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Depth

검색결과 2,459건 처리시간 0.029초

한발시(旱魃時) 파종(播種)깊이에 따른 율무의 유묘생장(幼苗生長)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Seedling Growth of Coix lachryma-jobi L. at Drought Conditions under Different Seeding Depth)

  • 윤성탁;정길웅;이동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15
    • /
    • 1998
  • 율무의 파종깊이 에 따른 토양온도, 출현율(出現率) 등 유묘의 초기 생장특성(生長特性)과 한발시 파종깊이별 한발(旱魃) 저항성(抵抗性)을 구명하여, 파종후 초기 유묘세(幼苗勢)증진방법을 탐색코자 몇가지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온도의 일변화(日變化)는 대기온도의 일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최저온도(最低溫度) 및 최고온도(最高溫度)는 각각 08 : 00시, 16 : 00시로 나타나 대기온도에 비하여 한시 간정도 늦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1. 파종깊이별 일중 평균 토양온도는 1cm에서 $26.7^{\circ}C$, 2cm에서 $27.1^{\circ}C$ 그리고 3cm, 4cm모두에서 $27.3^{\circ}C$로서 표토부근 보다는 3cm, 4cm 깊이에서 높았다. 3. 파종깊이별 출현율(出現率)은 율무 1호에서는 4cm 파종구, 연천 9호에서는 3cm 파종구에서 각각 81.2%, 88.0%로서 가장 높았다. 4. 파종깊이별 출현소요일수(出現所要日數)는 1cm 파종구에서 약 9일 정도 소요되어 2, 3, 4cm 파종구보다 두품종 모두 $1{\sim}2$일 정도 소요일수가 빨랐다. 5. 파종깊이별 초장(草長) 및 건물중(乾物重)은 율무 1호는 3cm 파종구에서, 연천 9호는 4cm깊이 파종구에서 각각 높았으며, 품종간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5. 출현후 한발조건 조성시 파종깊이별 생존개체(生存個體) 비율(比率)을 보면 파종심도가 제일 깊은 4cm구에서 두품종 모두 각각 51.3%, 60.0%로서 생존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7. 한발조건 조성시 파종깊이에 따른 출현율(出現率), 생존개체비율(生存個體比率), 초장(草長) 및 건물중(乾物重)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모두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 되었다.

  • PDF

산불 발생 후 토양 미생물의 밀도 변화 (Change of Soil Microbial Populations after Forest Fire)

  • 박동진;육연수;김종진;이상화;김창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8-81
    • /
    • 1999
  • 1997년 10월 21일에 발생한 지리산 국립공원의 산불 지역을 대상으로 토양 미생물의 분포 밀도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산불 발생 직후 표층, 지하 5cm, 10cm, 20cm, 30cm의 각 깊이에서 토양 미생물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표층과 지하 5cm 깊이에 분포하는 세균의 밀도는 산불이 없었던 인근 지역의 $10^6$CFU/g soil 수준에 비해 $10^2$ CFU/g soil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방선균은 표층에서 완전히 소멸되었으며 지하 5cm 깊이에서는 대조구의 $10^6$CFU/g soil 수준에 비해 낮은 $10^3$ CFU/g soil 수준이었다. 곰팡이는 표층과 지하 5cm 깊이 모두에서 완전히 소멸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하 10cm 이상의 깊이에 분포하는 미생물들의 밀도는 전혀 감소되지 않았다. 또한 산불 발생 후 토양 미생물의 분포 회복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표층과 지하 5cm 깊이에서 경시적으로 밀도를 조사하였다. 산불 발생 2개월만에 미생물 밀도의 대부분은 크게 증가하여 산불이 없었던 인근 지역과 비슷하였으나토양 표층에 분포하는 방선균만은 산불 발생 4개월 후에도 여전히 대조구의 $10^6$ CFU/g soil 수준에 비해 낮은 $10^4$CFU/g soil 수준을 나타내었다.

  • PDF

산사태 조사를 통한 토층심도가 산사태 발생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Soil Depth on Landslide Risk Assessment)

  • 김만일;김남균;곽재환;이승재
    • 지질공학
    • /
    • 제32권3호
    • /
    • pp.327-338
    • /
    • 2022
  • 산사태 발생지역에서 측정된 토층심도 자료를 토대로 경험적 내지 통계적으로 토층심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지형고도 기반의 Z-model과 확률론적 통계모델을 활용하여 산사태 발생구간에 대한 토층심도를 산정하고, 이를 토대로 강우사상에 따라 토층 내로 강우의 침투특성을 반영하여 분석할 수 있는 토층에 대한 포화깊이비 개념을 접목하여 산사태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Z-model로 예측된 토층심도가 확률론적 통계모델로 산정된 결과보다는 본 연구지역에서 측정된 토층심도와 비교적 유사하게 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산사태 발생지역에 대해 확률론적 통계모델로 예측된 토층심도를 적용해 분석한 결과가 Z-model로 산정된 결과보다 산사태위험도 1등급 분포 비율이 2.5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는 토층심도가 직접적으로 산사태위험도 평가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산사태위험도 분석을 위해서는 대상지역의 토층심도 자료의 획득 및 적용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적외선 조사된 토양에 대한 열전달 모델 (Heat Transfer Model for Soil Irradiated by Infrared)

  • 강화석;이귀현;강위수;오재헌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1권4호
    • /
    • pp.449-455
    • /
    • 1996
  •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at various soil depths were predicted by heat transfer model during and after infrared irradiation on sand loam or loam soil. At each soil depth, predicted and measured temperature distributions were compared with using the mean relative percentage deviation and standard error. The mean relative percentage deviation was less than 10%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temperature distributions at each soil depth. Thus, it was concluded tha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t each soil depth could be predicted satisfactorily by heat transfer model. Also, it is expected that these predicted temperature distributions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determining the working speed of weeder and the size when the real weeder is constructed.

  • PDF

Status and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Chungcheongnam-do

  • Yun-Gu Kang;Sung-Jin Park;Jae-Han Lee;Jin-Hyuk Chun;Jun-Young Lee;Taek-Keun Oh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239-247
    • /
    • 2022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gricultural soil are factors that affect crop productivity and soil fertility. In Korea, agricultural environment change surveys have been conducted every four years since 19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gricultural soil in Chungcheongnam-do.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exact location of the aforementioned environment survey, and environmental variables (land use, type of crop cultivated)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samples. Soil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a core sampler and a single gouge auger. The bulk density of the soil generally increased up to a depth of sampling of 40 cm but decreased thereafter to a depth of 60 cm. Additionally, the bulk density was highest in the upland soil case and stood at 1.59 g·cm-3, while the lowest value of 1.52 g·cm-3 was obtained from orchard soil samples. Conversely, the porosity and moisture gradually decreased at soil depths of 0 - 40 cm and increased at depths of 40 - 60 cm. Most of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generally decreased with an increase the soil depth from 0 to 70 cm, but electrical conductivity (EC) increased up to a depth of 40 cm.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bulk density by supplying organic matter for agricultural land in Chungcheongnam-do.

강원도 석탄 폐광지 주변 폐석더미에서 복토와 식생기반재 처리가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와 참싸리(Lespedeza cyrtobotrya Miq.)의 경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Covering Depth and Vegetation Base Materials on the Competition between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and Lespedeza cyrtobotrya Miq. at Abandoned Coal Mine Land in Gangwon, Korea)

  • 이궁;임주훈;김정환;이임균;정용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9-107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oil covering depth and vegetation base materials on the competition between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and Lespedeza cyrtobotrya Miq., which were grown in an abandoned coal mine land for three years after seeding, by comparing their growth and stem density. The study site was consisted of sub-plots with four different soil covering depths (0cm, 10cm, 20cm, and 30cm) and four different compounds of vegetation base materials (peat moss (control), soil conditioner+peat moss (S+P), erosion control material+peat moss (E+P), and soil conditioner+erosion control material+peat moss (S+E+P)).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opposite pattern between P. densiflora and L. cyrtobotrya with different soil covering depth and compounds of vegetation base materials in general. P. densiflora showed the highest growth and stem density in plots with 10cm and 0cm depths of soil covering, respectively, while the lowest was shown in plots with 20cm depth of soil covering. In contrast, L. cyrtobotrya showed the highest growth and stem density in plots with 20cm depth of soil covering, while the lowest was shown in plots with 0cm depth of soil covering. In case of vegetation base materials, P. densiflora showed the highest growth and stem density in control plots and plots treated with S+P, respectively, while the lowest was shown in plots with S+E+P treatment. On the other hand, L. cyrtobotrya showed the highest growth and stem density in plots treated with S+E+P, while the lowest was shown in control plot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competition between two plants as a major cause of opposite patterns, which is induced by the suppressed growth and stem density of P. densiflora by fast growing L. cyrtobotrya. Despite the suppression of L. cyrtobotrya on P. densiflora, L. cyrtobotrya can play a positive role in improving soil quality, and thus it would be more desirable for restoring abandoned coal mine land to manage the growth of L. cyrtobotrya periodically, rather than eliminate them.

새만금 방조제 개활지의 준설토 기반에 대한 배수층재 처리가 수목 생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aterials of Drainage Layer at the Reclaimed Soil Base on Tree Growth at the Open Space of Saemangeum Sea Dike)

  • 이한나;임주훈;구남인;배상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23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drainage layers on tree growth at the exposed sites of Saemangeum sea dike. 4 types of drainage layers including control(dredged soil), specially prepared bark, gravel, and wood chip were set in 150~165cm depth of soil. Pinus thunbergii and Celtis sinensis were planted after 9 months of soil treatment. Electrical conductivity(EC) of soil in all treated plots were decreased under $4dS{\cdot}m^{-1}$, and NaCl(%) was decreased under 0.05% after 1 year from soil treatment. Soil moisture at the 120cm depth of the bark treated plo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180cm soil depth, below the drainage layer. It is considered that vertical mobility of water was inhibited. Organic matter(OM) at the 120cm soil depth increased at bark and wood chip treated plots. Survival rates after 4 years of P. thunbergii and C. sinensis were 100% in all treatments. The height of P. thunbergii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while the height of C. sinensi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and it was highest at the bark treated plot.

SOIL TEMPERATURE PREDICTION OF THE REGION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

  • Kim, Y. B.;H. S. Ha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0년도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V.II
    • /
    • pp.246-253
    • /
    • 2000
  • The optimal equations to predict the soil tempratures of twelve cities in the region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 such as Changhung, Cheju, Chinju, Kwangju, Masan, Miryang, Mokpo, Muan, Pusan, Sogwipo, Ulsan, Yoosu, were suggested as function of time and soil depth and the time dependent variation and soil depth dependent distribution of temperature were analyzed for the back data of the geothermal energy utilization system design and agricultural usages. The equation form is $T(x,\;t)\;=\;T_{m}\;-\;T_{so}{\cdot}Exp(-\xi){\cdot}cos{\omega}(t\;-\;t_{o}\;-\;x\;/\sqrt{2{\alpha}{\omega}}$) and it can predict the soil temperatures well with the correlation factor of 0.98 or upwards for most data. The range of mean soil temperature was $14.99~18.53^{\circ}C$ and soil surface temperature swing, 11.65~14.54 days, soil thermal diffusivity, $0.025~0.069\;m^2/day$ except Mokpo of $0.100\;m^2/day$, and phase shift, 19.66~27.81 days. During about thirty years from 1960s to 1990s, the mean soil temperature was increased by $0.04~1.25^{\circ}C$. The temperature difference depending on soil depth was not significant.

  • PDF

경운과 무경운에 따른 토양 내 잡초종자의 수직적 분포양상 (Vertical Distribution of Weed Seed in the Soil as affected by Tillage and No-till)

  • 이병모;박광래;이연;조정래;이상민;안난희;최현석;지형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1-5
    • /
    • 2012
  • 번거로운 토양 종자은행 조사를 위해 간편한 모니터링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경운과 무경운에 따른 토양내 잡초종자의 수직적 분포 양상을 관찰하였다. 본 시험은 강원도 화천의 유기농 옥수수 포장에서 수행되었다. 포장의 조성은 2010년부터 경운과 무경운 조건으로 2년간 조성된 무경운 포장에서 30 cm 깊이의 비파괴 토양 시료를 채취한 후 그 안에서 발생하는 잡초를 헤아려 종자의 토양 분포정도를 조사하였다. 토양속 잡초 종자의 분포는 경운구의 경우 15 cm 이내에 75%의 종자가 분포되어 있는 등 30 cm 깊이까지 대체로 고르게 분포되고 있었던 반면 무경운 조건에서는 15 cm 이내에 85% 이상의 종자가, 20 cm 이내에 93%의 종자가 분포되어 대체로 토양 표면에 집중되었다. 한편 잡초의 발생초종수와 개체수는 경운구가 무경운구에 비해 3배나 많은 양이 발생되었으며 주요 우점초종은 돌피, 석류풀, 바랭이 등의 일년생 초종이었다.

지질별 불포화토 사면의 붕괴 임계심도 분석 (Analysis on Failure Critical Depth of Unsaturated Landslide Zone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 남경훈;김민규;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25권2호
    • /
    • pp.299-304
    • /
    • 2015
  • 강우침투로 인한 불포화토 사면의 안정해석이 산사태 분석 및 사면 안정성을 평가하는데 주요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강도를 고려하여 국내 산사태 발생부의 모암별 풍화토층의 붕괴 임계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강우강도 및 사면경사 증가에 따라 편마암 풍화토는 임계심도가 3.00 m에서 3.77 m로 증가하였고, 화강암 풍화토는 임계심도가 1.75 m에서 2.40 m로 증가하였으며, 이암 풍화토는 3.00 m에서 4.15 m로 증가하였다. 점착력이 낮고 내부 마찰각이 높은 화강암 풍화토에서 붕괴 임계심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강우강도에 의한 안전율 감소보다 사면경사 증가에 따른 안전율 감소가 다소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