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dodecyl sulfate (SDS)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9초

인삼 사포닌이 효모 Alcohol Dehydrogenase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Yeast Alcohol Dehydrogenase)

  • 김재원;주충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209-217
    • /
    • 1986
  • Yeast alcohol dehydrogenates and ginseng saponin interaction has been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non-specific enzyme stimulating effect of the saponin of Panax ginseng C.A. Meyer. It was confirmed that several amphiphiles such as sodium dodecyl sulfate(SDS), Triton X-100, sodium taurodeoxycholate (Na-TDC) as well as ginseng saponin mixture and purified ginseng glycosides lowered Km values of yeast alcohol dehydrogenase (ADH) for ethanol and NAD in the presence of the above amphiphiles suggesting that the surface activity of the amphiphiles migh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ADH catalyzed reactions. Conformational change of yeast alcohol dehydrogenase in the presence of the above amphiphiles at their optimal concentration for the maximum activity was studied. Circular dichroism (C.D) spectrum of yeast ADH showed that the conformational change of the enzyme occurred in the presence of above amphiphiles. Fluorescence data also showed that the hydrophobic area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above amphiphiles. Examin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ADH and ginseng saponin using radioactive saponin showed that there might be a very weak interaction between them.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non-specific enzyme stimulating effect of the saponin might be due to the change of polarity of the enzyme solution in the presence of the saponin.

  • PDF

다양한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고순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수계 분산 (Dispersion of Highly Pure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in Aqueous Solution of Various Surfactants)

  • 곽정춘;김명수;이내성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9
    • /
    • pp.153-153
    • /
    • 2008
  • Practical applic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CNTs) qualified as a promising material has been limited by either poor dispersion or their insolubility in aqueous or organic media due to formation of bundling by relatively high surface energy. Thus, major attention to overcome this issue has been paid at surface modification of CNTs by functionalization, but this introduces defects to the sidewall of CNTs, consequently perturbing the inherent electronic and optical properties. Therefore, using surfactants is a general approach to disperse SWCNTs with lower damages by which bundled nanotubes could be dispersed up to the level of individuals or small bundles. Here, we have investigated various surfactants for their efficiency in dissolving purified SWCNTs produced by arc discharge in deionized water. To compare the surfactants respectively, we have determined the least amount of each surfactant to suspend the nanotubes under optimized experimental conditions(CNT amount, sonication power, and centrifugation speed, etc.) set on the basis of the most common surfactant (sodium dodecyl sulfate, SDS) and discusse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SWCNT dispersions by UV-Vis absorption spectroscopy. Quantitative aspect about nanotube dispersion was that in particular N-methyl-2-pyrrolidone (NMP) and sodium dodecylbenzene sulfonate (NaDDB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dispersing individual tubes.

  • PDF

SDS-PAGE를 이 용한 Prevotella intermedia와 P. nigrescens의 감별에 관한 연구 (DIFFERENTIATION OF PREVOTELLA INTERMEDIA AND P. NIGRESCENS USING SDS-PAGE)

  • 배광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2호
    • /
    • pp.693-701
    • /
    • 1997
  • In 1992, Prevotella intermedia was shown to be comprised of another spoecies now known as Prevotella nigrescens. Strain ATCC 33563 is now designated the type strain of P. nigrescens while strain ATCC 25611 is remains the type strain of P. inter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differences in protein profiles of P. intermedia and P. nigrescens, using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hich can be used for differentiation of those two species. A partial amino acid sequence of the 18.6 kDa protein band, which was specific in P. nigrescens, was also determined. The cellular proteins were extracted from the cell pellets of pure cultures of P. intermedia. and P. nigrescens by either sonication or being shaken continuously for 20 min at $21^{\circ}C$ with 1 % SDS or being boiled for 3 min with 1 % SDS. SDS-PAGE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laemmli using either 12% (w/v) gels or 18% (w/v) gels.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imilar electrophoretic protein profiles were shown by 3 cellular protein extraction methods for each strain. (Fig. 1 and 2) 2. the 18.6 kDa band which was specific only in P. nigrescens could be used for the differentiation of P. intermedia. and P. nigrescens. (Fig. 1 and 2, Table 1) 3. A total of 4 different tryptic fragments from the 18.6 kDa protein were sequenced. the resulting amino acid sequences were fragment 1.GNPVNIGGEW, 2.FNVVR, 3.NYLT-VAPY, and 4.GGDNVTTYQVLPEIGYN. By comparison to the sequences of known proteins in the Swiss-Prot database and PIR database. 90 % matching between fragment 1 and serine hydroxymethyl transferase(P24060) in the Swiss-Prot, and 90% matching between fragment 1 and glycine hydroxymethyl transferase(S15203) in the PIR were shown, but the identity and function of the 18.6 kDa protein remains unknown.

  • PDF

세정제에 의한 복합오염토양으로부터의 중질유 및 중금속 탈착 특성 (Desorption of Heavy Petroleum Oils and Heavy Metals from Soils by Flushing Agents)

  • 윤성미;김길란;임희준;김한승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9권3호
    • /
    • pp.94-103
    • /
    • 2014
  • In this study washing efficiency and desorption isotherms for heavy petroleum oil (HPO), Zn, and Pb bound to complex contaminated soils were examined using various soil flushing agents. Sodium dodecyl sulfate (SDS), methanol,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and citric acid were selected as soil flushing agents. 3% (w/v) and 4% SDS show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for HPO,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Thus, 3% SDS was chosen as the best soil flushing agent for HPO. In the case of heavy metals, 0.1-M EDTA show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ies. But 0.05-M citric acid was selected due to its economic and eco-friendly strengths. The desorption isotherms obtained using Freundlich and Langmuir models indicated that the maximum desorption characteristics ($K_F$ and $Q_{max}$) of HPO with 4% SDS and 90% methanol and heavy metals with 0.1-M EDTA and 0.1-M citric acid, respectively, were markedly lower than in other cases. In addition, when 4% SDS and 90% methanol were used for HPO in the range of $C_e$ higher than 600 mg/L, and when 0.1M citric acid and 0.1M EDTA were used for Zn and Pb in the range of $C_e$ higher than 300 and 100 mg/L,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constant converged to certain levels. Thus, constant values of $K_U$ and $K_L$ were determined. It was found that these constants represent the maximum desorption capacity and they can be used as distribution coefficients of desorption equilibrium for the flushing ag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fundamental information for the selection of the best agents as well as for the process design and operation of soil washing/soil flushing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고전압 펄스 전기장 기술을 이용한 차가버섯 추출물의 피부 효능 증대 방법 (New Approaches to Increase Skin Efficacy of Chaga Mushroom Extract using High Voltage P ulsed Electric Fields Technology)

  • 성미경;강정욱;정윤주;김봉준;조항의;조현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31-24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 기술을 사용하여 식물 내 유효성분과 피부 효능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을 전처리한 차가 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을 제조한 후, 성분 측정과 피부 효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총 당과 폴리페놀 함량은 0.5 kV/cm에서 50 Hz, 25 Hz 전처리 추출물 순으로, 총 단백질 함량은 0.5 kV/cm, 25 Hz 전처리 추출물에서 상온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DPPH 소거능 효과는 폴리페놀 함량 결과와 유사하게 0.5 kV/cm에서 25 Hz, 50 Hz의 전처리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피부 효능에서는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0.5 kV/cm, 25 Hz 전처리 추출물에서 sodium dodecyl sulfate (SDS)와 UVB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0.5k V/cm에서 50 Hz, 100 Hz 전처리 추출물에서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고전압 펄스 전기장 전처리 차가 추출물의 유효성분, 피부 효능이 증대하는 것을 확인하여 세포 보호 및 보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하며, 이러한 green technology가 화장품 분야와 소재개발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크릴 에멀젼 중합에서의 계면활성제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urfactants in Acrylic Emulsion Polymerization)

  • 송주호;박상준;박상권;이명천;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10권4호
    • /
    • pp.523-530
    • /
    • 1999
  • 아클릴계 점착제는 주로 용제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왔으나 용제의 사용에 따른 화재의 위험성과 환경적인 부작용으로 인해 점차 법률적으로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음에 따라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수계 에멀젼 중합을 이용한 제조 방법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0^{\circ}C$의 반응기에 methacrylic acid(MAA), n-butyl acrylate(n-BA), 그리고 2-ethylhexyl acrylate(2-EHA) 등 3가지 종류의 단량체를 사용하여 유화 중합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로 sodium dodecyl sulfate(SDS),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ethylene oxide 계통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에서의 전환율이 단일 계면활성제 시스템에서의 전환율보다 더 높게 나왔으며, 비이온 계면활성제만을 사용한 유화중합은 안정성이 떨어져 상 분리가 일어났다. 반면에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혼합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유화 중합 시스템은 매우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여 12주 이상의 저장 안정성을 보였다.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에서 에멀젼 입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시스템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며, 계면활성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입자 크기는 감소하였다. 계면활성제의 형태와 사용량, 그리고 혼합 비율 등은 에멀젼 입자의 Tg와 분자량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50개의 침수성기를 가지고 소수성 chain의 탄소수가 16~18인 비인온 계면활성제를 40~60% 정도 사용한 약 4 g 정도의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이 에멀젼의 안정성과 접착력에서 가장 최적의 제조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국산배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식육 연화제로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Meat Tenderness of a Pretense Extracted from Domestic Pear)

  • 한승관;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6-328
    • /
    • 2004
  • 본 연구는 국산 배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를 분리, 정제하여 단백질 효소의 농도별 돈육 등심에 대한 연화 정도를 측정하여 가장 적당한 농도를 찾고자 실시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5.96 $\mu\textrm{g}$/mL와 7.25$\mu\textrm{g}$/mL을 나타냈었으나 투석한 경우는 신고가 0.19$\mu\textrm{g}$/mL, 추황이 0.24$\mu\textrm{g}$/mL를 나타내 투석할 경우 오히려 단백질 함량이 감소하였다. 투석한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각각 0.05%, 0.1% 및 0.2%를 첨가한 후 81$^{\circ}C$에서 가열한 후 냉각한 돈육 등심의 전단력은 신고에서 6.24, 5.69, 5.37 및 5.58을 추황에서 5.44, 4.92, 4.65 및 4.80을 나타냈다. 신고와 추황의 정제된 단백질 분해효소를 0.1% 첨가했을 때 가장 낮은 전단력을 보였고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각각 14%와 15%의 감소를 나타냈다. 전기영동에 의한 단백질의 분자량은 약 30kDa을 나타냈다. 연도에 최대 효과를 줄 수 있는 적정함량은 0.1% 이상이라 사료된다.

잉크젯 프린팅용 pink-red 수계 무기잉크의 제조 및 특성평가 (Characterization and synthesis of aqueous pink-red ceramic ink for digital inkjet printing)

  • 이원준;황해진;한규성;조우석;김진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0-26
    • /
    • 2015
  • 세라믹 잉크젯 기술은 아트타일, 장식용 도자기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원료의 효율이 높고 낮은 제작비용으로 다양한 이미지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잉크젯 프린팅 타일에 나노세라믹안료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잉크분산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잉크젯 인쇄용 수계 pink-red 세라믹잉크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CaCr_{0.1}Sn_{0.8}SiO_5$ 안료는 고상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고, 잉크 토출 시 잉크젯 헤드의 노즐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어트리션밀을 이용하여 분쇄한 안료를 사용 하였다. 수계 세라믹잉크 제조 시 $CaCr_{0.1}Sn_{0.8}SiO_5$ 나노안료의 농도는 10 wt%로 고정하였고, sodium dodecyl sulfate(SDS)를 0.4 wt% 첨가 하였을 때 최적의 분산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계 세라믹 잉크의 원활한 토출을 위해 polyvinyl alcohol(PVA)을 0.18 wt% 첨가하여 점도 조절을 하였다. 제조된 pinkred 세라믹 잉크는 토출 시 $180{\mu}s$ 이후 구형의 단일액적을 형성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 메주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 MJ-226이 생산하는 혈전용해효소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MJ-226 Isolated from Meju)

  • 임성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77-384
    • /
    • 2009
  • 전통 메주로부터 plasmin의 혈전용해 활성보다 약 58%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MJ-226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와 유사한 형태학적, 생화학적 및 당 발효능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MJ-226은 Tryptic Soy Broth (TSB) 배지 상에서 최대의 혈전용해효소 활성을 나타내었고, $37^{\circ}C$에서 24~26시간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TSB 배지 내에 glucose와 fructose 2.0%와 peptone 및 yeast extract 1.0% 각각을 첨가한 경우 활성이 증가되었다. 하지만 lactose, sucrose, beef extract, casein 및 tryptophan 등에 의해선 활성이 오히려 감소되었다. B. subtilis MJ-226이 생산하는 혈전용해효소는 pH 6.0~8.0 및 온도 $35\sim40^{\circ}C$에서 매우 안정하였으며, 또한 $MnSO_4$, $CaCl_2$, KCl 및 NaCl 5 mM 농도의 금속이온에 대해서도 비교적 안정함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CuSO_4$, $MgSO_4$, $ZnSO_4$, $FeSO_4$$BaCl_2$에 등의 금속이온과 iodoacetic acid, leupeptin, phenylmethanesulphonyl fluoride (PMSF), sodium dodecyl sulfate (SDS), thiourea, trans-1,2-diaminocyclohexane-N,N,N',N'- tetraacetic acid (CDTA) 및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등의 저해제들과 반응한 경우에는 매우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전식 통풍관 생물반응기 사용에 따른 느타리균의 manganese peroxidase 생산 및 특성 (Production of manganese peroxidase from Pleurotus ostreatus using a rotary draft tube bioreactor (RTB) and characterization of its activity)

  • 하효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6-321
    • /
    • 2021
  • 리그닌 분해효소의 생산은 나선형 리본이 있는 새로운 형태의 회전식 통풍관 생물 반응기(RTB)를 사용하여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No.42에 의해 실시하였다. 락게이즈(laccase)의 최대 생산량은 배양 3일 후 약 8,200 U/bioreactor 수준에 도달한 후 감소하였다. 반면에, 망간퍼옥시데이즈(MnP)의 최대 생산은 6일 배양 후 약 8,400 U/bioreactor의 수준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이 발효조에서 리그닌퍼옥시데이즈(LiP)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 결과 회전식 통풍관 생물 반응기(RTB)가 리그닌 분해효소를 대규모 생산을 위해 성공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발효기에서 망간퍼옥시데이즈의 정제 과정은 Sepharose CL-6B, Superdex 75 prep grade 및 Mono-Q에 대한 크로마토그래피를 포함하여 정제하였다. 이 주요 효소는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겔 전기영동(SDS-PAGE)에서 분자량 36,400, pI 3.95의 등전점(IEF)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이 발효기의 주요 효소 N-말단 서열은 정치 및 진탕배양과 같은 다른 배양조건에서 보고된 MnP3 효소와 동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