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 tissue tumors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9초

중등도 악성화 경향을 보이는 연부 조직 종양 환자의 치험례 (Case Reports of Patients having Intermediate Soft Tissue Tumors)

  • 김기웅;김정태;김연환;백승삼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3호
    • /
    • pp.344-347
    • /
    • 2009
  • Purpose: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known as sarcomas, are well known to be locally aggressive, frequently metastatic, and highly recurrent. In other hands, intermediate soft tissue tumors often recur locally with adjacent tissue infiltration so the clinical management is difficult as sarcoma.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 the clinical course of the intermediate soft tissue tumors and consider the management plan for those. Methods: From March, 1998 to April 2008, total 3 patients of intermediate soft tissue tumors underwent operations. A patient with fibrohistiocytic neoplasm, a free flap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and he underwent several more operations because of recurrences. Other patients with desmoids - type fibromatosis showed local invasion and adhesion, and one of them underwent reoperation due to local recurrence. Results: 2 of 3 patients underwent recurrences of tumors and reoperations were performed. In another patient with no recurrence, follow-up period was just 5 months, so there may be recurrence of tumor in long term follow-up. Conclusion: The clinical course of intermediate soft tissue tumors shows high recurrence rate. So clinically, intermediate soft tissue tumors should be considered as sarcomas. The successful management requires wide resection, carefully planned reconstruction, and close follow up with radiologic evaluation.

연조직고형종양의 악성과 양성 감별: 임상과 자기공명영상 복합소견 (Differentiation of Malignant from Benign Soft-Tissue Solid Tumors: Clinical and MR Finding Complex)

  • 문태용;김정일;신수미;추혜정;최현욱;김수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9-87
    • /
    • 2004
  • 목적: 최근 자기공명영상의 개발로 다양한 연조직종양의 영상의학적 진단이 가능해 졌다. 그러나 연조직종양의 다양한 조직구성이나 시간에 따라 구성분의 변화는 자기공명영상 만으로 악성과 양성 종양조차 감별을 어렵게 한다. 이에 본 저자들은 임상과 자기공명영상의 복합적인 소견으로 악성과 양성 연조직종양을 감별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진된 82례(중간성종양을 악성종양으로 포함하여 37례와 염증성 종괴를 양성종양으로 포함하여 45례)를 후향적으로, 임상적 소견으로 연령, 크기, 위치, 그리고 자기공명영상 소견으로 종양경계, T2신호강도양상, 조영제T1신호강도양상, 그리고 조영증강 범위를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자기공명영상으로 진단이 어렵지 않는 많은 전형적인 지방종과 결절종 그리고 농양같은 낭종은 양성종양 분류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악성연조직종양은 양성에 비하여 연령으로 21~40세와 61~80세, 크기로 3.0 cm 이상, 발생위치로 몸체-골반-하지, 그리고 자기공명영상에서 불규칙한 경계, 50%이상의 조영증강범위 소견들의 빈도가 높았다. 결론: 발생위치로 몸체-골반-하지 와 상지-어깨-척추 로 나눈 임상소견이 악성과 양성 연조직종양을 감별하는데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나머지 다른 소견들은 특이적이지는 않았지만 부가적으로 악성과 양성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되는 소견이었다.

  • PDF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중심으로: 지방세포종, 섬유모세포성/근육섬유모세포성종, 소위섬유조직구종, 평활근종, 혈관주위종과 근골격종에 대하여 (Adipose Tumor, Fibroblastic/Myofibroblastic Tumors, So-called Fibrohistiocytic Tumors, Smooth Muscle Tumors, Pericytic Tumors and Skeletal Muscle Tumors: An Update Based on the New WHO Soft Tissue Classification)

  • 서경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9
    • /
    • 2008
  • 연조직종양의 이해는 과거 10년 동안에 걸쳐 주요 변화와 더불어 실질적인 진보가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분류가 WHO에 의해 2002년에 이루어졌다. 이 개정은 이전에 발표와 상당히 다른 내용의 접근을 하였고, 이 작업에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그리고 임상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여기에서는 과거에 알고 있었거나 특성이 알려진 많은 종양을 포함하여 새로운 큰 변화나 작은 변화가 일어난 부분에 대해서 정리를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중심으로 지방세포종, 섬유모세포성/근육섬유모세포 성종과 소위섬유조직구종, 평활근종, 혈관주위종과 근골격종을 중심으로, 큰 변화와 작은 변화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새롭게 소개되는 병명을 소개하고 정리하였다. 이 새로운 WHO의 연조직종양의 분류를 이해하여, 종양의 진단과 예후의 재현을 용이하게 하는 필수적인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족부의 종양 (Tumors of the Foot)

  • 신덕섭;박성혁;안종철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9-76
    • /
    • 2003
  • 목적: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의 임상적 특성과 병리학적 특성 및 분포 등을 조사하여, 족부 종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족부 종양 환자 141명의 142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들은 모두 조직검사를 통하여 진단이 된 환자들이었다. 대상이 되었던 환자들의 의무기록과 영상 검사들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종양의 역학적 조사와, 임상적 특성과 수술의 방법을 확인하였고, 병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종양이 발생 위치는 Kirby 등이 제안한 구역(zone)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여자는 75명이었고 남자는 66명으로 여자가 조금 많았다. 전체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3.2세였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68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이 57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이 12예, 악성 골종양이 5예의 순이었다. 양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는 결절종이 36예로 가장 많았고, 양성 골종양 중에서는 조갑하 외골종이 18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 중에서는 편평 상피 세포암이 7예, 악성 골종양으로는 폐암의 전이 병소가 2예였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으로 통증은 악성 골종양 환자들이 가장 높은 비율로 호소하였고, 증상 발현 기간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이 가장 길었고, 신경학적 증상은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만 3예가 있었다. 종양의 평균 크기는 악성 골종양이 가장 크고, 양성 골종양이 가장 작았다. 구역별 분포는 전체적으로 5 구역에 59예로 가장 많았고, 4 구역에 10예로 가장 적었으며, 양성 골종양에서는 5 구역, 양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1 구역, 악성 골종양에서는 1, 2 구역, 악성 연부조직 종양에서는 5 구역에서 가장 많았다. 수술 방법으로 병소내 혹은 변연부 절제술, 소파술 혹은 소파술 및 골이식 수술, 족지 절단수술, 슬관절 하 절단술과 사지구제술 등이 있었다. 결론: 족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드물고 종류가 다양하면서 대부분(88%) 양성 종양이었으나, 진단 과정에서 환자의 나이, 통증 유무, 증상 발현 기간, 종양의 크기 및 발생 구역 등을 고려하여 악성 종양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음으로써 올바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원발성 흉벽종양 (Primary Tumors of the Chest Wall)

  • 마중성;최병우;유회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7권1호
    • /
    • pp.61-66
    • /
    • 1974
  • Primary tumors of the chest wall are rare than those of other portions of the body. Soft tissue tumors of the chest wall, though these are benign or malignant, should not be paid special attentions about their management than other soft tissue tumors of the body. Thoracic skeletal tumors, however, have some problems in the treatment because of defect in chest wall leading to herniation of lung and paradoxical movement of thoracic cage. The authors experienced 10 case of primary chest wall tumors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the national medical center, during last 15 years. Five of 10 cases were soft tissue tumors, and they were 2 case of lipoma and each one case of myxosarcoma and leiomyosarcoma. Among 5 bone tumors there no cases of sternal tumor, and their histopathological diagnosis were each one of fibrous dysplasia, giant cell tumor, osteochondroma, Ewing`s sarcoma and osteogenic sarcoma. Wide excision, though it was palliative one in certain case, was performed in 9 cases and only diagnostic incisional biopsy in one case, There were no postoperative deaths during admission to the hospital and all cases were missed during short term follow up after discharge from the hospital.

  • PDF

Benign versus Malignant Soft-Tissue Tumors: Differentiation with 3T Magnetic Resonance Image Textural Analysis Including Diffusion-Weighted Imaging

  • Lee, Youngjun;Jee, Won-Hee;Whang, Yoon Sub;Jung, Chan Kwon;Chung, Yang-Guk;Lee, So-Yeo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5권2호
    • /
    • pp.118-128
    • /
    • 2021
  • Purpose: To investigate the value of MR textural analysis, including use of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to differentiate malignant from benign soft-tissue tumors on 3T MRI. Materials and Methods: We enrolled 69 patients (25 men, 44 women, ages 18 to 84 year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soft-tissue tumors (29 benign, 40 malignant) who underwent pre-treatment 3T-MRI. We calculated MR texture, including mean, standard deviation (SD), skewness, kurtosis, mean of positive pixels (MPP), and entropy, according to different spatial-scale factors (SSF, 0, 2, 4, 6) on axial T1- and T2-weighted images (T1WI, T2WI), contrast-enhanced T1WI (CE-T1WI), high b-value DWI (800 sec/mm2),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map. We used the Mann-Whitney U test, logistic regression, and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Malignant soft-tissue tumors had significantly lower mean values of DWI, ADC, T2WI and CE-T1WI, MPP of ADC, and CE-T1WI, but significantly higher kurtosis of DWI, T1WI, and CE-T1WI, and entropy of DWI, ADC, and T2WI than did benign tumors (P < 0.050).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he mean ADC value (SSF, 6) and kurtosis of CE-T1WI (SSF, 4)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malignancy (P ≤ 0.009). A multivariate model of MR features worked well for diagnosis of malignant soft-tissue tumors (AUC, 0.909). Conclusion: Accurate diagnosis could be obtained using MR textural analysis with DWI and CE-T1WI in differentiating benign from malignant soft-tissue tumors.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중심으로: 혈관종, 연골-골종과 불확실한분화종에 대하여 (Vascular Tumors, Chondroid-osseous Tumors, Tumors of Uncertain Differentiation: An Update Based on the New WHO Soft Tissue Classification)

  • 서경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9-85
    • /
    • 2008
  • 연조직종양의 분류는 종양학에서 영상의학과의사와 임상을 담당하는 정형외과의사, 종양학자 그리고 병리학자의 진단과 예후의 재현을 용이하게 하는 필수적인 지침이다. 연조직종양의 이해는 과거 10년 동안에 걸쳐 주요 변화와 더불어 진보가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분류가 WHO에 의해 2002년에 이루어졌다. 이 개정은 이전에 발표된 분류와 많은 부분에서 다른 내용의 접근을 하였고, 이 작업에는 유전학과 분자생물학 그리고 임상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였다. 여기에서는 과거에 알고 있었거나 특성이 알려진 종양을 포함하여 새로운 큰 변화나 작은 변화가 일어난 부분에 대해서 정리를 하였다. 이러한 내용의 연조직종양의 새로운 WHO 분류를 혈관종, 연골-골종 그리고 불확실한분화종을 중심으로, 큰 변화와 작은 변화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새롭게 소개되는 병명을 정리하였다. 이 새로운 WHO의 연조직 종양의 분류를 이해하여, 종양의 진단과 예후의 재현을 용이하게 하는 필수적인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umors Involving Skin, Soft Tissue and Skeletal Muscle: Benign, Primary Malignant or Metastatic?

  • Hsieh, Chi-Ying;Tsai, Huang-Wen;Chang, Chih-Chun;Lin, Tsuo-Wu;Chang, Ke-Chung;Chen, Yo-Sh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681-6684
    • /
    • 2015
  • Background: Metastatic cancer with invasion of skin, soft tissue and skeletal muscle is not common. Examples presenting as soft tissue masses could sometimes lead to misdiagnosis with delayed or inappropriate management.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characteristics in the involvement of metastat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97 patients complaining of skin or soft tissue masses and/or lesion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rom January 2012 to June 2013. Tumors involving skin, soft tissue and skeletal muscle of head and neck, chest wall, abdominal wall, pelvic region, back, upper and lower extremiti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Fifty-seven (5.2%) patients were recognized as having malignancies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The most common involvement of malignancy was basal cell carcinoma, followed by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sarcoma and melanoma. The most common anatomical location in skin and soft tissue malignancies was head and neck (52.6% of the malignancies). Four (0.36%) of the malignant group were identified as metastatic cancer with the primary cancer source from lung, liver and tonsil and the most common site was upper extremities. One of them unexpectedly expired during the operation of metastatic tumor excision at the scalp. Conclusions: Discrimination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soft tissue tumors is crucial. Performance of imaging study could assist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and the pre-operative risk evaluation of metastatic tumors involving skin, soft tissue and skeletal muscle.

족부 및 족근관절에 발생한 종양 (185예) (Tumors in the Foot and Ankle (185 Cases))

  • 최우진;신규호;이진우;한창욱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
    • /
    • 2007
  • Purpose: Tumors arising in the foot and ankle are uncommon and the malignant tumors are known to be r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sites. We analyzed the clinical data of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s having a tumor of the foot and ankle.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89 to 2006, we analyzed 185 patients who have been treated surgically and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of having tumors of the foot and ankle.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One hundred and fifty-seven cases were benign (84.9%) and 28 cases (15.1%) were malignant. 108 cases (58.4%) were benign soft tissue tumors and 49 cases (26.5%) were benign bone tumors. Malignant tumors included 17 cases (9.2%) of soft tissue tumors, 8 cases (4.3%) of primary bone tumors and 3 cases (1.6%) of metastatic bone tumors. The most common benign soft tissue tumor was ganglion (23 cases). Enchondroma (9 cases) was the most common among the benign bone tumors.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wa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4 cases). The predilection site for benign tumors was at the forefoot around toes while for the malignant tumor was around the ankle. 4.6%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and 8.2% of benign bone tumors had locally recurred and 14 cases (50%) of malignant tumor were confirmed as having distant metastasis. Conclusion: The ratio of malignant tumor and its metastasis rate was high. Therefore, the histopathologic confirmation is essential when treating tumors of the foot and ankle.

  • PDF

악성 골 및 연부조직 종양에서 $^{18}F$-FDG PET/CT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Applications of $^{18}F$-FDG PET/CT in Malignant Bone and Soft Tissue Tumors)

  • 신덕섭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6-94
    • /
    • 2008
  • $^{18}F$-FDG PET/CT는 해부학적 영상과 함께 생리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영상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진단적 영상검사에 많은 발전을 가져왔고, 근골격계 종양을 평가하는데 새롭고 독창적인 방법으로 등장 하였다. 최근 PET/CT는 골 전이를 찾는데, 골 연부조직 종양의 시기 결정 및 재시기 결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악성 근골격계 종양의 치료에 대한 평가와 치료 후 추시에서 국소 재발이나 원격 전이를 찾아내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향후 근골격계 종양에 대한 PET/CT의 연구 자료가 축적되고, 발전된다면 초기 진단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논문은 근골격계 종양의 평가를 위한 $^{18}F$-FDG PET/CT의 효율적인 적용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