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psychology

검색결과 1,108건 처리시간 0.021초

현대 한국사회에서 공동체심리학의 방향: 공동체심리학의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The Role of Community Psychology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Focusing on its' Core Concepts)

  • 류승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4호
    • /
    • pp.637-655
    • /
    • 2023
  • 미국에서 시작된 공동체심리학은 지난 50여년 동안 미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낯선 학문 분야이다. 본 논문은 공동체심리학의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공동체심리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공동체심리학의 중요성과 실용성을 피력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동체심리학의 기본 개념 중 관점의 전환, 1차변화와 2차변화, 생태학적 관점과 분석 수준, 그리고 실천행동에 관한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공동체심리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기본 개념이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어떤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 보았다. 궁극적으로 공동체심리학에 대한 대중적 인식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심리학이 활용될 수 있는 영역을 넓히며, 현 한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 분야가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roblem Based Learning (PBL) 을 이용한 의상학과 이론수업방식에 관한 고찰 (The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course)

  • 이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5호
    • /
    • pp.93-10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BL (Problem based-learning) on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course. Thirty-seven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15-week capstone course in a clothing and textiles department. Eighty-one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ere majoring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The study was conducted two focus group interview with 37 undergraduate students.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BL (Problem Based Learning) in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cour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have more opportunities to practice collaboration within the team and to increase their self-esteem and self-confidence through the 15 week of teamwork. The participants were developed to express their opinion actively and solving the problem skills. Eighty percent of the instructors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chievement of the course objectives. Seventy-five percent of the instructors expressed the difficulty of student's evaluation. Fifty-five percent of the instructors had a difficulty of development of module problems.

Functional Connectivity with Regions Related to Emotional Regulation is Altered in Emotional Laborers

  • Seokyeong Min;Tae Hun Cho;Soo Hyun Park;Sanghoon Han
    • 감성과학
    • /
    • 제25권4호
    • /
    • pp.63-76
    • /
    • 2022
  • Emotional labor, characterized by a dysfunctional type of emotional regulation called surface acting, has detrimental psychological consequences on employees, including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Because such disorders exhibi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anifested through brain activation, previous studies have succeeded in distinguishing individuals with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from healthy controls using their functional connectivity characteristics. However, it has not been established whether the functional connectivit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emotional labor are distinguishable. Thus, we obtained resting-state fMRI data from participants in the emotion labor (EL) group and control (CTRL) group, and we subjected their whole-brain functional connectivity matrices to a linear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EL and CTRL groups could be successfully distinguished on the basis of individuals' connectivity patterns, and confidence in the classification was correlated with the scores on the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scale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insight on the neu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labor and enable the sorting of employees undergoing adverse emotional labor utilizing neurobiological observations.

한국문화에서 청소년이란 무엇인가? (What is Adolescent in Korean Culture?)

  • 최상진;김양하;황인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spc호
    • /
    • pp.11-28
    • /
    • 2004
  • 본 고에서는 청소년이나 청소년기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의 문제에서 출발하여 기성세대의 청소년관에 대한 부정적 청소년관과 발달심리학의 심리주의적 신화와 부정적 청소년관을 개관하였다. 더불어 활동-환경중심적 입장에서 청소년을 이해해야함을 제안하고, 현대 한국사회에 있어서의 청소년의 가치를 논하였으며, 오늘의 청소년을 어떻게 조망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논하였다.

  • PDF

요가심리학과 긍정적 정서 (Yoga Psychology and Positive Emotions)

  • 조옥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1호
    • /
    • pp.227-23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신체-정서-마음-영혼의 전일적이고 통합적인 건강을 지향하는 요가심리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개인의 심층에 존재하는 긍정적 잠재력의 개발에 있음을 강조하면서, 이를 긍정심리학의 맥락에서 새롭게 조명해보았다. 이를 위해 요가심리학이 추구하는 자기실현의 내용을 소개하고, 집중과 몰입이라는 요가의 방법을 통해 개인이 경험하는 기쁨과 엑스타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행복의 의미를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집중과 몰입이 깊어졌을 때 도달할 수 있는 의식상태의 변화와 행복의 수준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도 논의하였다. 행복, 지복, 엑스타시는 요가심리학과 긍정심리학의 주된 관심사이기 때문에 서로 일맥상통하는 듯이 보인다. 그러나 요가심리학에서는 긍정적 정서를 넘어서서 무집착, 초연함, 평정심을 가장 가치로운 덕성으로 삼고 있다. 요가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평정심은 고요한 중립의 상태로서 오랫동안의 고된 요가수련의 정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긍정심리학이 아직 포섭하고 있지 못한 마음의 심층에 놓인 상태로서 긍정심리학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한국인의 소득양극화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인식유형 (Cognitive Categorization of Korean for Reason and Solution about Income Polarization)

  • 김동수;김옥환;이상헌;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4호
    • /
    • pp.461-483
    • /
    • 2011
  • 본 연구는 소득양극화에 대한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한구인의 구체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38명의 연구대상자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이를 질적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득양극화 원인에 대하여 계층이동 불가능유형, 중산층 가능유형, 부유층 가능유형, 계층이동 가능유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소득 양극화의 해결책에 대하여 진보적 해결유형, 중도진보적 해결유형, 중도보수적 해결유형, 보수적 해결유형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원인인식과 해결책인식을 교차하여 본 결과, 한국인은 대체로 소득양극화의 원인을 보수적으로 인식하는 반면에 해결책에서는 진보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각 유형별 의미와, 한국사회에서 소득양극화 문제에 대한 합의적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한 시사점등을 논의하였다.

  • PDF

경산지역 도시주거지 오픈스페이스의 이용특성과 공간적, 사회심리적 기능 (The Usage Characteristics and the Spatial and Social Psychology Role of Open Spaces in Urban Neighborhoods of Gyeongsan)

  • 김묘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143-15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age characteristics and the role of spatial and social psychology of open spaces in urban neighborhoods. The survey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18 residents in Gyungsan. For analysis, the frequencies and means were calculated, the chi-square test,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first, not only the preferred open space type but also the usage characteristics by gender were different. The tendency for males was to visit open spaces to exercise and to stay for longer than one hour. However, the females visited open spaces to care for their children and meet friends or neighbors. They also visited more often than males but stayed for a shorter time. Second, females tended to consider the open space as a place for rest and leisure. Females valued the social psychology aspects of the open space function. Third, regarding the spacial role of open space in urban neighborhoods, study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waterside parks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ut were concerned for the safety of children. Considering the social psychology role of open spaces, study participants regarded the waterside parks as improving emotional health. Particularly, they believed the waterside parks played a greater role in daily life as a place for meeting, resting, and leisure than other open space types such as playground, children's parks, and sport parks.

아동의 애착, 사회적 유능감, 정서조절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 최진아;박은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10호
    • /
    • pp.103-113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 regula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33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age(5th-6th grades) in G-city, Korea, using the IPPA-R, the Social Competence Inventory and an Emotion Regula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ocial competence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ttachment and social competence have a positively correlated relationship. Peer attachments strongly affect the attributes of social competence when using a canonical variate analysis.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attachment and emotion regulation a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Maternal attachment particularly strongly affected the attributes of emotion regulation. Thirdl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사회계층에 대한 재조명: 심리학에서 개념화 및 측정을 중심으로 (Revisiting the Social Class: Focusing o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in Psychology)

  • 변상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1호
    • /
    • pp.101-130
    • /
    • 2018
  • 사회계층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지대한 영향으로 인해 서구 심리학에서는 사회계층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심리학계에서는 심화되고 있는 사회계층화 현상에도 불구하고 학문적 관심은 미비하였으며, 그 개념이나 측정 또한 사회학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그대로 차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계층 연구의 중요성과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해 사회계층이 무엇이며,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기초적인 물음을 다루었다. 이를 위해 사회계층 측정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사회계층의 동의어로 사용되는 사회경제적 지위(SES)를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사회계층 측정 방식을 객관적 사회계층과 주관식 사회계층으로 나누어 각 접근의 특성과 주요 사용 지표를 개관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심리학에서 발표된 사회계층을 다룬 연구들을 수집, 검토함으로써 현재 사회계층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대상 논문 총 23편 중 65.2%가 객관적 사회계층 지표를 사용하였으며 주로 사용된 지표는 학력, 소득, 직업순이었다. 주관적 사회계층이 사용된 연구는 7편으로 모두 사회계층 정체성 측정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사회계층을 언급하는 용어로는 총 7가지로 밝혀졌다. 이러한 검토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에서는 사회계층 변인에 대한 보다 직접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 사회경제적 지위보다 '사회계층'을 사용함으로써 용어의 통일성을 기하고,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사회계층 측정에 있어 유의점 등을 제안하였다.

복식사회.심리학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I (An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Clothing)

  • 이인자
    • 복식
    • /
    • 제30권
    • /
    • pp.19-40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nd analyse established studies of clothing pay-chology and marketing, showing the disciplin-ary trends problems and the outlook of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clothing. To achieve the purpose 621 articles have been used. -519 for master's and doctor's de-gree and 102 reported in journals -no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clothing for the past two decades(1974-1994) in Korea. All of these annual data were classified into making five years a unit. In th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applied. To verify the degree of significance x2-test were used. 1. The trend of the study on the fields of clothing psychology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over the period between 1974 and 1994 showed the continual trend of increase since the 1974 that the article on the field of clothing the continual trend of increase since the 1974 that the article on the field of cloth-ing psychology was first reported. 2. The domain that has the greatest pro-portion in the field of clothing psychology is concerned with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 and the study concerning interpersonal perception and development the measurement tool showed the tendency to continue to in-cr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