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32초

통일분류(統一分類)에 의한 우리나라 토질(土質) 공학적(工學的) 특성(特性)에 관한 확률론적(確率論的) 연구(硏究) (A Probabilistic Study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oil in Korea by the Unified Soil Classification)

  • 정철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15-123
    • /
    • 1989
  • 본(本) 논문(論文)은 과거(過去) 13년간(年間)(1974~1986) 주택공사(住宅公社)가 전국(全國) 74개(個) 도시(都市), 176개(個) 주택단지(住宅團地)에서 실시(實施)한 제반토질시험결과(諸般土質試驗結果)를 통일분류법(統一分類法)에 의(依)한 흙의 종류별(種類別), 토질정수(土質定數)의 분산(分散)의 정도(程度)를 확률적(確率的)으로 분석(分析)한 것이다. 이 논문(論文)에서 분석(分析)한 토질정수(土質定數)는 자연함수비(自然含水比), 토립자(土粒子)의 비중(比重), 아터버그 한계(限界), 표준매입시험치(標準買入試驗値), 일축압축강도(一軸壓縮强度), 압축지수(壓縮指數) 그리고 강도정수(强度定數) 등(等)이다. 연구분석(硏究分析)한 결과(結果), 물리적(物理的) 저성질(藷性質)은 통계변수(統計變數)인 변동계수(變動係數)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比較)할때 변동(變動)의 범위(範圍)가 비교적(比較的) 적은 반면(反面)에, 강도정수(强度定數)는 40%, 압축지수(壓縮指數)는 32% 정도(程度)의 변동계수(變動係數)를 가지며, 비중(比重)은 사질도(砂質土)에서 0.87-2.49%, 점성토(粘性土)에서 0.91-5.03%로 분산(分散)의 정도(程度)가 매우 작음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기반 토색 분석을 위한 CIELAB 색 표시계 활용 연구 (Using the CIELAB Color System for Soil Color Identification Based on Digital Image Processing)

  • 백성하;박가현;전준서;곽태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5호
    • /
    • pp.61-71
    • /
    • 2022
  • 토색은 흙을 분류하고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 지표로 널리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토색은 육안으로 관찰해 결정하지만 관찰자의 예민도 혹은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은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해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를 통해 빠르고 정확한(수치적인 혹은 통계적인) 토색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현장의 불규칙한 광조건을 고려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기반 토색 분석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단계로서 수행되었다. 자연광의 특성(조도 및 색온도)을 모사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촬영 스튜디오를 구축하고, 두 가지 흙 시료(주문진 표준사 및 안성 풍화토)를 대상으로 광조건을 12회 씩 바꿔가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했다.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촬영된 시료의 토색을 두 가지 색 표시계(RGB, CIELAB)에 대해 추출한 결과, CIELAB 색 표시계를 활용해 현장의 불규칙한 광조건을 고려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Effects of Granular Silicate on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var. lanatus) Growth, Yield, and Characteristics of Soil Under Greenhouse

  • Kim, Young-Sang;Kang, Hyo-Jung;Kim, Tae-Il;Jeong, Taek-Gu;Han, Jong-Woo;Kim, Ik-Jei;Nam, Sang-Young;Kim, Ki-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56-463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granular type of silicate fertilizer on watermelon growth, yield, and characteristics of soil in the greenhouse. Four different levels of silicate fertilizer, 0(control), 600, 1,200, $1,800kg\;ha^{-1}$ were applied for experiment. The silicate fertilizer was applied as a basal fertilization before transplanting watermelon. Compost and basal fertilizers were applied based on the standard fertilizer recommendation rate with soil testing. All of the recommended $P_2O_5$ and 50% of N and $K_2O$ were applied as a basal fertilization. The N and $K_2O$ as additional fertilization was split-applied twice by fertigation method. Watermelon (Citrullus lanatus Thunb.) cultivar was 'Sam-Bok-KKuol and main stem was from rootstock (bottle gourd: Lagenaria leucantha Standl.) 'Bul-Ro-Jang-Sang'. The watermelon was transplanted on April, 15. Soil chemical properties, such as soil pH, EC,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K, Mg, and available $SiO_2$ level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while EC was similar and the concentrations of soil organic matter decreased.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such as soil bulk density and porosity were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watermelon, such as stem diameter, fresh and dry weight of watermelon at harvest were thicker and heavier for silicate treatment than the control, while number of node was shorter than the control. Merchantable watermelon increased by 3-5% compared to the control and sugar content was 0.4 to $0.7^{\circ}Brix$ higher than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licate fertilizer application in the greenhouse can improve some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nd watermelon stem diameter and dry weight, which are contributed to watermelon quality and marketable watermelon production.

배수불량 경사지 논 토양의 배수방법에 따른 토양 물리성 변화 (Variation of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by Drainage Improvement in Poorly Drained Sloping Paddy Field)

  • 정기열;윤을수;박창영;황재복;최영대;전승호;이황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04-710
    • /
    • 2012
  • 경사지 배수불량 논에서 밭작물의 안정적인 재배를 위한 배수개선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논둑아래 기저부에 1열로 명거 (겉도랑 배수), 비닐차단막, 암거 (속도랑 배수), 관다발 등 네 가지 종류의 배수시설을 설치하여 배수개선 방법에 따른 토양의 물리적 특성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배수방법별 토양의 용적밀도는 배수방법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집적층 (B층)의 투수력은 암거배수구가 $2.67cm\;hr^{-1}$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관다발배수 $1.53cm\;hr^{-1}$이었으며, 명거배수, 비닐차단막은 $0.8cm\;hr^{-1}$내외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경작층 (Ap)의 액상은 명거배수, 비닐차단막 처리구가 35% 내외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암거배수구에서는 수분함량이 크게 감소되었다. 또한 암거배수구의 기상은 32 ~ 35% 내외로 명거배수, 비닐차단막, 관다발 처리구 17 ~ 20% 보다 상대적으로 높아 공극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거배수 처리구의 토색은 수분과다와 높은 지하수위로 환원작용이 일어나 회색을 보인 반면 암거배수구에서는 투수성 및 통기성이 증가하여 회색층의 토색이 명갈색을 변화되었고 환원층의 출현 깊이가 깊어지고 점차 층위분화가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우 후 토양 깊이별 수분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명거배수 처리구의 표토에서는 7일이 경과하여야 토양수분이 30 mm이하로 감소되었으나 20 cm 이하의 깊이에서는 항상 수분이 과잉된 상태로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암거 배수 처리구에서는 강우 후 5 일이 경과 후에 토양 30 cm 깊이까지 수분함량이 30 mm 이하로 감소되어 배수개선 효과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배수불량"인 경사지 논에서 논둑 밑 1열의 암거배수 시설 설치가 명거배수, 비닐차단막, 관다발 배수방법에 비해 토양의 물리성 개선효과가 높아 밭작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농지자원의 이용전환 즉 논을 밭으로 이용해야 하는 범용농지 기반 조성을 위한 저비용의 실용적인 배수개선 방법으로 이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Fall Cone을 이용한 풍화도 측정(실트질 모래에 대하여) (Estimation of Weathered Degree Using Fall cone in Weathered Soil ; Silty Sand)

  • 손영환;김성필;장병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0권1호
    • /
    • pp.61-68
    • /
    • 2008
  • It is essential to analyze and classif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eathered granite for engineering purposes. This paper is to suggest a physical method to determine the degree of weathering of weathered soils. A new classification method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weathering is suggested, based upon the results from laboratory tests including fall cone test. According to the proposed physical method using fall cone apparatus, the measured values of the samples from the same area show distinctive difference of weathering. The water content tends to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degree of weathering at the same penetration in fall cone test. And relationship between CWI and water content are expressed one equation in Hwaseong area and Ilsan area.

신갈나무 임분의 입지 및 토양 속성을 이용한 부분최소제곱 회귀의 지위추정 모형 (Predicting Site Quality by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Using Site and Soil Attributes in Quercus mongolica Stands)

  • 김춘식;백경원;정상훈;황재홍;이상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23-31
    • /
    • 2023
  • 산림생산력의 예측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이나 산림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산림관리에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전국 112개 신갈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입지 및 토양 특성의 속성변수를 이용하여 지위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신갈나무 임분의 지위지수는 입지 및 토양 특성을 독립변수 한 일반최소제곱(Ordinary Least Squares, OLS) 및 부분최소제곱(Partial Least Squares, PLS)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유의적인 추정(P<0.05)이 가능하였다. 지위추정 회귀모형의 수정 결정계수(adjusted R2)는 입지 및 토양단면 속성변수의 회귀모형(A층: R2=0.29; B: R2=0.32)이, 토양 물리·화학적특성의 속성변수(A층: R2=0.09; B층: R2=0.21)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PLS 회귀모형(R2=0.20~0.32)은 OLS 회귀모형(R2=0.09~0.31)에 비해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이 높았다. 본 연구로부터 신갈나무 임분의 입지 및 토양 특성을 이용한 지위 추정 회귀 모형이 개발되었으나, 결정계수 값이 낮아 회귀모형의 설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변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녹비작물 도입에 따른 토마토 시설재배지 연작장해 토양 개량 효과 (Differences in Soil Improvement Effects of Four Green Manure Crops in Greenhouse Cultivation)

  • 손초이;정유진;이인혜;강위금;전원태;노일섭;강권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36-641
    • /
    • 2011
  • 본 연구는 4종의 녹비 작물, hairy vetch, Italian ryegrass, crimson clover, orchard grass 등을 도입하여 연작장해를 일으키는 토마토 시설재배지의 토양개량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였다. 각각의 녹비 작물을 시용한 후, 후 작물로서 토마토를 정식하여 토양의 물리화학성 및 토마토 건물 중 등을 조사하여 녹비작물 재배의 효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녹비작물 시용에 따라 토양 경도가 감소되었다. Orchard grass와 Italian ryegrass는 토양습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토양 메트릭스에서 더 많이 무효화 시킬 수 있었다. 녹비작물 시용 2개월 후, Italian ryegrass와 orchard grass 처리구에서 토양 건조 밀도가 감소를 보였으나, 대조구와 녹비구간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녹비작물로서 Italian ryegrass와 hairy vetch의 시용이 토마토 생육에 영향을 주어 건물중의 증가 및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또한 orchard grass는 상대적으로 적은 바이오메스인데도 불구하고, 토양 개량에 효과적이었다.

지형에 따른 전북지역 과수원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Relationships betwee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opography in Jeonbuk Orchard Fields)

  • 안병구;이진호;하상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59-865
    • /
    • 2011
  • 지형에 따른 전북지역 과수원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재배면적과 과수종류에 따라 110개 지점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전라북도 과수원 분포지형은 곡간 및 선상지, 구릉 및 산악지, 산록경사지, 하성평탄지, 홍적대지 하해혼성평탄지였으며, 구릉 및 산악지가 가장 많은 46.0%을 차지하고 있었다. 곡간 및 선상지의 토성은 사질식양토가 66.6%였고, 구릉 및 산악지는 토성이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용적밀도, 공극률 및 경도는 지형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유효수분상수는 홍적대 지에서 19.5%로 가장 높았다. 토양 pH와 EC는 하해혼성평탄지에서 가장 높았고, 유기물, 유효인산, 치환성 K, Ca, Na은 지형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치환성 Mg은 하해혼성 평탄지에서 $3.5cmol_c\;kg^{-1}$으로 가장 높았다. 토양 pH와 유기물은 과수에 따라 적정수준을 보였지만, 유효인산, 치환성 K, Ca 등은 적정 수준보다 높아 적절한 양분관리가 필요하다. 지형과 과수에 따라 중금속함량은 우려기준을 초과한 경우는 없었다.

사과 '홍로' 품종의 과실 품질에 미치는 토양이화학성의 상대적 기여도 (Relative Contribution rate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Related to Fruit Quality of 'Hongro' Apple)

  • 김승희;박서준;한점화;조정건;최형석;임태준;윤해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2-107
    • /
    • 2012
  • 본 연구는 사과 홍로 품종의 고품질 과실 생산을 위한 최적 토양환경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토양환경조건들은 전국의 사과 주산지 충주, 문경, 영주, 안동, 예산, 영천 지역에서 각각 농가당 10농가를 대상으로 총 60농가에서 토양 및 과실특성을 조사하였다. 과중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환경요인은 포화수리전도도가 33.3%로 가장 기여도가 높았고, 양이온이 24.6% 기여하였다. 용적밀도, 토성 및 고상역시 비교적 높았다. 토양물리성요인이 화학성 요인보다는 과중에 영향을 주었다. 과실의 당도에 미치는 토양환경요인들에서는 토성이 21.9%로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양이온치환용량(CEC)와 용적밀도의 기여도가 매우 낮았다. 과실의 착색은 인산함량이 20.4%로 매우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반면에 포화수리전도도와 유기물함량은 낮았다. 토양물리성 보다는 화학성이 크게 기여하였다. 최종적으로 과중, 당도, 과실착색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과실품질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에서는 작토층깊이 25.8%, 토성 22.2%, 토양산도 21.0%로 높았다. 고상 및 용적밀도는 낮았다. 사과 홍로 품종은 토양화학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따라서 고품질의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과원의 배수관리 및 시비관리가 중요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과원의 토양관리 요인들을 계량화 하여 과학적 토양관리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질답토양(砂質沓土壤)에 대(對)한 객토자원(客土資源)으로서의 Zeolite 시용효과(施用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 of Zeolite as a Ameliolator for Sandy Paddy)

  • 안상배;조성진;강장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81-388
    • /
    • 1984
  • 객토원(客土源)을 구(求)하기 어려운 평야지(平野地) 사질답(砂質畓)의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로서 객토대체자원(客土代替資源)으로 Zeolite 시용(施用)의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과 실내시험(室內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점토함량(粘土含量) 16%인 토양(土壤)에 규산(珪酸)을 적량시용(適量施用)하고 질소(窒素)를 흡착(吸着)시킨 Zeolite 시용(施用)은 벼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있어 객토(客土) 40M/T/10a 시용(施用)과 동등(同等)한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2. 최고수량(最高收量)을 낸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은 무개량구(無改良區), 객토(客土), Zeolite구(區)에서 각각(各各) 15.0, 18.2, 18.1kg/10a 이었다. 3. 객토구(客土區)와 Zeolite구(區)에서 수확기(收穫期) 질소(窒素) 및 $SiO_2$, 흡수량(吸收量)이 무개량구(無改良區)에 비(比)해 현저(顯著)히 많았다. 4. 토양(土壤), 객토원(客土源) 및 Zeolite의 암모늄 흡착양상(吸着樣相)은 Langmuir 등(等) 온흡착식(溫吸着式)을 따랐고 암모늄 최대흡착(最大吸着)은 각각(各各) 16.7, 20.5, 890mg/10a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