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CO_2$ evolution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1초

3종류 활엽수 조림지 토양의 이산화탄소 발생 (Soil Carbon Dioxide Evolution in Three Deciduous Tree Plantations)

  • 손요환;이구;홍지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0-295
    • /
    • 1994
  • 각기 다른 수종이 토양발생 이산화탄소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광릉시험림내에서 비슷한 입지에 식재된 20년생 백합나무, 은수원사시나무, 루브라참나무 인공조림지를 대상으로 soda-lime 법으로 1994년 5월부터 10월까지의 임목생육기간동안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수종에 따라 $0.21g/m^2/hr{\sim}0.33g/m^2/hr$로 차이가 있었다.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대기 및 토양온도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7, 8월에 가장 높았고,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계절적 변화는 대기 및 토양온도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이산화탄소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환경 및 삼림인자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검단산 한계농지에서의 토양발생 CO2 및 질소 유효도 (Soil CO2 Evolution and Nitrogen Availability on Abandoned Agricultural Fields at Mt. Kumdan)

  • 손요환;반지연;김래현;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0-115
    • /
    • 2003
  • 한계농지 토양 내의 탄소와 질소의 동태에 관한 연구는 적절한 연구 대상지의 부족으로 지금까지 폭 넓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근처의 검단산 일대에서 지속적으로 산림이었던 지역, 과거 논으로 이용되었던 지역, 과거 밭으로 이용되었던 지역 등 세 곳의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고 여기에서 2002년 7월 25일부터 2003년 1월 24일까지 토양 발생 $CO_2$와 무기태 질소의 유효도를 측정하였다. 현재 지속적으로 산림이었던 지역과 과거 논으로 이용되었던 지역은 낙엽활엽수림이고, 과거 밭으로 이용되었던 지역은 낙엽성 관목이 주 식생을 이루고 있다. 토양 발생 $CO_2$는 토양 온도의 계절적 변화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 기간동안 토양 발생 $CO_2$량 (g $CO_2$/$m^2$/hr)의 평균은 각각 과거 논으로 이용되다. 산림으로 변한 지역이 0.42, 과거 밭으로 이용되다 관목으로 변한 지역이 0.50, 지속적으로 산림이었던 지역이 0.41로 나타났다. 토양 발생 $CO_2$와 토양 온도는 연구 지역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토양 습도는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였고, 토양 발생 $CO_2$에 대해 토양 습도는 매우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무기태 질소의 유효도는 세 곳의 연구 대상지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토양 수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Soil Carbon Dioxide Flux and Organic Carbon in Grassland after Manure and Ammonium Nitrate Application

  • Lee, Do-Kyoung;Doolittle, James J.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8-244
    • /
    • 2005
  • Fertilization effects on changes in soil $CO_2$ flux and organic C in switchgrass (Panicum virgatum L.) land managed for biomass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The mean daily soil $CO_2$ flux in the manure treatment was 5.63 g $CO_2-C\;m^{-2}\;d^{-1}$, and thi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an value of 3.36 g $CO_2-C\;m^{-2}\;d^{-1}$ in the control. The mean daily $CO_2$ fluxes in N and P fertilizer treatments plots were not different when compared to the value in the control plots. Potentially mineralizable C (PMC), soil microbial biomass C (SMBC), and particulate organic C (POC) were highest at the 0 to 10 cm depth of the manure treatment. Potentially mineralizable C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SMBC (r = 0.91) and POC (r = 0.84). There was also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SMBC and POC (r = 0.90). Our results indicated that for the N and P levels studied, fertilization had no impact on temporal changes in soil organic C, but manure appli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mporal changes in soil $CO_2$ evolution and active C constituents such as PMC, SMBC, and POC.

상수리나무림의 토양호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il Respiration in a Quercus acutissima Forest)

  • 이윤영;문형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3호
    • /
    • pp.141-147
    • /
    • 2001
  • 상수리나무림에서 교란이 가해지지 않은 대조구(Con), 그리고 인위적으로 만든 숲틈(Gap)과 낙엽층 제거지역(Lr) 두 곳을 실험구로 설정하여 토양호흡과 호흡에 영향을 주는 토양온도, 수분, 유기물함량을 조사하였다. Con, Gap, Lr의 토양호흡률은 7월에 가장 높았으며, 이 때 각각의 평균 토양호흡률은 15.6±0.9, 11.2±1.4, 7.7 ± 1.3 CO₂μmol·m/sup -2/·s/sup -1/로 Con에 비해 Gap과 Lr에 서 28.6%와 50.6% 낮았다. Con, Gap, Lr에서 동절기에는 토양호흡률이 각각 0.5±0.0, 0.4±0.1, 0.3 ±0.0 CO₂μmol·m/sup -2/·s/sup -1/로 지소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on, Gap, Lr에서 조사기간의 평균 토양호흡률은 각각 5.0±4.7, 4.3±3.5, 2.8±2.2 CO₂μmol·m/sup -2/·s/sup -1/로 지소간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Gap과 Lr은 Con에 비해 각각 24%, 44% 감소되었다. 토양으로부터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연간 CO₂의 양은 Con, Gap, Lr에서 각각 6.86, 5.84, 3.81 CO₂㎏·m/sup -2/·yr/sup -1/ 이었다 (P<0.01). Gap과Lr는 Con에 비해 각각 14.8, 44.5%감소되었다. 교란의 정도와 관계없이 토양호흡률은 토양온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낙엽층은 토양생물의 에너지원이 되고 안정한 서식처를 제공하기 때문에 토양호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유류오염토양의 생물적용기술 적용타당성 검토 (Treatability Study on Oil-Contaminated Soils for Bioremediation Application)

  • 이연희;설미진;오영숙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78-581
    • /
    • 2001
  • A treatability study was conducted using a hydrocarbon-contaminated soil for the oPtimization of bioremediation strategy best fit to a given set of contamination. The applicability of nutrients, biosurfactant, and oil-degrading microorganisms were examined by monitoring $CO_2$ evolution and oil degradation The addition of inorganic nutrients in the form of slow released fertilizer accelerated the initial rate of $CO_2$ evolution by a factor of 3. The application of oil-degrading microorganisms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d $CO_2$ evolution or biodegradation efficiency. Application of a commercial biosurfactant was most effect in terms of the total $CO_2$ evolution and the oil degradation rate. The results indicate that $CO_2$ evolution measurement was found to be a simple and reliable countermeasure of crude oil hydrocarbon mineralization for the rapid determination of the best-fit bioremediation strategy.

  • PDF

토착 미생물의 활성에 의한 유류오염 토양 정화 실험

  • 이지훈;이종규;최상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99-202
    • /
    • 2002
  • Many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Among those technologies, in-situ bioremediation is most likely to be cost-effective method for petroleum hydrocarbon contamination. But the in-situ bioremediation can require more time to remediate hydrocarbon-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than other methods. Therefore we intended to save time of in-situ bioremediation using a biological additive to activate indigenous microbes in soil. The additive, 'Inipol EAP 22' stimulates the growth of specific flora, significantly accelerating the speed at which hydrocarbons are biodegraded. And it hans been tested in accordance with protocol approved by the USEPA and is registered on the National Contingency Plan Product Schedule List. In the experiment, three soil samples contaminated with fuel oil were prepared in the same concentration. Inipol EAP 22 was not added to one sample and was added to the other two samples with 5% and 10% of hydrocarbon by weight respectively. And $CO_2$gas derived from bacterial respiration was analyzed in each samples for 15 days. As a result, 145% and 153% of $CO_2$ evolution (microbial respiration) against the sample without 'Inipol EAP 22' occurred in samples with 'Inipol EAP 22' addition of 5% and 10%, respectively

  • PDF

($^{14}C$ 표지 Imazapyr의 토양중 무기화와 흡착 (Mineralization and Adsorption of $^{14}C$-Lablled Imazapyr in Soil)

  • 권정욱;이재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0-326
    • /
    • 1997
  • 제초제 imazapyr의 토양환경중 행동을 구명하기 위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이 상이한 8종의 토양을 이용하여 $^{14}CO_2$로의 무기화 및 흡착 시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물리화학적 특성이 상이한 8종의 토양중 배양기간 동안 발생된 $^{14}CO_2$의 양은 총 처리 방사능의 약 1.5${\sim}$4.9%로써 토양에 따라 상이한 방출율을 보였다. pH가 낮고 유기물이 많은 토양 C, G 및 H에서는 낮은 $^{14}CO_2$ 방출량을 보인 반면 pH가 높고 유기물이 적은 토양 B와 D에서는 높은 $^{14}CO_2$ 방출율을 보였다. 2. Imazapyr의 흡착실험에서 평형농도 도달시간은 네 토양 모두에서 약 3시간 이었다. 물리화학적 성질이 상이한 토양에서 0.25${\sim}$28.32%의 흡착율을 보였으며, 토양구성 요소중에서, 유기물 함량이 토양에 의한 imazapyr의 흡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Freundlich 흡착상수$(K_f)$는 유기물의 함량이 2.0${\sim}$21.3배 증가함에 따라 5.5${\sim}$25.6배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토양 유기물이 imazapyr의 흡착에 미치는 범위는 점토가 미치는 것보다 더 큼이 분명하다. $K_f$값은 토양 C, D, G 및 H에서 각각 0.44, 0.08, 0.65 및 2.05이었으며, 모든 토양에서 $K_d$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 PDF

멧돼지(Sus scrofa coreanus Heude)의 임상 교란이 토양의 생물학적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ubbing by Wild Boar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Forest Floor)

  • 차상섭;이상훈;채희명;심재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02-910
    • /
    • 2012
  • 한반도 낙엽활엽수림에서 멧돼지(Sus scrofa coreanus Heude)는 그 수효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들의 임상 교란은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멧돼지의 임상을 파헤치는 교란이 토양생태계의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환경부 장기생태연구지소인 점봉산 지역에서 미생물량 C와 토양 효소의 활성 측정을 실시하였다. 멧돼지에 의해 생성된 교란지형은 표층토양과 하층토양이 섞인 흙더미와 파인 구덩이의 노출된 바닥 2종류로 구분하였고, 인근의 교란을 받지 않은 지역을 대조구로 설정하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유기물 함량이 높은 표층의 토양과 하층의 토양이 섞이면서 대조구에서 20.22%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고, 흙더미와 구덩이의 바닥은 각각 16.91%, 15.52%를 나타내었다. 용적밀도는 구덩이 바닥 토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미생물량 C와 토양 $CO_2$의 발생은 교란을 받지 않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이 나타났으며 이는 토양의 유기물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토양의 cellulase와 invertase의 활성은 미생물량 C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유기물의 함량이 토양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침을 나타내었다. 질산환원효소는 구덩이 바닥 토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용적밀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토양 공극이 적은 다소 혐기적 조건에서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멧돼지의 파헤치는 교란은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키고, 토양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잣나무 조림지의 탄소수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rbon Budget in Pinus koreansis Plantation)

  • 표재훈;김세욱;문형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3호
    • /
    • pp.129-134
    • /
    • 2003
  • 공주 근교의 15년 된 잣나무 조림지에서 물질생산을 통한 탄소고정량과 토양호흡을 통한 탄소 방출량을 조사하였다. 연 순생산량은 상대생장법에 의해 보고된 물질생산 식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것을 이산화탄소의 고정량(순 흡수량)으로 환산하였다. 토양호흡은 대조구, 뿌리제거구, 낙엽제거구로 구분하여 2001년 4월부터 2002년 4월까지 2주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이때 토양온도, 토양수분함량도 함께 측정하였다. 이들 자료를 기준으로 잣나무 조림지의 탄소수지를 파악하였다. 조사지역 잣나무 조림지의 연 순생산량은 25.7t·ha/sup -1/·yr/sup -1/이었으며, 이를 CO₂량으로 환산한 결과 연간 CO₂ 고정량은 42.5 t CO₂·ha/sup -1/·yr/sup -1/이었다. 잣나무 조림지 대조구의 연간 총 호흡량은 5.0 t CO₂·ha/sup -1/·yr/sup -1/이었다. 연간 이 산화탄소 발생량 중 낙엽층의 기여도는 전체의 32.0%, 뿌리의 기여도는 46.0%이었다. 임목밀도에 따라 연 순생산량에 차이가 있지만 본 조사지역의 경우 CO₂순 흡수량과 토양호흡에 의한 방출량의 차이는 37.5 t CO₂·ha/sup -1/·yr/sup -1/로 삼림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문경지역 탄산온천수의 지구화학적 및 동위원소적 특성연구

  • 배대석;최현수;고용권;박맹언;정율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7-90
    • /
    • 2000
  • The hydrogeochemical and isotopic studies on deep groundwater in the Munkyeong area, Kyeongbuk province were carried out. $CO_2$-rich groundwater (Ca-HC $O_3$ type) is characterized by low pH (5.8~6.5) and high TDS (up to 2,682 mg/L), while alkali groundwater (Na-HC $O_3$ type) shows a high pH (9.I~10.4) and relatively low TBS (72~116 mg/L). $CO_2$-rich water may have evolved by $CO_2$ added at depth during groundwater circulation. This process leads to the dissolution of surrounding rocks and Ca, Na, Mg, K and HC $O_3$ concentrations are enriched. The low Pc $o_2$ (10$^{-6.4}$atm) of alkali groundwaters seems to result from the dissolution of silicate minerals without a supply of $CO_2$. The $\delta$$^{18}$ O and $\delta$D values and tritium data indicate that two types of deep groundwater were both derived from pre-thermonuclear meteoric water. The carbon Isotope data show that dissolved carbon in the $CO_2$-rich water was possibly derived from deep-seated $CO_2$ gas. The $\delta$$^{18}$ S values of dissolved sulfate show that sulfate reduction occurred at great depths. The application of various chemical geothermometers on $CO_2$-rich groundwater shows that the calculated deep reservoir temperature is about 130~175$^{\circ}C$. Based on the geological setting, water chemistry and environmental isotope data, each of the two types of deep groundwater represent distinct hydrologic and hydrogeochemical evolution at depth and their movement is controlled by the local fracture system.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