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phosphorus

검색결과 824건 처리시간 0.025초

Coastal Afforestation Effect on Soil Physiochemical Properties at Sitakunda Coast of Chittagong, Bangladesh

  • Mamun, Abdullah-Al;Kabir, Md. Humayain;Kader, Mohammed Abdul;Hossain, Mohammed Kama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25-34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Sitakunda coastal afforestation range, comprised of four beats- Bansbaria, Bakkhali, Baterkhil and Bogachattar, in Chittagong. Afforestation effects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comparison to adjacent barren land were analysed. In the study area, an area of 3277.33 ha was planted with Sonneratia apetala, Avecinnia officinalis, Excoecaria agallocha, Bruguiera sexangula, Ceriops decandra from 1968 to 2011. We found positive soil physicochemical changes in plantations in comparison to adjacent barren land. Soil bulk density of plantation was lower than the adjacent barren land. Soil pH and soil salin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arren land whereas soil organic matter, organic carbon,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of plantations were higher in afforested land. Soil texture ranged from clay loam to sandy loam in different depth of these two types of land. However,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is clear evidence that afforestation has positive impacts on all soil properties in different location and soil depths in the study area.

한국(韓國)의 적황색(赤黃色) 및 석회질토양(石灰質土壤)에서 인산(燐酸)의 유효화(有效化) 및 작물(作物)의 인산흡수(燐酸吸收)에 대한 인산염(燐酸鹽) 가용화균(可溶化菌) 접종(接種) 효과(效果) (Effects of Inoculation with Phosphate-Solubilizing Microorganisms on Availability and Plant Uptake of Phosphorus in Red-yellow and Calcareous Soils of Korea)

  • 서장선;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3-180
    • /
    • 1996
  • 난용성(難溶性) 인산염(燐酸鹽) 가용화능(可溶化能)이 있는 Pseudomonas putida 와 Aspergillus niger 를 공시(供試) 균주(菌株)로 하여 산성(酸性) 토양(土壤)인 적황색토(赤黃色土)와 알칼리성(性) 토양(土壤)인 석회질토(石灰質土)에 피망을 재배하며, 선발(選拔)된 난용성(難溶性) 인산염(燐酸鹽) 가용화균(可溶化菌)의 접종효과를 조사(調査)하였다. 재배(栽培) 후(後) 토양(土壤)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은 적황색(赤黃色) 토양의 무접종(無接種)에 비해 무비구(無肥區) 및 시비구(施肥區)에서는 Aspergillus niger, 볏짚구(區)에서는 Pseudomonas putida 와 Aspergillus niger 접종시(接種時) 유의(有意)하게 높았으나, 석회질토양에서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피망의 인산(燐酸) 흡수량(吸收量)은 알칼리성(性)칸 토양(土壤)인 석회질토양(石灰質土壤)의 Pseudomonas putida 및 Aspergillus niger 접종시(接種時) 볏짚시용구를 제외한 무비구(無肥區) 및 시비구(施肥區)에서 증가(增加)하였다. Cellulase 활성(活性)은 접종에 의한 처리간 뚜렷한 차이는 없었으나 적황색(赤黃色) 토양(土壤)의 볏짚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Phosphatase 활성은 적황색(赤黃色) 토양(土壤)에서는 Aspergillus niger 가 접종(接種)된 모든 처리에서 증가(增加)하였으며, 그 중 시비구(施肥區)와 볏짚 시비구(施肥區)에서는 유의성(有意性)이 있었고, 석회질토양(石灰質土壤)에서는 인산염(燐酸鹽) 가용화균(可溶化菌)이 접종된 모든 처리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시비구(施肥區)에서는 Aspergillus niger, 볏짚구(區)에서는 Pseudomonas putida 접종시(接種時) 유의성(有意性)있게 증가(增加)하였다.

  • PDF

유기인계 살충제 fenitrothion 분해미생물 탐색 (Screening of Organo Phosphorus Insecticide Fenitrothion-Degrading Microorganisms)

  • 최혁;김복진;배도용;이영득;강선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9-285
    • /
    • 1998
  • 논, 밭, 임야, 오염지 토양과 폐수 등 124 지점의 미생물 급원에서 fenitrothion 분해미생물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총 1,071 균주를 1차 분리하였다. 배지별로는 nutrient agar, potato dextrose agar, Actinomyces isolation agar 및 basal salt medium 고체배지에서 각각 601, 201, 168, 101종의 활성균주를 1차 분리하였다. 이 중에서 fenitrothion 분해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액체배양을 통한 GLC분석 결과 분해율이 80% 이상인 균주 28종을 2차 선발하였다. 이들을 선발배지별, 미생물 급원별로 살펴보면 NA 배지에서는 논토양에서 3종, 밭 토양에서 3종, 임야 토양에서 2종, 오염지 토양에서 4종이 각각 분리되어 총 12종이 분리되었다. PDA 배지에서는 논 토양에서 1종, 밭 토양에서 2종, 임야 토양에서 2종, 오염지 토양에서 3종이 각각 분리되어 총 8종이 분리되었다. BSM 배지에서는 논 토양에서 1종, 임야 토양에서 1종, 오염지 토양엣 6종이 각각 분리되어 총 8종이 분리되었다. 그러나 AIA 배지에서는 모든 균주가 fenitrothion 분해율이 50% 이하이었다. 한편 100mg/ l의 고농도 fenitrothion 첨가 배지에서 2차 선발 균주를 강화배양하면 세균 중에는 Npa1과 NFo1 균주가, 사상균 중에서는 PFo1과 BPo1 균주가 분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객토와 심토뒤집기 처리가 물푸레나무, 소나무, 잣나무 묘목의 초기 생장과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 (The Short-term Effects of Soil Brought and Subsoil Inversion on Growth and Tissue Nutrient Concentrations of Fraxinus rhynchophylla,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Seedlings in a Nursery)

  • 안지영;박병배;변재경;조민석;김용석;한시호;김세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43-49
    • /
    • 2015
  • 숲 조성을 위한 조림체계(silvicultural systems)에서 건전한 묘목 생산은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포지의 토양 개량이 물푸레나무, 소나무, 잣나무 묘목의 생장과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다. 장기간 사용된 국유 포지 위에 새로운 토양을 30 cm 높이로 쌓은 '객토', 굴삭기를 이용하여 기존 포지를 깊이 100 cm까지 뒤집기 한 '심토뒤집기', 그리고 기존 포지 토양과 객토를 1:1로 혼합하여 30 cm 높이로 쌓은 '혼합' 처리를 3반복 처리한 후 토양특성, 생장 및 양분변화를 분석하였다. 미사와 점토의 함량은 심토뒤집기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유기물, 질소, 인 함량은 객토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물푸레나무의 생장은 객토 처리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다른 수종에서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물푸레나무 묘목의 식물체 조직 양분 농도는 모두 뿌리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질소, 인, 칼륨 농도는 심토뒤집기 또는 객토 처리에서 가장 낮았다. 물푸레나무는 혼합 처리에서 흡수한 질소량에 비해 생장이 더 증가하여 식물체 농도는 감소하고 양분 함량은 증가하는 '양분희석' 현상을 보였다. 이 연구는 기존 포지 토양과 객토를 1:1로 혼합한 방법이 경제적이면서도 악화된 포지 토양을 개량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신개간 및 기경작 초지토양간 목초의 생산성과 무기양분 함량 비교 III. 인산 사용에 따른 토양특성, 목초의 초기 생육, 수량 및 무기양분 함량 변화 (Comparisons of the Forage Productivity and Mineral Contents between the Newly Reclaimed and Arable Hilly Soils III. Changes in the soil properties, seedling vigour, yield, and mineral contents of forage by phosphorus application)

  • 정연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22
    • /
    • 2003
  • 동일한 토양종류(토양명: 송정통)에서 서로 인접한 신개간 및 기변작 초지토괴간 비파저 특성의 차이와 시비처리별 orchardgrass 목초의 초기생육상, 수양과 부기양분 함량의 차이를 비교 . 검토하고자 기초시험으로 pot 시험을 수행하였다. 금지토양의 비담도 개량과 크게 연관된 자비(I보), 석회(II보) 및 인산(III보)의 시용 효과를 단계별로 검토하였다. 본 III보에서는 질소, 가리 및 고토를 동일하게 기본시비를 한 조건에서 1) 인산 무비구($P_{0}$; control), 2) 인산 보비구($P_1$; 1.25g), 3) 인산 배비구($P_2$; 2,50g), 4) 인산 다비구($P_3$; 3.75g $P_2$$O_{5}$ pot)를 처리 내용으로 한 두 토양간 인산의 비효를 비교.검토하였다. 1. 시험전 신개간 및 기경작 초지토양간 토양의 화학성(비담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초지토양 비담도 등금기준(불량-보통-양호)에 기준 한 각 화학성을 대비하여 보면 일반적으로 신개간 토양은 불량~보통, 기경작 초지토괴은 보통~양호 수준을 보였다. 2. 기경작 토양보다는 신개간 토양에서 인산시비량 증가에 따른 뮤효인산의 함량 증가가 뚜렷하였고, 이 특성은 기비와 병행 시비를 한경우 더 긍정적이였고, 석회와 병행 시비를 한경우는 오히려 부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기경작 토양에서논 신개간 토양에 비해서 인산 시비량 증가에 따른 유효인산 함량 증가폭이 경미하였고, 석광의 부정적 효과는 더 경감되었다. 3. 신개간 토양에서 연초의 초기생육상과 수양성은 기경작 토양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불량하였고, 특히 인산 무비구($P_{0}$ )에서는 목차의 정착과 수양성이 매우 불량하였다. 이는 인산 시비로 개선되었으나 시비된 수준간 차이는 경미하였다. 신개간 토양에서 철비와 병행 시비를 한 경우 이들 특성이 더 양호하였으며, 인산 무비구(P$_{0}$)의 불량한 초기생육상과 수양성은 크게 개선되었다. 반면에 기경작 토양에서는 인산 무비구($P_{0}$ /)에서도 이들 특성들이 양호하였으며 인산 시비수준간 차이는 경미하였다. 4. 기경작 토양은 신개간 토양보다 목초 중 무기양분 Ca, Mg 및 P 함량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그러나 K 함량은 두 토양간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획비와 병행 시용 한 경우 신개간 토양에서만 목초 중 Mg과 P 함량이 다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다.

Influences of N, P2O5 and K2O fertilizer application amounts on growth of Houttuynia cordata Thunb and soil properties

  • Ahn, Byung-Koo;Jang, Jin-Ho;Ko, Do-Young;Kim, Hyo-Jin;Kim, Chang-Soo;Kim, Jin-Ho;Lee, Yee-J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2호
    • /
    • pp.211-220
    • /
    • 2017
  • We conducted this study to determine the recommended application rate of fertilizer for Houttuynia cordata Thunb cultivation. The effects of various application levels of N, $P_2O_5$, and $K_2O$ fertilizers on the growth of this plant were investigated and the associated changes in soil properties were evaluated in the field. Soil pH at harvest time of Houttuynia cordata Thunb did not differ from that before fertilization, whereas EC tended to decrease during cultivation. The soil organic matter (SOM) and available phosphorus increased after treatment, and the amount of applied fertilizer ($P_2O_5$) and available phosphorus were proportional. The nitrogen absorption amount increased in N 100% treatment, but decreased in N 150% treatment. The phosphorus absorption amount rose with the fertilizer treatment concentration until $P_2O_5$ 150% treatment. The amount of absorbed potassium decreased in treatments with $K_2O$ 150% and $K_2O$ 200%. The plant length was the longest in N 100%, $P_2O_5$ 150%, and $K_2O$ 200%. The stem diameter was estimated to be 3.46 - 3.67 mm in N 100 - 200% treatment, 3.55 - 3.67 mm in $P_2O_5$ 100 - 150%, and 3.79 mm in $K_2O$ 200%. The number of tillers did not differ amongst fertilization treatments. The fresh weight was summed to be 3.67 ton/10 a in N 100% treatment, 3.79 Mg/10 a in $P_2O_5$ 150%, and 3.83 Mg/10 a in $K_2O$ 150%.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rtilizer amount and yields of the plant showed that the most economical quantity of fertilizers should be 10.2 N kg/10 a, 5.5 $P_2O_5$ kg/10 a, and 8.2 $K_2O$ kg/10 a for Houttuynia Cordata Thunb.

농경지 토양에 집적된 인산의 생물이용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Bioavailability of Phosphorus Accumulated in Arable Soils)

  • 이슬비;이창훈;김건엽;이종식;소규호;김상윤;김필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3-29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화학비료와 퇴비를 과다하게 투입하여 인산의 집적 및 유출 위험성이 높은 양파-벼 재배지와 시설재배지의 인산 집적 특성과 인산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한 집적 인산의 수계에서의 생물이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수용성 인산 중 많은 부분의 유기태 인산이 주변 수계에 유출될 위험성이 높았지만 그동안 제대로 평가되지 못했다. 본 연구결과에서 alkaline phosphomonoesterase와 phosphodiesterase에 의해 이모작토양에서 DUP의 12, 24%가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DUP의 18과 44%가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에 축적된 유기태 인산중 orthophosphate monoester와 diester가 주로 인산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농경지 주변 수계로 유출시 생물 이용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수계에서 인산의 거동을 이해할 때 유기태 인산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염류집적 국화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인산분해미생물 시용이 토양화학성 및 국화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Applic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Chrysanthemum Growth in Greenhouse Cultivation Area with High Salt Accumulation)

  • 이상현;정연화;한태호
    • 화훼연구
    • /
    • 제19권3호
    • /
    • pp.144-150
    • /
    • 2011
  • 본 연구는 염류집적 국화 재배지 토양적응성 인산분해미생물 탐색하고 선발된 미생물 시용을 통한 염류집적 국화 재배지 토양에서의 토양 화학성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염류집적 국화 재배지 토양 환경 개선 기술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인산분해미생물은 염류집적토양에서 분리된 Pseudomonas putida(KSJ11), Acinetobacter calcoaceticus (KSJ3) 및 Acinetobacter calcoaceticus (WP20) 3종류이었으며 미생물의 제형은 버미큘라이트에 혼합되어 있는 상용화된 제품을 이용하였다. 시험장소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재 신우화훼농장의 15년간 작물이 재배되어 염류집적현상이 나타나는 국화재배지에서 처리구 $82m^2$에 각각의 미생물 제재 250 L씩 시용하였다. 염류집적이 이루어진 국화재배온실에 처리된 인산분해미생물 Acinetobacter calcoaceticus(KSJ3; WP20)는 유효인산을 효율적으로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Acinetobacter calcoaceticus(WP20)는 염류의 분해능력이 높았다. 인산분해미생물 시용에 따라 토양내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함량의 증가가 A. calcoaceticus(KSJ3; WP20)처리구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의 영향으로 판단되는 토양내 전기전도도도 증가되었다. 또한 인산분해미생물 시용은 선충밀도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어 토양환경개선을 위한 재료로 활용될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염류집적이 이루어진 국화재배 온실에서의 인산분해미생물 시용은 처리된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토양의 유효인산량 증가와 양이온의 유용화에는 분명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염류집적 토양에서의 인산분해미생물 시용은 토양양분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시비량 절감 등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South Dakota 토양의 발생, 분류 및 관리 (South Dakota Soils: Their Genesis,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 더글러스 D. 말로;유진희;김시주;정덕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413-433
    • /
    • 2010
  • South Dakota is an important agricultural state in the United States with annual cash receipts from agricultural products exceeding $9 billion dollars. This production is possible because of large areas of productive soils. This publication describ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the major soil groups recognized in South Dakota. The soil forming factors are briefly described, soil classification is introduced, and the genesis of typical Udalf and Ustoll soils are discussed. Soil management issues impacting the use of SD soils are considered. Long-term (>70 yrs) cultivation has significantly reduced surface soil organic carbon levels (>30% reduction) when compared to non-cultivated soil. Soil test phosphorus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ultivated fields due to commercial P fertilization. The major long-term production problems for SD soils are conservation of soil moisture, organic matter and nitrogen losses, fertility management, and wind and water erosion control.

石灰岩 地域 소나무群集의 構造와 土壤의 物理 化學的 性質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s in Limestone Areas)

  • Kim, Joon-Ho;Mun, Hyeong-Tae;Kwak, Young-S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4호
    • /
    • pp.285-295
    • /
    • 1990
  • Floristic composition and soil properties were analyzed in red pine($Pinus densiflora$) communities in the limestone areas. Tanyang, Ch ungbuk Province in Korea. The tree layer was composed of $Juniperus rigida, Quercus dentata, Q. mongolica$ and others as well as $P. densiflora$, all of which also appeared in soils of grinite origin The shrub layer was dominated by $Q. dentata, Lespedeza cyrtobotrya, Securinega suffruticosa, Abelia coreana$ and $Uimus davidiana$ for $suberosa$. Among these $A. coreana$ and $U. davidiana$ for $suberosa$ belonged to calcicole plant. The herb layer dominated by $Carex lanceolata$. Soil pH ranged 7.9-8.3.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hosphorus content of the soil were lower than those of noncalcareous soils. However, exchangeable calcium and magnesium content were 10 times and 2~3 times greater than those of noncalcreous soils,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soil texture between top soil(loam soil) and subsoil(sand soil), and higher soil organic matter content than noncalcareous red pine forest soils seemed related to the casts forming activities of earthwor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