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 tissue disease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8초

상완에 발생한 면역글로불린 G4 연관 질환의 비전형적 발현: 증례 보고 (Unusual Manifestation of Immunoglobulin G4-Related Disease Involving the Upper Arm: A Case Report)

  • 박진희;이선주;추혜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719-725
    • /
    • 2023
  • 면역글로불린 G4(immunoglobulin G4; 이하 IgG4) 관련 질환은 드문 전신성 섬유염증 상태로 IgG4 형질 세포가 풍부한 림프구 침윤과 관련된 기관 비대 또는 종창성 병변을 특징으로 한다. 우리는 48세 여자 환자에서 드문 소견인 연조직 종괴로 발현된 왼팔의 피하층을 침범한 IgG4 관련 질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초음파 및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였으며 악성 또는 염증 병변이 의심되는 불규칙하며 침윤성 경계를 갖는 연조직 종괴가 관찰되었다. 우리는 IgG4 관련 질환의 진단 기준, 조직 병리학적 특징, 영상의학적 특징, 및 치료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상지에 발생한 기무라씨병 - 증례 보고 - (Kimura's Disease in the Arm - A Case Report -)

  • 김주오;허해룡;유상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6-40
    • /
    • 2001
  • 기무라씨병은 종괴를 형성하는 원인 불명의 흔치 않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서 동양인에서 자주 이환되며 특히 젊은 남자에서 호발된다. 호발 장소는 주로 두경부이며, 일차적으로 피하 조직과 진피에 발생된다. 비교적 양호한 경과를 보이며, 그 치료 방법으로는 수술적 절제술, 스테로이드 투여법 및 방사선 조사 등이 있다. 저자들은 우측 상완부에 발생한 무통성의 비교적 유동성이 있는 연부 조직 종양 1례에 대한 변연부 절제술을 시행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기무라씨병으로 확진하였으며, 수술 후 15개월 추시 상 재발 소견은 없었다.

  • PDF

융기성 피부섬유육종의 심부 침습정도에 대한 고찰 (Deep Tissue Invasion of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ce)

  • 김경훈;배용찬;남수봉;최수종;강철욱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417-421
    • /
    • 2009
  • Purpose: Dermatofibrosarcoma protuberans(DFSP) is a moderate - degree malignant tumor of soft tissue from dermis to fat layer with high recurrences(11% to 73%) due to its local infiltrative characteristic. Many debates and controversies in deciding accurate surgical margin were presented before, but references about depth of invasion and appropriate surgical excision level were not properly made out. Therefore, we tried to identify the degree of tissue invasion of DFSP. Methods: Twenty patients, including 8 patients with recurrent lesions, over last 10 year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Different surgical margins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based on histopathologic result, we have defined as a 'deep tissue invasion' if there were infiltration of tumor cell into fascia or underlying muscle layer was present. All invaded tissue including dermis, fat, fascia and muscle were excised until no tumor cell was found during intraoperative frozen section biopsy. And comparative analysis of deep tissue invasion according to age, primary site, duration of disease and recurrence was done. Results: Thirteen patients(65%) showed deep tissue invasion and incidence was found to be increasing with age(over 30 years old). All patients with DFSP on head and neck region revealed deep tissue invasion followed by trunk(54%) and lower extremities(50%).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duration of disease and deep tissue invasion. Conclusions: It is clear that many cases of DFSP had a deep tissue invasion. And high prevalence of deep tissue invasion with age, primary site was intimately associated. So, underlying deep tissue must be completely examined and excised sufficiently throughout the operation for clear resection of DFSP with no recurrences, especially when age is over 30s and on head and neck region.

Erwinia rhapontici가 기주식물 조직에서 생산한 Pectate Ly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ectate Lyase Produced by Erwinia rhapontici During Growth in Host Plant Tissue)

  • 최재을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3-168
    • /
    • 1994
  • Erwinia rhapontici causes soft-rot disease in a number of plants such as rhubarb, onion, hyacinth and garlic. Pectate lyase (Pel) depolymerizes pectin and other polygalacturonates, which is though to play a role in bacterial invasion of plants. Pel activity was not detected in E. rhapontici cultured in a minimal salts medium containing glycerol, polygalacturonate, or citrus pectin as a carbon source. However, when sterilized potato tuber and Chinese cabbage slices were added to minimal salts polygalacturonate (0.5%) medium, E. rhapontici produced pectate lyase enzyme. Also Pel activity was consistently detected from macerated potato tubers, Chinese cabbage leaves, lettuce leaves and celery petioles tissue. Pel in the extract of macerated Chinese cabbage caused by E. rhapontici strain 1, resulted in electrolyte loss, tissue maceration and cell death of potato tuber tissu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 rhapontici produces pectate lyase only in the presence of non-diffusible plant components, and that this enzyme probably contributes to its pathogenicity.

  • PDF

Evaluation of calcium sulphate barrier to collagen membrane in intrabony defects

  • Budhiraja, Shilpa;Bhavsar, Neeta;Kumar, Santosh;Desai, Khushboo;Duseja, Saree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2권6호
    • /
    • pp.237-242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evaluate and compare treatment of intrabony defects with the use of decalcified freeze-dried bone allograft in combination with a calcium sulphate barrier to collagen membrane. Methods: Twelve patients having chronic periodontal disease aged 20 to 50 years and with a probing depth >6 mm were selected. Classification of patient defects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made randomly. In the test group, a calcium sulphate barrier membrane, and in control group, a collagen membrane, was used in conjunction with decalcified freeze-dried bone graft in both sides. Ancillary parameters as well as soft tissue parameters along with radiographs were taken at baseline and after 6 months of surgery. Parameters assessed were plaque index, modified gingival index, probing depth, relative attachment level, and location of the gingival margin. A Student's t-test was done for intragroup and a paired t-test for intergroup analysis. Results: Intragroup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the ancillary parameters and soft tissue parameters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group analysis. Conclusions: The study concluded that a calcium sulphate barrier was comparable to collagen membrane in achieving clinical benefits and hence it can be used as an economical alternative to collagen membrane.

A Case Report of Madelung's Disease

  • Bo Hyun Lee;Young Mann Lee;Seong Oh Park;Lan Sook Chang;Youn Hawn Kim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5호
    • /
    • pp.463-467
    • /
    • 2023
  • Madelung's disease (MD) is a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diffuse, nonencapsulated, multiple fat masses in different areas of the body. In this case report, we present a case of MD in Asia and its management. A 66-year-old man with a history of hypertension presented with massive growth of soft tissue around the neck, breasts, upper back, and lower abdomen.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remarkably hypertrophic fat tissue around the neck and anterior chest was wall, which consistent with the diagnosis of MD. Multiple linear incisions were made on the neck and 763, 186, 635 g of posterior, right, and left fat tissues were excised, respectively. A single wide, transverse incision was done to excise 1,072 g of fat from the upper back. Masses of both breasts were excised, preserving the inferior pedicle, weighing 1,086 (right) and 1,164 g (left). The recovery was optimal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without complications. In this case, we excised the adipose masses as much as possible and improved contour and symmetry. However, the fat infiltrations in the patient were diffusely distributed, making total fat excision difficult. This rare case report may help in managing patients with MD.

안면부의 유구낭충증의 1증례 (A Case of Cysticercosis on the Face)

  • 김세훈;황명순;추연수;이병흥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3.1-13
    • /
    • 1982
  • 포충증은 주로 유구낭충에 감염된 환자에 larval cysticercoid stage때 soft tissue에 전이되어 이 cysticercus가 죽음으로써 변성되고 석회화를 일으켜 국소적 소견으로는 nontender mass, 그리고 X-ray 상 typical calcification을 일으키며 조직학적 소견으로는 fibrotic cyst속에 scolex의 hooks와 sucker를 볼 수 있다. 만약 cysticercosis가 두뇌속으로 전이된다면 두뇌의 침범된 부위의 국소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예후는 매우 나쁘다. 조직학적 소견상 포충증으로 확진되면 환자를 입원시켜 전신을 검사하여 nontender mass가 만져지면 적출하여 주어야 한다. 저자들은 우측 안면부에 nontender mass를 주소로 하여 내원한 24세 남자에서 우측 안면부에 전이된 유구낭충증 1 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유리 조직 이식술을 이용한 당뇨병성 족부 궤양의 치료 (Free Tissue Transfer in the Treatment of Infected Diabetic Foot Ulcers)

  • 송준영;김기수;김희동;박인석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0권2호
    • /
    • pp.154-162
    • /
    • 2001
  • Diabetic foot ulcer is a serious complication which result from long-standing diabetes. Especially, severe infected diabetic foot ulcer results in unwanted lower extremity amputation. The diabetic patient is considered the relative contraindication for microsurgery because of the severe peripheral vascular disease. Recently, microvascular free tissue transfer technique applied to diabetic foot ulcer. It is well known that free tissue transfer provides immediate soft tissue coverage and control of infection. So it is possible that preservation of the lower extremity through free tissue transfer. A retrospective study of diabetic patients who had infected foot ulcer from 1999 to 2000 with foot defects reconstructed with free tissue transfer were reviewed. Thirteen patients were studied with mean follow-up of 12.7 months. There were two deaths during follow-up period. There were two failures after free flap surgery. All eleven survived patients were ambulatory. There was no recurrence of ulcer. No patient need amputation above the ankle joint. We have found that free tissue transfer for infected diabetic foot ulcer is very effective surgical technique. Careful patient selection and regular follow-up is important.

  • PDF

구강안면통증 환자의 치료결과와 예후에 관한 연구 (Treatment Outcome and Prognosis of the Outpatients with Orofacial Pain)

  • 최세헌;김기석;김미은;이동주;진상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2호
    • /
    • pp.155-165
    • /
    • 2006
  • 본 연구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포함한 구강안면동통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의 결과와 예후를 평가하기 위하여, 200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3년간 (치아질환을 제외한) 구강안면동통 환자 6300명 중에서 진료기록부 상에서 경과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환자들을, 측두하악장애, 신경병성동통장애, 연조직질환 및 이 중 둘 이상을 질환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복합질환으로 나누어 치료기간, 치료유형 및 치료효과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평균 진료기간은 신경병성 동통장애에서 가장 길었고 연조직질환, 복합 질환, 관절장애, 근육-관절 복합장애, 근육장애의 순이었다. 2. 사용된 치료방법을 비교하면 약물요법은 연조직질환과 신경병성 동통장애에서, 장치요법은 관절장애군에서, 물리치료는 근육장애군에서 사용빈도가 높았다. 3. 진단분류별 물리치료의 사용경향은 근육장애군은 EAST와 초단파요법의 사용빈도가 높았고, 관절장애군은 초음파 치료, 신경병성 동통 장애와 연조직 질환은 저출력 레이저 요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4. 통증에 대한 치료결과는 통증이 지속되는 경향이 신경병성 동통장애에서 가장 높았으며, 완화되거나 완전 소실되는 경향은 측두하악장애에서 높았다. 5.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근육장애, 정복성 관절원판장애, 비정복성 관절원판 장애 및 근육-관절 복합장애 세분하여 치료 후 개구량의 변화를 조사하였을 때는 진단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개구량 측정방법간에는 무통성 최대개구량이 치료 후 가장 증가하였고, 환자 스스로가 벌리는 능동적 최대개구량은 비정복성관절원판장애에서 가장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구강안면통증 영역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치료법들은 측두하악장애에서는 동통조절 및 기능개선에 좋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그 예후가 좋은 반면, 연조직질환이나 신경계 질환 같은 기타의 구강안면통증은 길고 지속적인 치료를 요구하는 어려운 질환이라고 할 수 있겠다.

3-11세 아동의 두개 및 연조직의 성장변화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SEMI-LONGITUDINAL STUDY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SOFT TISSUE OF CHILDREN AGED FROM 3 TO 11)

  • 박영철;최광철;한희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91-904
    • /
    • 1997
  • 현대 교정의 치료 목표는 기능 교합과 안모의 심미성에 있다고 하겠으나 이중 심미적 외모에 대한 중요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조직과 연조직의 성장과 발육에 대한 지식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전의 연구는 주로 두부방사선적 연구를 통한 골격적 분석에 치중하여 왔다. 하지만 안모의 심미성에 관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악안면 연조직은 하부경조직의 영향을 받지만 긴밀한 연관 관계를 구하기는 어렵다는 연구들이 근래에 보고되었다. 이에 본 저자는 성장기 한국인 3-11세 아동 중에 전신 질환이 없고 발육 상태가 양호하며 교합 상태가 정상인 남자 137명과 여자 106명을 대상으로 만 2년간 두부 방사선 사진을 채득하여 연조직의 분석을 facial form, lip position & posture, Nose, Thickness의 4 부분으로 나누어 성장과의 관계를 연구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Facial Form Facial convexity가 남자 아동에 있어서 약간의 증가량을 보였는데 이는 A-Sn의 증가율이 남자 아동에서 큰 것과 관련이 있는 듯하다. 또한 안면 하방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방 구조보다 더 많은 성장이 일어났다. 2. Lip position and posture Nasolabial angle은 연령에 따라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 평균값은 남자 93.11, 여자 97.56으로 서양인의 102보다는 예각을 보였으며 Esthetic line에 대한 돌출도는 대체로 큰 변화가 없었다. 남자 아동이 여자 아동보다 입술의 돌출도가 더 큰 값을 보였는데 이는 심미적 이유로 발치를 고려할 때 차이를 보일 수 있는 결과라고 하겠다. 상악 전치의 노출도는 남녀 공히 2-3mm의 값을 보였다. 3. Nose 비저의 절대적 길이는 성장에 따라 증가하는데 비해 Sn-N'-Pn은 연령 증가의 변화가 없었는데 이는 코의 성장이 전하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4. Thickness A-Sn의 길이는 남녀 아동에 있어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중 남자 아동에 있어서 변화폭이 컸다. 상순 후경과 하순 후경 역시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Pogonion의 연조직 두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