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Bicarbonate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4초

산-염기 적정 시스템의 비선형 회귀분석에 관한 고찰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Acid-Base Titration System)

  • 박정오;홍재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8-25
    • /
    • 2008
  • In classical titrimetric analyses, the major concern is the concentration of titrant, usually the aqueous solution of hydrochloric acid or sodium hydroxide, that could be changed as time goes by and it is accompanied with the inaccuracy of the resulting data. And the statistical approach, the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a well-known statistical method, was introduced to determine the accurate concentration of the titrant and the exact value of parameters, $K_a$, r, $C_a$, $C_b$, for 0.01 M aqueous solutions of analytes, sodium pyruvate, sodium acetate, sodium bicarbonate, ammonium hydroxide, ammonium chloride and acetic acid at $25^{\circ}C$. We used Gauss-Newton method for the linearlization of the nonlinear titration system and the two-parameter fitting showed appreciable convergent data for the parameters of the analytes set with the various range of $K_a$ value.

  • PDF

휴대용 정삼투 담수화 장치의 설계 및 평가에 관한 연구 (Design and Evaluation of Portable Forward Osmosis Desalination Device)

  • 박철우;강호;정동호;차재철;김대중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3호
    • /
    • pp.301-305
    • /
    • 2013
  • 식수의 보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하여 저에너지, 자급형 휴대용 담수화 장치를 설계하고 실험하여 그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장비 구성이 단순한 정삼투 현상을 이용하여 휴대용 담수화 장치를 설계하였으며 중탄산암모늄을 이용하여 적은 에너지원을 이용한 담수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여러 농도의 중탄산암모늄 수용액과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각기 사용하여 휴대용 담수화 장치의 담수화 성능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염 제거 실험을 통하여 음용 가능한 물을 확보하였고 온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거리 달리기선수의 고강도 훈련 시 중탄산염 섭취가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Sodium Bicarbonate Intake on Blood Variables During High Intensity Exercise of Sprinter)

  • 김인동;김재중;박정범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65-74
    • /
    • 2021
  • 본 연구는 단거리 달리기선수의 고강도 훈련 시 중탄산염 섭취가 혈액변인에 미치는 영향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S시 남·여 단거리달리기 선수로 등록된 운동경력 3년 이상의 엘리트 선수 30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 훈련집단, 중탄산염 투여와 훈련집단의 세 집단으로 설정 후, 고강도 운동프로그램은 통제집단과 중탄산염 투여와 훈련집단을 대상으로 80-90%HRmax 운동강도를 2-3주마다 증가시키며, 총 8주간, 주 5일, 1회 90분 실시하였다. 중탄산염 섭취는 중탄산염 투여와 훈련집단을 대상으로 체중 1kg당 300mg을 고강도 운동프로그램 시작 90분 전 1일 1회 8주간 섭취하였다. 연구결과, 단거리달리기 선수의 고강도 훈련 시 중탄산염의 섭취가 혈액변인에 미치는 효과는 중탄산염 투여와 훈련집단에서 수소이온농도의 상승과 젖산의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Ca2+, Na+, K+은 훈련집단과 중탄산염 투여와 훈련집단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Mg2+은 세 집단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강도 훈련 시 중탄산염의 섭취가 혈액변인의 변화 중 수소이온농도의 증가와 젖산의 감소에 효과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강도 운동 시 중탄산염의 섭취가 운동능력의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도시쓰레기 혐기성소화 운용 및 성능 지표 (Operational and Performance parameters of Anaerobic Diges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 정재춘;박찬혁;손성명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4호
    • /
    • pp.86-95
    • /
    • 2002
  • 도시쓰레기의 혐기성 소화는 에너지원 및 온난화 가스 저감 문제 등에 의해 최근에 사회적 관심사가 되고 있다. 도시쓰레기는 고형분 함량이 높고 질소성분이 낮으며 셀루로스와 헤미셀루로스가 주성분으로 되어 있다. 도시쓰레기의 메탄 전화율은 대개 50%이며 $0.2m^2/kg$ VS에 해당한다. 고형물 농도가 높을수록 긴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필요하며 주입물에 접종슬러지를 혼합하여야 한다. 도시쓰레기의 혐기성 소화 시 C/N비는 25가 상한이고 NH3-N의 적정농도는 700mg/L로 알려져 있다. pH조절을 위하여 흔히 석회와 탄산나트륨이 사용되고있는데 탄산나트륨을 3,500mg/L이상 첨가하면 나트륨 독성이 나타난다. 고온성 혐기 소화조는 운용과 관리가 어려우나 병원성 미생물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시쓰레기의 혐기성 소화공정의 최적화를 이룩하려면 소화공정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작동기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 PDF

Ca계 및 Na계 흡수제의 건식 탈황 특성 비교 (Comparision of Ca- and Na- Based Dry Sorbent in Desulfurization Characteristics)

  • 문승현;현주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1-28
    • /
    • 2009
  • Ca계 및 Na계 탈황제를 대상으로 열중량 분석실험과 승온탈리 실험을 수행하여 탈황제의 열적안정성, 집진기 전단 온도인 $250^{\circ}C$에서 탈황 성능, 그리고 상온에서 흡수용량 등을 비교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소석회($Ca(OH)_2$)는 약 $390^{\circ}C$에서 열 분해되기 시작하여 480~$500^{\circ}C$에 이르면 완전하게 분해되었다. 열분해 결과 생성된 생석회(CaO)의 무게는 최초 소석회 무게의 76%로 감소하였다. 중탄산나트륨($NaHCO_3$)은 약 $95^{\circ}C$에서부터 분해되기 시작하여 $19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완전하게 분해되어 처음 도입된 중탄산나트륨 무게와 비교하여 약 63%로 감소하였다. $250^{\circ}C$에서 실시한 열중량 분석 결과, 무수탄산나트륨($Na_2CO_3$)의 경우에는 탈황제 무게의 35%에 해당하는 $SO_2$를 흡수할 수 있고, 생석회는 15.6%, 소석회는 6.5%까지 $SO_2$를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0^{\circ}C$에서 초기반응 속도를 비교하면, Ca계 탈황제의 경우에는 초기 미반응 시간이 있는 반면에 Na계 탈황제인 무수탄산나트륨에서는 이러한 초기 미반응 시간이 없어, Ca계 반응제의 경우보다 Na계 탈황제의 경우에 $SO_2$와 더 빠른 반응이 진행되었다. 상온에서 실시한 승온탈리 실험 결과, Na계인 무수탄산나트륨보다는 Ca계인 소석회가 더 많은 $SO_2$를 흡수하였다. 따라서 저온에서는 Ca계인 소석회가 적절하고 고온에서는 무수탄산나트륨이 더 적절한 탈황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 채취 방법에 따른 지방 세포의 생존성에 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AT CELL VIABLITY ACCORDING TO DIFFERENT HARVESTING TECHNIQUES)

  • 이원덕;최진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22-2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icacy of various methods of fat harvesting in animal model by viability comparison with assay including cell counting, MTT assay, and histologic evaluation. Materials and methods: New Zealand white rabbits experiments were used. Groin fat pads were subjected to different harvest method varying ingredients of solution(Experiment 1: T1 solution= lidocaine 1000mg/L, epinephrine 1mg/L, sodium bicarbonate 10mgEq/L, Triamcinolone 10mgEq/L; T2 solution=lidocaine 1000mg/L, epinephrine 1mg/L, sodium bicarbonate 0mgEq/L, Triamcinolone 0mgEq/L) and pressure exerted on harvesting with Luer-Lock syringe connected to suction cannula.(Experiment 2: P1 group=3cc intermittent pressure; P2 group=10cc sustained pressure) Fat cell viability was assessed with cell counting with a hemocytometer, MTT assay, and histologic evaluation. Results: Experiment 1 Cell count: T1=2.4/3.4/4.2, T2=9.6/8.4/7.2($\times10^5$ per mL); MTT assay: T1=0.516/0.41/0.453/0.412/0.421, T2=0.925/0.765/0.54/0.634/0.614 in 21 days(absorbance); Histology: T1 showed elongated and, different in size and shape, and ruptured adipocytes with only a few normal adipocytes whereas T2 showed central core of fat with almost intact fat cells Experiment 2 Cell count: P1=1.2/3.2/4.2, P2=1.2/2.4/3.8($\times10^5$ per mL); MTT assay:P1=0.256/0.245/0.258/0.21/0.264, P2=0.12/0.231/0.245/0.313/0.281 in 21 days(absorbance); Histology: P1 showed somewhat evenly distributed normal-looking fat cells and P2 showed relatively irregular shape of fat cells with small blood vessel amongst adiopocytes. Conclusion: Viability was higher in ‘modified tumescent solution’without sodium bicarbonate and triamcinolone and we also found no significantly different viability between using intermittent pressure and using sustained pressure. But in terms of initial viability of fat cell, we can assume that lower intermittent pressure would make better clinical results.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에 대한 염산리도카인-중탄산나트륨과 MS-222의 마취 효과 (Anaesthetic Effect of Lidocaine Hydrochloride-Sodium Bicarbonate and MS-222 on the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 박인석;조진희;이수진;김유아;박기의;허준욱;유종수;송영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9-453
    • /
    • 2003
  • Anaesthetic effect of lidocaine hydrochloride-sodium bicarbonate mixture $(lidocaine\;HCL/NaHCO_3)$ and tricaine methanesulfonate (MS-222) was tested for the greenling (Hexagyammos otakii)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12^{\circ}C,\;8^{\circ}C\;and\;24^{\circ}C.$ Based on the exposure and recovery time, effective dose of lidocaine $HCl/NaHCO_3$ was 800 ppm $(18^{\circ}C)\;and\;300\;ppm\;(24^{\circ}C)$ for greenling of $21.0\pm1.4\;cm$ body length. Anaesthetic dose and temperature-dependent relationship in exposure and recovery time were observed. Effective dose of MS-222 at $18^{\circ}C$ was proven to be 125 ppm and 150 ppm. Combination of lidocaine $HCl/NaHCO_3$ and MS-222, considerably reduced the dosage of each anaesthetic required to give rapid, deep anaesthetic condition. In the dry exposure after anaesthetic, the control fish exhibition $22\%$ mortality after dry exposure of 20 min; whereas, the anaesthetic condition with 800 ppm lidocaine $HCl/NaHCO_3$ for 1 min exhibited delayed recoveries from the anaesthetic condition with mortalities of $20\%,\;41\%,\;78\%\;and\;100\%$ after dry exposures of 8 min, 12 min, 16 min and 20 min,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lidocaine $HCl/NaHCO_3$ can be used as suitable anaesthetic for the greenling.

삶는 방법에 따른 수리취(Synurus palmatopinnonatifidus var. indivisus KITAM.)의 이화학적 특성 (Effect of Boiling Method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 Ri Chwi(Synurus palmatopinnonatifidus var. indivisus KITAM.))

  • 김명희;박용곤;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01-705
    • /
    • 1992
  • 수리취의 삶는 방법을 달리하여 조리한 후 그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생수리취와 비교 분석하였다. 조리수는 물, 1%소금, 1%중조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삶는 시간은 물과 소금 첨가 조리수에서 30분, 중조첨가 조리수에서 10분으로 하였다. 삶는 수리취액의 pH는 중조를 조리수에 이용한 것이 8.21로 가장 높았고, 수리취잎의 색도 중 녹색도(a)의 경우 중조처리구가 생수리취(-10.50)와 가장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클로로필 및 비타민 C의 함량 또한 중조의 경우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조리방법에 따른 변화의 정도가 적었다. 생수리취의 무기질은 Mg, K, Ca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으며, 삶은 후에는 조리수에 따라 그들의 함량에 다소 차이가 있었고, 소금, 중조 처리구의 경우 Na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생수리취의 가용성 단백질은 70%가 albumin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조리에 의해 albumin은 감소한 반면 glutelin, globulin 및 prolamin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수리취에서 분리 정제한 알콜 불용성 물질의 식이섬유 함량은 조리방법에 따라 NDF, ADF, cellulose, lignin값이 감소한 반면 hemicellulose값은 증가하였다.

  • PDF

고비표면적 탈황용 석회소재 제조 (Manufacturing of Lime Materials with High Specific Surface Area for Desulfurization)

  • 권석제;김영진;김양수;서준형;조진상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3권1호
    • /
    • pp.69-76
    • /
    • 2024
  •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으로 세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의 단계적 폐지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화력발전을 통한 전력 생산과 황산화물(SOx)의 배출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에서는 황산화물 처리를 위해 중조(NaHCO3)와 석회소재를 사용하며 중조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대표적인 부존자원인 석회석을 이용하여 석회소재의 물성 향상을 통해 중조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석회석은 박스형 전기로와 수직형 전기로를 통해 열처리했으며, 수직형 전기로가 가진 구조적 특징에 의해 비표면적 22.33 m2/g, 세공용적 0.14 cc/g의 생석회를 제조하여 석회소재의 물성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제사용수(製絲用水)에 대(對)한 몇가지 화학약제(化學藥劑)의 처리(處理)가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성(溶解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s of Several Chemicals on the Solubility of Cocoon Sericin in Water)

  • 이인전;이동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55-65
    • /
    • 1983
  • 본(本) 시험(試驗)은 제사용수(製絲用水)에 대(對)한 몇가지 화학약제(化學藥劑)의 처리(處理)가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성(溶解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량(溶解量) 조절(調節)에 참고자료(參考資料)가 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공시(供試) 약제(藥劑) 중(中)에서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촉진력(溶解促進力)이 가장 큰 약제(藥劑)는 Sodium Hydroxide(NaOH)였으며, Potassium Hydroxide(KOH) > Sodium Silicate($Na_2SiO_3$) > Sodium Bicarbonate($NaHCO_3$)의 순(順)으로 용해추진력(溶解促進力)이 작았다. 공시(供試) 약제(藥劑) 중(中)에서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억제력(溶解抑制力)이 가장 큰 약제(藥劑)는 Form Aldehyde(HGHO)였으며, Ammonium Alum($Al_2(SO_4)_2{\cdot}(NH_4)_2SO_4{\cdot}24H_2O$) > Acetic Acid($CH_3COOH$) > Hydrochloric Acid(HCl)의 순(順)으로 용해억제력(溶解抑制力)이 작았다. 공시(供試) 약제(藥劑) 중(中)에서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억제력(溶解抑制力)이 클 것으로 기대(期待)했던 Hydrochloric Acid(HCl)은 $80^{\circ}C$이상(以上)의 고온(高溫)에서는 오히려 견층(繭層) sericin의 용해(鎔解)를 크게 촉진(促進)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