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Degradation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8초

난분해 PAHs의 화학적산화에 의한 유사기질동시대사 (Analogue Substrate Cometabolism by Chemical Oxidation of Recalcitrant PAHs)

  • 류선정;박갑성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87-92
    • /
    • 1998
  • The effect of chemically oxidized intermediates of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 (PAH) compounds on the degradation of the parent PAHs was characterized and evaluated for the context of cooxidation. Anthracene and pyrene exhibited extensive degradation (mean percent removal of 57.5%) after 28 days of incubation by introducing the Fenton oxidation intermediate of the PAH compounds, while unoxidized anthracene and pyrene exhibited 12.5% removal The chemical oxidation products can serve as a structually similar analogue substrates for a consortia of soil microorganisms and as a metabolic intermediates in the biodegradation sequence of the parent PAH compounds. These results may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cooxidation mechanism whereby high recalcitrant PAH compounds are biodegraded in the soil and suggest a potential tool for bioremediation of PAHs contaminated soils and protection of groundwater.

  • PDF

PAHs 오영 토양의 Fenton 보조 동시산화 (Fenton Reaction Assisted Cooxidation for PAHs Contaminated Soils)

  • 류선정;박갑성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8년도 총회 및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3-60
    • /
    • 1998
  • The effect of chemically oxidized intermediated of PAH compounds on the degradation of the parent PAHs was characterized and evaluated for the context of cooxidation. Anthracene and pyrene exhibited extensive degradation (mean percent removal of 57.5%) after 28 days of incubation by introducing the Fenton oxidation intermediate of the PAH compounds, while unoxidized anthracene and pyrene exhibited 12.5% removal. Dehydrogenase activities for the oxidized PAH studies ware enhanced two to five folds to the unoxidized PAHs studies. The chemical oxidation products can serve as a structually very similar analogue substrates for a consortia of soil microorganisms and as a metabolic intermediates in the biodegradation sequence of the parent PAH compounds. These results may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cooxidation mechanism whereby high recalcitrant PAH compounds are biodegraded in the soil and suggest a potential tool for bioremediation of PAHs contaminated soils and protection of groundwater.

  • PDF

Alkylbenzenesulfonate의 토양(土壤)에 의한 흡착(吸着)과 분해(分解) (Adsorption and Degradation of Alkylbenzenesulfonate by Soils)

  • 하상건;주진호;엄명호;임형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9-175
    • /
    • 1988
  • 토양중(土壤中)에서의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의 분해(分解)와 pH, 유기물(有機物) 및 음(陰)이온이 토양(土壤)에 의한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의 흡착(吸着)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자 상이(相異)한 2개(個) 답토양(沓土壤)(안미통(安美統), 강서통(江西統))의 경작층(耕作層)에 대해 Dodecylbenzensulfonate(ABS)를 사용(使用)하여 실내시험(室內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土壤)에 의한 ABS의 흡착(吸着)은 ABS의 평균농도(平衡濃度)와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여 주었다(안미통(安美統) r=0.9855, 강서통(江西統) r=0.9931). 2. 토양(土壤) 현탁액(懸濁液)의 pH가 4~5 일 때 토양(土壤)에 의한 ABS의 흡착(吸着)은 처리농도(處理濃度)($600{\mu}g$ ABS/g soil)의 약(約) 70%, pH 8 부근(部近)에서는 약(約) 20%가 흡착(吸着)되었다. 3. 전해질(電解質)의 종류(種類)에 의해서는 ABS의 흡착(吸着)을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으나, 전해질(電解質)의 농도(濃度)는 ABS의 흡착(吸着)에 영향(影響)을 주어 저농도(低濃度)보다는 고농도(高濃度)에서 많은 흡착(吸着)이 일어났다. 4. 토양(土壤)에 의한 ABS의 흡착(吸着)은 토양(土壤)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에 의해 영향(影響)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토양(土壤)과 ABS의 현탁액(懸濁液)을 1주간(週間) 항온(恒溫)할 경우, ABS는 $30^{\circ}C$에서 약(約) 85%, $10^{\circ}C$에서 약(約)10~15%가 분해(分解)되었다. 오수(汚水)를 넣어줄 경우에는 온도(溫度)에 관계(關係)없이 약(約) 85%가 분해(分解)되었다.

  • PDF

환경조건 차이에 따른 밭 토양중 제초제 Napropamide의 잔류 및 토양미생물상 변화 (Residue of Herbicide Napropamide and Change of Microorganism in Upland Soil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 한성수;정재훈;최찬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8-313
    • /
    • 1994
  • 잔효기간이 긴 것으로 알려진 토양처리형 제초제 napropamide를 밭토양중 여러 환경조전하에 처리하여 이 약제의 토양중 분해성을 검토하고, 이 제초제가 토양미생물 상변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토양과 비살균토양에서의 napropamide의 분해반감기는 각각 28.3, 14.6 일이었다. 수분함량의 차이에 따른 napropamide의 분해 속도는 60% > 80% ${\geq}$ 40% 순이였으며 napropamide의 처리와 무처리간의 미생물 발생수는 유의성이 없었고, 처리구내의 60% 수분함량구가 40% 수분함량구에서보다 세균수와 총균수가 많았다. pH의 차이에 따른 napropamide의 분해속도는 pH가 낮을수록 빨랐으며, napropamide처리구내 총균수는 pH5.5에서 경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apropamide의 분해속도는 $27^{\circ}C$ > $37^{\circ}C$ > $17^{\circ}C$의 순으로 빨랐으며, 각 온도에 있어서 napropamide 무처리구와 처리구간의 미생물수는 $17^{\circ}C$에선 방선균이, $27^{\circ}C$, $37^{\circ}C$에선 세균이 무처리구보다 처리구에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Napropamide의 반감기는 10ppm과 20ppm처리에서 각각 16.6일과 21.1일이었고, 미생물 발생수는 20ppm처리구에서보다 10ppm처리구에서 많았다. 식양토와 미사질 양토에서 napropamide의 반감기는 27.7일, 17일이었으며, 처리구와 무처리구간의 미생물 발생수는 차이가 없었다. 포장 및 실내조건에서의 napropamide의 반감기는 각각 5.4일과 19.1일로 포장에서가 실내에서 보다 분해속도가 3.5배 빨랐다.

  • PDF

호남지역 농경지 토양에 분포된 농약내성균의 밀도와 살균제 Chlorothalonil의 분해 (Population of Pesticide Resistant Strains in Cultivated Soils of Honam Area and Degradation of Chlorothalonil in soil)

  • 이상복;최윤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5-191
    • /
    • 2001
  • 호남지역 농경지에 수년간 사용되어 온 타로닐, 만코지, 벤타존 및 부타클로르약제에 대한 내성균의 밀도를 조사하고 이들 내성균주를 분리하여 미생물속의 분포 및 타로닐의 분해정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남지역 농경지에 분포한 타로닐을 비롯한 4개약제 $500{\mu}g\;ml^{-1}$에 생존하는 내성균의 밀도는 $10^3cfu\;g^{-1}$이 상으로 시설재배지> 밭> 논토양 순으로 높았고, 약제별로는 벤타존> 부타클로르> 타로닐> 만코지 순으로 높았으며, 이들4개 약제 $500{\mu}g\;ml^{-1}$에서 분리된 내성균주의균속 분포율은 Acinetobacter속과 Corynebacterium속이 높게 나타났으나 Moraxella속은 낮게 나타났다. 타로닐 연용 밭토양에 $0{\sim}100{\mu}g\;g^{-1}$까지 처리후 20일간 배양시 사상균수는 초기보다 감소하였으나 호기성3, 방선균 및 타로닐내성균수는 크게 증가하였고, 멸균 토양중에서 다코닐약제 분해균주의 밀도는 $10{\mu}g\;g^{-1}$처리시 접종후 5일경에 가장 높았고, TD-25균주는 TC-23균주보다 높은 밀도로 나타났다. 다코닐 약제처리후 20일째의 약제잔류농도는 고농도처리에서 높았고 약제분해는 TD-25균주> 무멸균토양 함유균주> TC-23균주 순으로 나타났다.

  • PDF

A correlation between moistur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a damaged 15-year-old rammed soil house

  • Preciado, Adolfo;Santos, Juan Carlos;Ramirez-Gaytan, Alejandro;Ayala, Karla;Garcia, Jose de Jesus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3권3호
    • /
    • pp.227-244
    • /
    • 2020
  • Earthen structures have an excellent bioclimatic performance, but they are vulnerable against earthquak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dification process and costs, a full-scale rammed soil house was constructed in 2004. In 2016-2019, it was studied its seismic damage, durability and degradation process. During 2004-2016, the house presented a relatively good seismic performance (Mw=5.6-6.4). The damaged cover contributed in the fast deterioration of walls. In 2018 it was observed a partial collapse of one wall due to recent seismicity (Mw=5.6-6.1). The 15-year-old samples presented a reduced compressive strength (0.040 MPa) and a minimum moisture (1.38%). It is estimated that the existing house has approximately a remaining 20% of compressive strength with a degradation of about 5.4% (0.0109 MPa) per year (considering a time frame of 15 years) if compared to the new soil samples (0.2028 MPa, 3.52% of moisture). This correlation between moisture and compressive strength degradation was compared with the study of new soil samples at the same construction site and compared against the extracted samples from the 15-year-old house. At 7-14-days, the specimens presented a similar compressive strength as the degraded ones, but different moisture. Conversely, the 60-days specimens shown almost five times more strength as the existing samples for a similar moisture. It was observed in new rammed soil that the lower the water content, the higher the compressive/shear strength.

Isolation of an Indigenous Imidacloprid-Degrading Bacterium and Imidacloprid Bioremediation Under Simulated In Situ and Ex Situ Conditions

  • Hu, Guiping;Zhao, Yan;Liu, Bo;Song, Fengqing;You, Minsh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1호
    • /
    • pp.1617-1626
    • /
    • 2013
  •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nd its complexity of the enrichment culture during the isolation and screening of imidacloprid-degrading strain were studied using denaturat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The dominant bacteria in the original tea rhizosphere soil were uncultured bacteria, Rhizobium sp., Sinorhizobium, Ochrobactrum sp., Alcaligenes, Bacillus sp., Bacterium, Klebsiella sp., and Ensifer adhaerens.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was altered extensively and its complexity reduced during the enrichment process, and four culturable bacteria, Ochrobactrum sp., Rhizobium sp., Geobacillus stearothermophilus, and Alcaligenes faecalis, remained in the final enrichment. Only one indigenous strain, BCL-1, with imidacloprid-degrading potential, was isolated from the sixth enrichment culture. This isolate was a gram-negative rod-shaped bacterium and identified as the genus Ochrobactrum based on its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and its 16S rRNA gene sequence. The degradation test showed that approximately 67.67% of the imidacloprid (50 mg/l) was degraded within 48 h by strain BCL-1. The optimum conditions for degradation were a pH of 8 and $30^{\circ}C$. The simulation of imidacloprid bioremediation by strain BCL-1 in soil demonstrated that the best performance in situ (tea soil) resulted in the degradation of 92.44% of the imidacloprid (100 mg/g) within 20 days, which was better than those observed in the ex situ simulations that were 64.66% (cabbage soil), 41.15% (potato soil), and 54.15% (tomato soil).

토양중 제초제 Napropamide의 흡착 및 분해 특성 (Adsorption and Degradation of Herbicide Napropamide in soils)

  • 문영희;김영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7-261
    • /
    • 1998
  • 실내 실험을 통하여 토양중 napropamide의 흡착 및 분해성에 대하여 연구 검토하였다. 3 토양중 napropamide의 흡착 분배 계수 값(kd)은 5.38 - 11.39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이 많은 토양에서 Kd값이 높았다. 토양중 napropamide는 일정 기간의 lag time 후에 분해가 진행되었다. 처리량의 50%가 소실되는 기간은 $10^{\circ}C$에서 약 65 일, $20^{\circ}C$에서 약 45일, $30^{\circ}C$에서 30일 정도 이었으며, 90%까지 분해 소실되는 되는 $10^{\circ}C$에서 약 90일 $20^{\circ}C$ 에서 약 60일 $30^{\circ}C$에서 약 45일정도 소요되었다. Napropamide를 처리한 전력이 있는 토양중 napropamide의 분해는 lag period가 없이 진행되었으며 분해속도도 매우 빨라졌다. 이는 napropamide의 반복처리에 의하여 그 분해속도가 촉진됨을 입증해주는 결과라 하겠다.

  • PDF

화학적 영향인자를 고려한 토목섬유-흙 접촉면 동적거동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Dynamic Behaviors for Geosynthetic-soil Interface Considering Chemical Influence Factors)

  • 박인준;곽창원;김재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11호
    • /
    • pp.47-54
    • /
    • 2010
  • 최근 쓰레기 매립장에 보강 및 보호 목적으로 토목섬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연구결과, 토목섬유-흙 접촉면에서는 진행성 파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토목섬유-흙 접촉면에서 함수비, 연직응력, 화학적 요소의 영향 등 고유물성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침출수 내의 산성 및 염기성과 같은 성분의 영향이 진동하중 상태에서 토목섬유-흙 접촉면의 전단강도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실내 시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다기능 접촉면 시험기를 새로 구축하고 서로 다른 pH 조건에서 수침시킨 토목섬유와 흙시료를 이용하여 진동 직접전단시험을 수행하여 접촉면 전단두께와 화학적 요소에 의한 접촉면의 전단강도 감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접촉면 전단강도 감소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교란상태개념에 기초하여 동하중 하의 화학적 인자들에 의한 토목섬유-흙 접촉면의 정규화 교란도 함수를 파악하고 전단강도 감소 특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