擇)하여 연역(演繹) 귀납(歸納) 절충식(折衷式) 인자별가중치(因子別加重値) 상승(相乘) 상가복합법(相加複合法)에 의한 이론적(理論的) 최상치(最上値)가 100 점(點)이 되도록 하였다. 91 점이상(點以上)인 토양(土壤)을 I급지(級地)로 하고 60 점이하(點以下)인 토양(土壤)을 V급지(級地)로 하되 10 점(點) 단위(單位)로 등분(等分)하였으며 등급별(等級別) 제한인자(制限因子)는 "물리성(物理性)" "화학성(化學性)" 및 "경사도(傾斜度)" 등(等) 3가지로 하되 2개까지 병기 가능(可能)토록 하였다. 2. 온량지수(溫量指數) 110 이상(以上)인 대부분(大部分)의 영남지역(嶺南地域)은 I급지(級地)가 19%, II급지(級地) 22.7%, III급지(級地) 44.7%, IV급지(級地) 11.5% 그리고 V급지(級地)가 2.1%로서 전국(全國)의 논토양(土壤) 급지별(級地別) 분포비율(分布比率)보다는 상급지비율(上級地比率)이 약간 높았다. 3. 토양별(土壤別) 총득점(總得點)과 생산력지수간에는 유의성(有意性)($r=.922^{**}$)이 인정(認定)되어 기준(基準)의 적합도(適合度)가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Soil Suitability Criteria for Adzuki Bean

  • Cho, Hyun-Jun;Hyun, Byung-Keun;Sonn, Yeon-Kyu;Hur, Seung-Oh;Shin, Kook-Si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12-417
    • /
    • 2014
  • Soil properties and yields of red been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soil suitability of Korean adzuki bean at 166 farms in Korea. The soil morphological and phys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1:5,000 scale average yield of 2~3 years. The impact factors to the adzuki bean yields and soil properties were selected based on standard error of each factor. The yields of adzuki bean showed the greatest values when the morphology was alluvial plains, the drainage was well or moderately well, the slope was 2~7%, the texture was fine loamy, the gravel content was less than 15% and the available soil depth was more than 100 cm. Contribution factors of soil properties to the yields were 0.18 of morphology, 0.18 of drainage level, 0.23 of slope, 0.20 of texture, 0.11 of gravel content and 0.10 of available soil depth, respectively. Soil suitability levels were set as the best suitable land if score was greater than 90, suitable land if score ranged from 89 to 85, the possible land if the score ranged from 79 to 84 and low productive land if score was less than 78. According to the criteria 37.5% of the production area was the best suitable land, 29.4% was suitable land, 22.3% was possible land and 10.8% was low productive land. The best and suitable lands were total of 66.9% in Gyeongju, Gyeosangbuk-do.

A Study on Soil Suitability Criteria for Liriopis Platyphylla

  • Cho, Hyun-Jun;Hyun, Byung-Keun;Sonn, Yeon-Kyu;Park, Chan-Won;Chun, Hyen-Chung;Song, Kwan-Cheol;Noh, Dae-Cheol;Yun, Kwan-He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42-548
    • /
    • 2013
  • Soil properties and yields of liriopis platyphylla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soil suitability of Korean liriopis platyphylla at 116 farms in Korea. Morpholog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ils were investigated along with the average yield of 2~3 years. The impact factors of soil properties to the yield of liriopis platyphylla were selected based on standard error of each factor. The yields of liriopis platyphylla showed the greatest values when the morphology was alluvial plains, when the drainage was well or moderately well, when the slope was 0-2%, the texture was coarse loamy, when the gravel content was less than 15% and when the available soil depth was more than 100 cm. Contribution factors of soil properties to the yields were 0.15 by morphology, 0.15 by drainage level, 0.13 by slope, 0.18 by texture, 0.16 by gravel content and 0.23 by available soil depth, respectively. Soil suitability classes were set as follows; the best suitable land if score was greater than 92, suitable land if score ranged from 91 to 86, the possible land if the score ranged from 85 to 83, and low productive land if score was less than 82. According to the criteria, 17.8% of the production area was the best suitable land, 43.1% was suitable land, 17.3% was possible land, and 21.8% was low productive land. The sum of both the best and suitable lands were 60.9% of the farm area of Miryang in Gyeongsangnam-do.

답토양(沓土壤)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과 잠재생산력(潛在生産力)과의 관계(關係) (Potential Productivity and Soi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ddy Land)

  • 문준;엄기태;윤관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74-178
    • /
    • 1982
  • 답토양(畓土壤)의 형태적특성(形態的特性), 유형(類型) 및 적성등급(適性等級)과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해 무비구(無肥區)에서 4개년(個年)('76-'79)간(間)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특성(土壤特性)과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는 배수조건(排水條件)은 약간(若干) 불량(不良)한 토양(土壤)이 508kg/10a, 토성(土性)은 식양질(埴壤質)인 토양(土壤)이 538kg/10a, 유효토심(有效土深)은 100cm이상(以上)인 토양(土壤)이 513kg/10a 으로 각각(各各)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유형(類型)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는 보통답(普通畓) 525, 미숙답(未熟畓) 492, 사질답(砂質畓) 484, 습답(濕畓) 474, 염해답 263kg/10a으로 나타났다. 3. 적성등급(適性等級)과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는 1급지(級地) 532kg, 2급지(級地) 510, 3급지(級地) 464, 4급지(級地) 349kg/10a으로 나타났음.

  • PDF

산채류 재배적지 기준설정 방법 간의 비교 분석 (Comparison Between Methods for Suitability Classification of Wild Edible Greens)

  • 현병근;정석재;손연규;박찬원;장용선;송관철;김이현;최은영;홍석영;권순익;장병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96-704
    • /
    • 2010
  • 산채류 주산단지인 강원 평창, 홍천, 횡성, 양구 등 4개 지역 53농가포장을 중심으로 실시한 세부정밀토양 조사 결과에 의해 밝혀진 토성, 배수등급, 유효토심, 지형, 경사, 자갈함량, 해발 등의 토양특성과 산채류 수량을 통하여 작물재배적지기준 설정방법인 최대저해인자법과 다변량분석법의 두 가지 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산채류재배지의 수량과 토양의 형태 및 물리적특성을 비교하여 보면 토성 (미사)식양질, 유효토심은 >100 cm, 경사는 2~15%, 지형은 곡간 및 선상지, 해발 500 m이상인 토양에서 수량이 가장 높았다. 토양특성과 산채류 수량에 미치는 기여도산출결과 경사 0.30, 해발 0.22, 지형 0.13, 배수등급 0.09 등 순으로 나타났다. 강원도 홍천군을 대상으로 최대저해인자법을 이용하여 산채류재배적지기준을 적용한 결과 최적지 0.2%, 적지 15.0%, 가능지 16.7% 그리고 저위생산지 68.0%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변량분석법을 이용하여 산채류재배적지기준을 적용한 결과 최적지 35.1%, 적지 30.7%, 가능지 10.3%, 저위생산지 23.9%로 나타나 두 방법간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작물재배적지기준을 설정할 때 분석방법을 충분히 고려하여 기준을 설정할 필요가 있고, 앞으로 작물재배적지기준설정시 다변량 분석에 의한 방법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 및 토양 정보를 고려한 포도의 재배적지 구분 연구 (Study on Land Suitability Assessment of Grapes with Regards to Climate and Soil Conditions in South Korea)

  • 김용석;최원준;허지나;심교문;조세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0-25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포도의 생육과 관련된 연평균기온, 생육기 기온, 성숙기 기온, 극최저기온, 저온요구도, 강수량과 같은 기후인자와 심토토성, 침식정도, 배수 등급, 유효토심, 경사도, 자갈함량, 지형과 같은 토양 인자를 선정하여 기후와 토양의 조건을 최대저해인자법을 이용해 통합한 재배적지 구분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배적지는 적지, 가능지, 저위생산지&부적지의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전국 면적을 기준으로 적지가 3.43%로 나타났고, 가능지는 10.61%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적지는 경상북도가 1.15%로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고, 충청남도가 0.72%와 충청북도가 0.44%로 나타났다. 가능지는 경상북도가 2.67%로 가장 넓었으며, 충청남도가 2.11%, 전라남도가 1.54%인 것으로 나타났다.

Revised Soil Survey of Yangju City in Gyunggido

  • Hyun, Byung-Keun;Sonn, Yeon-Kyu;Kim, Keun-Tae;Cho, Hyun-Jun;Jung, Sug-Jae;Choi, Jung-W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81-92
    • /
    • 2017
  • Recently, agricultural lands have decreased sharply, which was caused by huge housing site, urbanization, land consolidation, and road construction etc. In particular, Yangju city near Seoul city has the most severe land use change in Korea. Therefore, we analyzed changes of land use, soil properties, and soil information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soil information and soil management practices in this city. The area of crop cultivated land in Korea (2015) reduced by 12,090 ha compared to ones from the previous year (2014). The paddy field decreased by 25,421 ha but, upland field increased by 13,331 ha. One of the reasons for the reduction of the paddy field was converting paddy field to upland (20,916 ha) > others (3,056) > building (2,571) > public facilities (847) > idle land (217). But, reasons for increase of upland field were switching paddy to upland (20,916 ha) > land developed (634). The main reason of converting paddy field to upland was changing from rice to more profitable speciality crops or pulses. The cropland area (paddy fields, upland, orchard) of Yangju city reduced by 1,412 ha (2015/2014). The ratio of cropland area in each city reduced by 22.9% dramatically compared 2015 to 1999. The paddy fields located in alluvial plains in Yangju city were changed into upland or green house. The drainage classes of soil have been deteriorated because the flows of water were intercepted by road construction and other disturbance to water flows. In particular, paddy fields have been changed to not only upland, orchard, greenhouse cultivation but also to fallow and soil dressing on paddy in Yangju city. To analyze result of soil survey of Yangju city, 858 soil codes (soil phases) were used and the area was 105.17ha. The number of soil series increased from 60 to 65, and that of soil phase increased from 105 to 124. The largest increased area was Noegog soil series. 125.7ha of Neogog soil series was incorporated from the existing Sachon, Yecheon and Eungog soil series. The soil suitability class of paddy field in Ogjung huge housing site of Yangju city was the 4th grade for 32.6% of the area. The soil suitability classes of upland were 2nd and 3rd grade for 72.4% of the area. Farm land with high quality should be conserved by related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