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microbial flor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초

미생물제 비료시용이 배추의 생육과 토양 화학성 및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LB Microbial fertilizer applicatio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Microbial Flora and Growth of Chniese Cabbage (Brassica Co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MAKINO))

  • 윤세영;신중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6
    • /
    • 2001
  • 미생물제 비료시용이 배추의 생육과 토양의 화학성 변화 및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포장시험으로 실시하였다. 대조구에 비하여 TLB미생물제 비료를 시용함으로써 배추의 생육은 양호하였으며, 배추수량에 있어서도 유의성 있는 증수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TLB미생물제 비료를 시용하더라도 배추생육시 요소비료의 추비량 및 퇴비 시용량을 줄일 경우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수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의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TLB 미생물제 비료 시용의 효과는 대조구에 비하여 수확기의 토양유기물 함량의 감소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토양중 전질소 함량은 0.76~1.44% 범위로 대조구보다 오히려 미생물제 비료 시용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중 유효인산 함량은 시험전 토양의 559ppm에 비하여 배추의 수확기에 대조구 755ppm 그리고 미생물제 시용구 653ppm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미생물제 시용으로 인하여 다소 낮은 편이었다. 한편 배추 수확 후 배추의 화학적 성분은 전 질소 2.62~2.94%, 인산 1.48~1.55%, 칼리 3.60~4.38%범위이었으며, 각 처리간에 함량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토양 미생물상중 전세균수는 대조구보다 미생물제 시용으로 다소 감소하였으나, 배추수확기 토양에서 Pseudomonas속이 3배 이상 높은 군락을 보였다. 그러나 방선균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사상균수는 수확기 토양에서 미생물제 비료 시용으로 현저히 높은 군락을 형성하였다.

  • PDF

논토양의 생물적(生物的)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볏짚시용효과(施用效果) -II. 질소고정미생물(窒素固定微生物) flora와 그 활성(活性)에 미치는 볏짚연용효과(連用效果) (Effects of rice straw application on the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of paddy field -2. Effects of rice straw annual application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and nitrogen fixing microbial flora)

  • 유익동;타츠히코 마츠구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3-449
    • /
    • 1988
  • 논토양의 질소고정미생물(窒素固定微生物) flora와 그 활성(活性)에 미치는 볏짚 연용효과(連用效果)를 밝히기 위하여 일본 청삼현(靑森縣) 농업시험장내 화학비료연용구(化學肥料連用區) 및 볏짚연용구(連用區) 작토층(作土層)을 공시토양으로 하고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을 달리하여 질소고정미생물 flora의 변천(變遷)과 대응하는 질소고정활성의 변화정도를 조사하였다. 1. 시용(施用)볏짚의 광합성미생물(光合成微生物)에 의한 ARA는 양토양(兩土壤) 모두 질소 300ppm 첨가구에서는 3주후(週後)부터, 질소 33ppm 및 무첨가구에서는 시용초기(施用初期)부터 ARA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비광합성미생물(非光合成微生物)에 의한 ARA는 광합성미생물(光合性微生物)에 의한 ARA의 1/10에 지나지 않았다. 2. 시용(施用)볏짚에 서식(棲殖)하고 있는 질소고정미생물 flora를 조사한 결과 초기 3주간에는 양토양(兩土壤) 모두 광합성세균(光合成細菌)(Rhodopseudomonas)이 주로 증식(增殖)하였으며 균량(菌量)과 ARA는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그후 ARA의 급격(急激)한 증가에 대응(對應)하여 heterocyst형성 염조(鹽藻)의 증식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이상과 같은 효과(效果)는 화학비료연용구(化學肥料連用區) 토양보다 볏짚연용구(連用區) 토양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3. 염조류(鹽藻類)의 증식(增殖)은 질소시비량에 따라 약간씩 달라 질소 무시용구에서는 Anabaena, Nostoc, Cylindrospermum이 주로 증식(增殖)되었으나 질소 33ppm 시용구에서는 Cylindrospermum, Calothrix, 질소 100ppm 시용구에서는 Calothrix가 왕성히 증식(增殖)되는 경향이었다.

  • PDF

미생물제제의 토양처리가 인삼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Treatments with Microbial Materials on Growth and Yield of Korean Ginseng)

  • 최재을;이은정;김영창;유성준
    • 농업과학연구
    • /
    • 제27권1호
    • /
    • pp.1-4
    • /
    • 2000
  • 본 시험은 미생물제제의 토양처리가 고려인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미생물제제의 토양처리는 고려인삼의 생육 및 수량증대에 크게 작용하였다. 미생물제의 토양처리로 5개월 후에 인삼의 생체중이 32-68% 증가하였다. 미생물제제에 의한 생육촉진 및 수량증대효과는 근권의 미생물상의 변화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A DEEPLY BRANCHED NOVEL PHYLOTYPE FOUND IN PADDY SOIL

  • Kim, Hong-Ik;Kazunori Nakamura;Hiroshi Oyaizu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0년도 Proceedings of 2000 KSAM International Symposium and Spring Meeting
    • /
    • pp.128-134
    • /
    • 2000
  • In the course of flora analysis of soil Archaea, we found very strange 16S rDNA clones, which could possibly constitute a sister clade from known two archael, Crenarchaeota and Euryarchaeota, lineages. Overall signature sequences showed that the clones were closely related to domains Archaea and Eucarya. However, at least nine nucleotides distinguished the novel clones from domains Archaea and Eucarya. Phylogenetic trees drawn by maximum parsimony, neighbor joining and maximum likelihood methods also showed uniqu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clones. A very specific primer set was synthesized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novel group of organisms in terrestrial environments. A specific DNA fragment was amplified from all of paddy soil DNAs, and this fact suggests that the novel organisms inhabit paddy soils.

  • PDF

Effects of Long-Term Fertilization on Microbial Diversity in Upland Soils Estimated by Biolog Ecoplate and DGGE

  • An, Nan-Hee;Lee, Sang-Min;Cho, Jung-Rai;Lee, Byung-Mo;Shin, Jae-Hun;Ok, Jung-Hun;Kim, Seok-Cheo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51-456
    • /
    • 2014
  • Organic amendment practices can influence diversity and activities of soil microorganisms.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this impact compared with other types of materia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long term effects of chemical and organic fertilizer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upland field. During the last 11 years green manure, rice straw compost, rapeseed cake, pig mature compost, NPK, and NPK + pig mature compost were treated in upland soil. Organic fertilizer treatment found with high bacterial colony forming units (CFUs) as compared to chemical and without fertilizer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nomycetes and fungal population. The average well color development (AWCD) value was the highest in green manure and, the lowest in without fertilizer treatment. Analyses based on th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profile showed that rice straw compost and pig mature compost had a similar banding pattern while rapeseed cake, NPK, NPK + pig mature compost and without fertilizer treatment were clustered in another cluster and clearly distinguished from green manure treatment. Bacterial diversity can be highly increased by the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while chemical fertilizer had less impact. It can be concluded that green manure had a beneficial impact on soil microbial flora, while,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 could affect the soil bacterial communities adversely.

GMO 격리포장에서의 유전자변형 들잔디로부터 토착미생물로의 수평유전자전달 평가 (Evaluation of horizontal gene transfer from genetically modified zoysiagrass to the indigenous microorganisms in isolated GMO field)

  • 배태웅;이효연;류기현;이태형;임평옥;윤필용;박신영;류기중;송필순;이용억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75-80
    • /
    • 2007
  • The release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_{s}$) into the environment has the potential risks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gene transfer from $GMO_{s}$ to natural organisms and this needs to be evalu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possible horizontal gene transfer from herbicide-resistant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to indigenous microorganisms. We have first examined the effect of field-released GM zoysiagrass on the microbial flora in the gut of locust (Locusts mlgratoria). The microbial flora was analyzed through determining the 165 rDHA sequences of microorganisms. The comparison of the microbial flora in the gut of locusts that were captured at the field of GM zoysiagrass and of wild-type revealed that there is no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GM zoysiagrass does not have negative impact on microbial flora in the gut of locust. We then investigated whether the horizontal gene transfer occurred from GM zoysiagrass to microbes in soil, rhizosphere and faecal pellets from locusts by utilizing molecular tools such as Southern hybridiza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hen the total DNAs isolated from microbes in GM zoysiagrass and in wild-type zoysiagrass fields were hybridized with probes for bar or hpt gene, no hybridization signal was detected from both field isolates, while the probes were hybridized with DNA from the positive control. Absence of these genes in the FNAs of soil microorganisms as well as microbes in the gut of locust was further confirmed by PCR. Taken together, our data showed that horizontal gene transfer did not occur in this system. These results further indicate that frequencies of transfer of engineered plant DNA to bacteria are likely to be negligible.

염유집적(鹽類集積)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의 토양미생물상(土壤微生物相) 평가(評價) (Evaluation of Soil Microflora in Salt Accumulated Soils of Plastic Film House)

  • 권장식;서장선;원항연;신제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4-210
    • /
    • 1998
  • 본 시험은 재배이역(栽培履歷)이 서로 상이한 시설재배지에서의 염류집원적지(鹽類集源積地)와 건전지(健全地)의 미생물상(微生物相)의 생태(生態)를 비교해석(比較解析)하고, 미생물(微生物)적 진단(診斷)에 의한 근권환경(根圈環境)의 동태(動態)와 개량기술(改良技術)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주요 미생물(微生物)의 분포(分布)는 건전지(健全地)에서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 세균(細菌)의 밀도가 높은반면 염류장해지(鹽類障害地)에서는 병원성(病原性) Fuasarium 속의 밀도가 높고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 세균(細菌)이 낮은 분포밀도(分布密度)를 보였다. 토양중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Bacillus 속(屬),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屬), Enterobacteriaceae 등 세균류(細菌類)의 밀도와 Microbial biomass C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토양의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EC)가 $5.1dS\;m^{-1}$ 이상으로 높아지면 미생물(微生物)간의 비율중 세균(細菌)/사상균(絲狀菌)(B/F), 방선균(放線菌)/사상균(絲狀菌)(A/F)의 비율이 현저히 낮아지고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속(屬) 세균(細菌)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토양 pH와 세균(細菌)과의 관계는 고도의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사상균(絲狀菌)과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며, 토양유기물과 방선균(放線菌), Bacillus 속(屬), Enterobacteriaceae와는 각각 $r=0.226^*$, $r=0.334^{**}$, $r=0.276^{**}$, 치환성 Ca및 치환성 Mg함량과 방선균수(放線菌數)와는 각각 $r=0.334^{**}$, $r=0.352^{**}$, 유기물함량과 Microbial biomass C 함량과는 $R=0.439^{**}$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상관을 보였다.

  • PDF

돈분퇴비의 시용이 배추재배지 토양의 미생물상 및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Soil Microbial Flora and Chemical Properties as Influenced by the Application of Pig Manure Compost)

  • 원항연;권장식;서장선;최우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6-83
    • /
    • 1999
  • 가축분 퇴비가 토양의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농업과학기술원 시험포장에 시용량($8Mg\;ha^{-1}$, CM-8구: $29Mg\;ha^{-1}$, CM-29구: $57Mg\;ha^{-1}$, CM-57구)을 달리하여 돈분퇴비를 시비하고 봄배추를 재배하면서 생육시기별로 토양을 채취하여 미생물상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생물의 생균수는 무비구(대조구)에 비하여 화학비료구(NPK구)에서 세균, 방선균, 사상균수는 높았으나 세균 중에서 Bacillus속과 형광성 Pseudomonas속 균수는 현저히 낮았다. 반면에 퇴비 구에서는 Bacillus속을 제외한 모든 미생물이 시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고, 퇴비 $57Mg\;ha^{-1}$ 시용구(CM-57)에서는 세균 사상균, 방선균, 형광성 Pseudomonas속 균수가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4, 2.3, 3.2, 3.1배 높았다. 퇴비구에 있어서 세균(Bacillus속 포함)의 경우 배추의 생육초기에 정점에 도달하였으나, 형광성 Pseudomonas속은 생육후기에 사상균과 방선균은 수확기에 최고의 밀도를 보였다. 한편 토양미생물의 근권효과는 형광성 Pseudomonas속이 가장 컸다. 재배토양의 화학성분은 pH를 제외한 모든 항복에서 퇴비시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NPK구의 경우 EC와 K함량은 $0.89dS\;m^{-1}$$1.64cmol^+kg^{-1}$로 각각 대조구에 비하여 3.4 및 5.0배로서 모든 처리구 가운데 가장 높았다. 배추의 수량은 대조구가 $44Mg\;ha^{-1}$이었으나 퇴비구에서는 시용량에 비례하여 증수되어 CM-57구에서 $163Mg\;ha^{-1}$으로 처리구 중 가장 많은 수량을 거두었고 NPK구에서는 이보다 적은 $143Mg\;ha^{-1}$이었다.

  • PDF

바이오차 시용이 시설재배 멜론의 토양 환경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char Application on Soil Environment and Melon Growth in Greenhouse)

  • 김은혜;윤건식;정금재;이규회;전유민;윤철구;김주형;이상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5-90
    • /
    • 2024
  • 바이오차란 바이오매스를 산소가 제한된 조건에서 열분해하여 만든 탄소함량이 높은 고형물로서 토양환경 개선 효과로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토양개량제로 주목받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멜론 시설재배지 바이오차의 시용량별 토양 이화학성 및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평가 하였고 이에 따른 멜론의 생육 특성 및 수량성을 조사하였다. 토양의 물리성은 바이오차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용적밀도는 감소하고 공극률이 증가하여 토양의 통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토양의 화학성은 바이오차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pH가 증가하고 유기물 및 유효인산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멜론의 생육은 무처리 대비 바이오차 10,000 kg/ha 처리까지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멜론의 만장, 엽장, 엽폭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멜론의 생산량도 시용량에 따라 증가하여 바이오차 10,000 kg/ha 처리에서 무처리 대비 13~16% 높았다. 바이오차 시용에 따른 토양 미생물 군집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우점 유익균의 비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멜론 시설재배지 바이오차의 처리가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군집 개선의 결과를 나타내며 효과적인 토양개량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유기농 토양의 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상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Flora of Organic Farming Soil in Korea)

  • 박광래;스가 유코;홍승길;이초롱;안민실;김석철;하시모토 토모요시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77-83
    • /
    • 2016
  • 유기농 밭 토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유기농 인증을 받은 국내 15개 선도 농가를 선정하고, 밭 토양의 시료를 채취하여 유기농 인증토양에 대한 토양 이화학성 및 미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토양 이화학성중 pH는 4.9~7.3의 범위에서 변동하였다. 대부분의 작물은 6.0~7.0의 범위를 나타냈지만, 전남의 양파와 고구마 재배토양은 pH 4.5, 5.8의 산성을 나타내었으며, 경기의 마늘과 고추 그리고 전북의 대두 재배토양에서는 pH 7.2~7.3을 나타냈다. 이러한 토양의 알칼리화는 시용 자재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EC는 대부분의 조사 지역에서 관행 토양의 기준인 2 dS/m 보다 낮은 값을 보였지만, 일부 배추와 고구마 재배 토양에서는 3.9과 3.7을 나타냈다. 유효태 인산 함량은 재배 작물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 관행 토양의 기준인 $300{\sim}500mg\;kg^{-1}$에서 크게 벗어난 $300{\sim}1,894mg\;kg^{-1}$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유기 재배 토양에는 화학 비료 대신 가축분 퇴비를 대량으로 시용하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미생물 군집 구조 분석은 세균의 16S rDNA 및 사상균의 18S rDNA의 PCR-DGGE 분석을 실시하였다. DGGE 패턴에 기반 클러스터 분석 결과, 재배경력에 따라 5년 이하와 5년 이상으로 구분되어 재배이력이 길어질수록 토양 세균 군집이 차별화 되어 장기 유기농경지의 토양 특성 구분이 가능하였으나 사상균의 경우는 재배이력 및 지역별로 일정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유기농경지의 미생물적 특성을 구분할 때 5년 이상된 장기재배 토양을 대상으로 세균의 군집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