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il bacteria

Search Result 1,33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광합성세균(光合咸細蘭)의 검색(檢索)과 그 이용(利用)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Isolation and the Application of Photosynthetic Bacteria)

  • 김용웅;김광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32-138
    • /
    • 1981
  • 본 실험에서는 광합성세균(光合成細菌)의 검색(檢索)과 그 이용(利用)을 목적(目的)으로 우선 36개(個) 시료(試料)에서 광합성세균(光合成細菌)을 분리(分離)하고 그 세균(細菌)들의 성분(成分)과 질소(窒素) 고정력(固定力), 유기성(有機性) 폐수(廢水)의 정화능력(淨化能力)을 측정(測定)하였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어느 시료(試料)나 광합성세균(光合成細菌)은 분포(分布)되어 있으며 분리(分離)된 균(菌)은 Rhodopseudomonas capsulatus, Rhodopseudomonas gelatinosa, 와 Rhodospirillum rubrum의 4종(種)이었다 이들의 질소(窒素) 고정력(固定力)은 균주(菌株)에 따라 다르고 R. capsulatus H-1가 가장 강(强)했다. 또한 유기성(有機性) 폐수(廢水)의 정화능력(淨化能力)은 폐수(廢水)와 균주(菌株)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나 일반적으로 상당(相當)히 강(强)한 정화능(淨化能)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한식 잔반처리를 위한 호기성 미생물의 분리 및 그 분해효과 (Isolation of Aerobic Bacteria and Its Efficacy for the Treatment of Korean Food-Wastes)

  • 김광현;김지연;이광배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510-517
    • /
    • 1999
  • For the treatment of Korean food-wastes, three mesophilic and one thermophilic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oil and fermented fertilizers. The thermophilic Streptomyces sp. strain WF021 produced two enzymes which were a protease and a lipase at 55$^{\circ}C$. The mesophilic Bacillus sp. strain WF024 produced four enzymes which were a protease, a lipase, a amylase and a cellulase when the strain was grown both at 3$0^{\circ}C$ and 55$^{\circ}C$. The Bacillus sp. PY123 had produced three enzymes which were a protease, a cellulase and a lipase at 3$0^{\circ}C$. The Bacillus sp. strain CM1 produced three enzymes which were a protease, a amylase, and a cellulase at 3$0^{\circ}C$. The bacteria were grown in media containing 6% NaCl at least and did not have antagonism each other. The four isolates treated much more food-wastes than referance strains did. In a flask without aeration, three reference strains treated 15.4% of food-wastes, while four isolates treated 23.7% of food-wastes. In a flask with aeration, food-wastes were treated 67.3% by four isolates, and 64.3% by three reference strains, but 53.9% without bacteria. However, food-wastes were treated about 78% in a 200$\ell$-reactor made by Siwon Co., while 65.8% in a 20$\ell$-reactor made by Sanyo Co.

  • PDF

대표적 4개 오염지역의 수리지질 특성과 미생물학적 연구

  • 고경석;김재곤;조경숙;이상돈;염병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64-167
    • /
    • 2004
  • To investigate the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s in contaminated sites, hydrochemical and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were executed. Different indigenous bacteria were observed at 4 contaminated sites and this is considered to decompose the contaminants of groundwater.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ydrochemistry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and those are used for the information of natural attenuation and enhanced bioremediation.

  • PDF

항생물질 생산 Streptomyces의 분리 및 동정에 관하여 (On the Isolation of Antibiotic Producing Streptomyces spp. from Soil)

  • 서용만;홍순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3-99
    • /
    • 1977
  • Among the Streptomyces isolated from soil, two strains which have antibacterial activity aginst various pathogenic bacteria are identified as Streptomyces globosus and Streptomyces albus subsp. according to I.S.P. methods and Berg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m on several media were observed. Antibiotics from S. albus subsp. or S. globosus was identified asw tetracycline or streptomycin-like substances respectively by the paper chromatographic behavior in eight solvent systems of V. Betina. And it was revealed that these antibiotic substances are stable to temperature and weak acid.

  • PDF

오이 시설재배에서 키토산 처리가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hitosan on Microbial Community in Soils Planted with Cucumber under Protected Cultivation)

  • 박기춘;장태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3호
    • /
    • pp.261-269
    • /
    • 2012
  • 오이시설하우스 토양에 키토산의 분말과 액상을 처리하여 90일, 160일 및 200일이 경과한 후에 인지질지방산을 추출하여 토양 미생물상 구성 및 토양 미생물의 생리적 지표를 분석하였다. 확인된 총지방산을 주요인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키토산 처리 후 90일에 키토산 분말 처리구는 PC(주요인)1 대하여 키토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와 완전히 구분되었고, 키토산 용액 처리구는 PC2 모두에 대하여 대조구와 뚜렷이 구분되었다. 키토산 분말 처리 후 160일에 대조구와 비교하여 키토산 분말 처리구는 PC2에 대하여 완전히 구분되었지만 키토산 용액 처리구는 PC1과 PC2 모두에 대하여 뚜렷이 구분되지 못하였다. 키토산 처리 후 200일에는 PC1과 PC2 모두에 대하여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지표 지방산을 이용한 미생물군과 생리적 지표의 차이를 보면, 키토산을 토양에 처리한 후 90일에는 토양미생물군에 미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곰팡이/세균 비율은 키토산 용액 처리구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키토산 처리 후 160일은 균근이 키토산 분말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세균은 그램 음성균/그램 양성균 비율이 키토산 용액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cyclo-지방산/전구체 비율은 대조구가 키토산 분말 처리구보다 높았다. 곰팡이/세균 비율은 키토산 처리구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키토산 처리 후 200일 조사에서 호기성균/혐기성균 세균의 비율이 키토산 분말 처리구가 키토산 용액 처리구보다 높았고, 포화지방산/불포화지방산 비율은 키토산 용액 처리구가 키토산 분말 처리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키토산은 처리 후 160일까지 토양 미생물상을 변화시켰으며 분말에서 효과가 컸다. 미생물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키토산의 영향은 처리 160일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200일까지 나타났다.

인삼 연작장해 유발토양과 억제토양의 화학성, 미생물상 및 뿌리썩음병 발생 특성 (Soil Chemical Properties, Microbial Community and Ginseng Root Rot in Suppressive and Conducive Soil Related Injury to Continuously Cropped Ginseng)

  • 이성우;이승호;서문원;장인복;권나영;허혜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2-151
    • /
    • 2020
  • Background: Suppressive soil inhibits soil-borne diseases if pathogens are present, and ginseng does not show injury even if replanted in the same field. Methods and Results: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community of soil were investigated in soil suppressive and conducive to ginseng root rot. Root rot disease in 2-year-old ginseng was tested by mixing conducive soil, with suppressive or sterilized suppressive soil. The root rot ratio in suppressive soil was 43.3% compared to 96.7% in conducive soil. Biological factors acted to inhibit the root rot because disease ratio was increased in the sterilized suppressive soil compared to that in non-suppressive soil. The suppressive soil had lower pH, nitrate nitrogen and sodium than the conducive soil. Dominat bacteria and fungi (more than 1.0%) were 3 and 17 species in conducive soil and 7 and 23 species in suppressive soil, respectively. The most predominant fungi were Pseudaleuria sp. HG936843 (28.70%) in conducive soil and Pseudogymnoascus roseus (7.52%) in suppressive soil. Conclusion: Microbial diversity was more abundant in the suppressive soil than in the conducive soil, and the proportion of pathogens (Nectriaceae sp.) causing root ro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uppressive soil than in the conducive soil.

혐기성 슬러지를 첨가한 오염 토양에서 저자 수용체 조건에 따른 디젤 분해 및 미생물 군집 변화

  • 이태호;최선열;박태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07-210
    • /
    • 2004
  • Effect of electron accepters on anaerobic degrad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by an anaerobic sludge taken from a sludge digestion tank in a soil artificially contaminated with 10,000 mg/kg soil of diesel fuel was tested. Treatments of soil with 30 mL of the digestion sludge (2,000 mg/L of vss (volatile suspended solids)) were incubated under several anaerobic conditions including nitrate reducing, sulfate reducing, methanogenic, and mixed electron accepters conditions for 120 days. Treatments with the digested sludge showed significant degradation of diesel fuel under all anaerobic conditions compare to control treatments with an autoclaved sludge and without the sludge. The amount of TPH degradation after 120days incubation was the largest in the treatment with the sludge and mixed electron accepters (75% removal of TPH) followed in order by sulfate reducing, nitrate reducing, methanegenic condition as 67%, 53%, 43%, respectively. However, the rate of TPH degradation in the nitrate- and sulfate reducing condition within 105 days were comparable with that of the mixed electron accepters condition. Microorganisms in each electron acceptor condition were plated on solid mediums containing nitrate or sulfate as sole electron acceptor and several nitrate- and sulfate reducing bacteria showed effective degradation of diesel fuel within 30 days incub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aerobic degradation of diesel fuel in soil with digested sludge is effective for practical 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petroleum hydrocarbons.

  • PDF

흑연(GRAPHITE)의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phite on Rice Growth)

  • 황철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6-91
    • /
    • 2003
  • 흑연이나 활성탄등의 탄소물질이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며 유용 토양미생물의 생육을 촉진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실험에는 제철공정에서 재활용, 정제된 흑연을 상토의 첨가제로 시용하여 벼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이앙기의 생육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0.1% 흑연 첨가구에서 생육 촉진효과가 보였으며 이앙후 처리구별 생육의 차이는 그다지 보이지 않았다. 다만 0.1% 첨가구에서 육묘한 벼의 수량은 특별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약 1%정도 증수되었다.

Polycaprolactone을 분해하는 토양미생물 (Soil Microorganism Degrading Polycaprolactone)

  • 김말남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400-404
    • /
    • 2004
  • 유기합성적으로 제조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일종인 polycaprolactone (PCL)을 $27^\circ{C}$$37^\circ{C}$로 온도를 달리한 활성오니토양에 66일간 매립하여 토양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PCL 필름의 표면변화를 관찰하고, PCL을 분해하는 토양진균과 토양세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PCL을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토양진균으로는 Paecilomyces fumosoroseus KH27, Penicillium digitatum KH28, Fusarium solani KH29와 Aspergillus sp. KH30, 토양세균으로는 Ochrobactrum anthropi KH3l이 분리되었다. $27^\circ{C}$에서는 P. digitatum KH28이 가장 높은 PCL 분해능(46%)을 보였고, $37^\circ{C}$에서는 O. anthropi KH31의 분해능(52%)이 가장 우수하였다.

토양과 작물근계의 미생물군집 구조해석 I. 고추 및 토마토 재배지 토양과 근계의 세균군집 구조해석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Soil and Crop Root System I.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Soil and Root System of Red Pepper and Tomato)

  • 김종식;권순우;이선주;정병간;송재경;고승주;류진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9-325
    • /
    • 1999
  • 토양과 작물근계에 있어서 유용미생물의 농업적 이용을 위해서는 토양-근계의 미생물군집구조를 명확히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닐하우스내에서 재배한 고추와 토마토의 생육이 건전한 지점과 역병이 이병되어 생육이 불량한 지점에서 토양과 작물근계의 미생물군집을 분석하여, 앞으로 생물비료 생물농약의 실용화를 위한 미생물의 농업적 이용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다각적인 측면에서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배양이 되는 세균군집구조 결석의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한다. 세균군집 구조를 분석한 결과 전세균 및 방선균의 개체군은 토양, 근면시료에 있어서 큰 변동을 보이지 않은 반면, 형광성 pseudomonas의 개체수는 토양보다는 근면(rhizoplane)에서 큰 변동을 보였으며 특히 근면에서 높은 개체군을 보였다. 또한 근면에 있어서는 건전한 근면이 역병이 이병된 비건전한 근면보다도 높은 개체군을 보였다. 그리고 고추와 토마토작목간에는 큰 차를 보이지 않았다. MIDI system을 이용한 지방산조성 분석에 의한 세균 285균주에 대하여 각각을 동정한 결과, 크게 두 그룹으로 뚜렸하게 나타났다. 가장 높은 것이 주로 Bacillus 속인 저(低) G + C 그램양성세균군이 52%를 보였고, 방선균 등의 고(高) G + C 그램양성세균군이 33%를 보였다. 따라서 토양 및 근권세균의 농업적 이용에 있어서 형광성 pseudomonas. Bacillus spp., 방선균등의 적절한 활용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