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669건 처리시간 0.026초

사무직 공무원들의 피로수준 및 관련요인 (Fatigu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 조광희;양혜경;김광환;조영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9-44
    • /
    • 2007
  • Objectives: The administrative employees of government were analyzed on their levels of fatigue symptoms to reveal the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m. Methods: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between Dec. 5th, 2005 and Jan. 31st, 2006, to 1,005 individuals in the service of general administration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items included subjects' socio-demographic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behavior, degree of job demand, job autonomy, social support in work, type A behavior pattern, locus of control, sense of self-esteem, and degree of fatigue. The study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authors came to the following major findings, by univariat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degree of fatigue dependent variables and other variables independent. Results and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fatigue symptoms is so complicatedly influenced by variable factors as well as job-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ank in work, or job career, to a greater extent, by job specifications and personality traits(type A) like whether performing health-related behavior or not, job demand, job autonomy, social support in work, or sense of self-esteem. Thus the effective strategy for stress reduction among governmental employees requires additional programs focusing on innovated job specifications and managed personality trait.

노인의 사회적 자본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 Using the Data of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

  • 김지희;박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4호
    • /
    • pp.280-29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령사회를 대비해 사회적으로 소외되고, 신체적 능력이 퇴화하는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자본 특성, 건강행태 특성, 사회인구학적 특성 변수를 구축하여 각 요인이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특성에 따른 복합표본 T-검정과 ANOVA 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 특성에 따라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상태 및 건강행태 특성, 사회인구학적 특성 또한 마찬가지로 건강 관련 삶의 질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표본 회귀분석 결과 수도권 거주, 아파트 거주, 배우자 존재, 가구 수입(만원/월), 경제활동 여부, 고학력, 수면시간, 걷는 시간, 폭음, 주기적으로 건강검진 검사, 네트워크 존재, 신뢰 존재, 사회참여를 할수록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나이, 여자, BMI, 만성질환 개수 증가, 인지장애 존재, 주관적 스트레스 증가할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에 유의하게 부정적인 영향으로 미친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 여부의 경우 유의하지 아니하였다. 연구 결과 65세 이상 노인의 사회적 자본 특성, 신체 상태 및 건강행태 특성, 사회인구학적 특성 수준에 따라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단순히 신체 상태와 건강행태 요소뿐만이 아닌 사회적 자본 및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증명하였고, 이로 인해 노년의 삶에 있어 사회구성원으로의 역할이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노인복지정책을 수립 및 시행에 있어 신체적, 정신적인 요소뿐만 아닌 사회적 요소에 대한 강건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노인의 사회구성원의 역할 기대와 참여 독려 및 기회 제공의 영역을 기관, 단체, 사회적 기업 등으로 확대하여 반영함으로써 유효한 노인복지정책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지역 건강사회 조사는 매년 대상을 무작위 추출하여 선정하기 때문에 동일 대상의 추적이 어렵다. 그 결과,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1개년도의 노인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한 단면적 연구이기 때문에 노인들에게 중요한 시간의 흐름에 대한 영향을 분석할 수 없다. 둘째, 전국 단위의 전(全) 연령의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이고, 그 문항 수가 많으므로 노인들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문항보단 포괄적인 문항들로 인하여 노인특성에 따른 세부적인 변수 구축하는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상태를 고려하여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적 수준을 향상을 모색하는 방법을 고안해야 하며 추후 다양한 노인에 대하여 특화된 변수의 보강과 본 연구의 단면적 연구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패널 연구 또는 코호트 연구 등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 된다. 또한 노년의 경우 청년보다 이동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거주 및 환경의 지역성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공간분석을 통한 후속 연구 및 분석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 된다.

지역사회 거주 1인가구 노인의 신체활동 관련요인: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이용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Using Data from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 이은숙;김혜영;고은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2-253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Methods: This is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used secondary data from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19,134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and living alon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𝜒2 test, and linear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7.0 program. Results: The participants' averag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was 1,359.32 MET-min/week; 50.7% were inactive, 38.6% were minimally active, and 10.7% were health-promoting active. Demographic factors that predicted physical activity were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income, whereas health behavior factors include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igh risk drinking (R2=.055, p<.001). Psychological factors were sleeping time, stress, depression and fear of falling, and social factors included social contact with neighbors or friend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or leisure activites(R2=.070, p<.001).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specific and integrated nursing interventions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in older adults.

의복구매시 소비자가 지각하는 위험에 관한 연구(II) -위험감소방안의 유형분류, 위험유형 및 소비자 인구통계적 변인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Risk Perceived by Consumers in Apparel Buying Situation ( II ) Types of Risk Reduction Method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Risk Types and Consumers' Demographic Variables)

  • 김찬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3-83
    • /
    • 1992
  • This paper examined risk reduction methods utilized by consumers in apparel buying situation in multidimensional conceptual framework,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isk types, consumer demographic variables and preferences of risk reduction methods. Samples of 224 consumers were deliberately selected to include variou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income level. The results of the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26 item risk reduction methods could be summarized into 6 meaningful factors; Marketer-dominated Information Sources Use (MIS), Prepurchase Deliberation / Observation i Dependence on Past Buying Experience (DOE), Independent Information Sources Use (lIS), Interpersonal Information Sources Use (PIS), Brand Loyalty (BL), Label Reading / Guarantee Buying (RG). DOE were used most whereas IIS used least. Correlations of various types of risk perceived with the preference of risk reduction methods were significant especially for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or economic risk and DOE, and between social risk and/or fashionability loss and MIS. Results of ANOVA and Duncan test suggested that sex, ag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of consumers can act as ones of determinant variables on making differences in the use of risk reduction methods.

  • PDF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 강경아;조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10-218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전북 소재 K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 적응 정도는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정은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이용하였으며,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Sobel test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하지만 사회적 지지가 매개할 경우 대학생활 적응 수준을 높여주는 경향성이 더 강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킴으로써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학생상담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대학의 사회적 지지 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후원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일반적 특징과 그들의 후원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edicting the Degree of Donors' Philanthropic Effort in Nonprofit Social Welfare Arena)

  • 강철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5권
    • /
    • pp.1-30
    • /
    • 1998
  • 본 연구는 민간 복지 자원의 중요한 한 축으로 기능하는 일반 시민들의 후원 활동과 관련하여 이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특징과 후원 행동 및 그들의 후원 노력(philanthropic effort)의 수준을 파악하고 기술하는 것 그리고 후원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나타내는 각기 다른 수준의 후원 노력(philanthropic effort)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변수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에 연구의 기본 관심을 둔다. 본 연구는 후원 활동을 하는 사람들 중에서 안정된 직업을 갖는 사람들, 고등 교육을 받은 사람들, 기독교를 종교로 갖는 사람들, 기혼자들의 비중이 큼을 보여준다. 후원활동의 동기에서는 "joy of giving"과 같은 내적 동기를 갖는 사람들의 비중이 큼을 보여준다. 그리고 후원금 활용 신뢰도 및 후원 기관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후윈 활동에의 참여의 적극성 모두에서 대다수가 상당히 긍정적인 이해를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후원 지속 기간에서는 3년과 4년을 중심으로 정적으로 분포되어 있음이, 그리고 후원금 규모에서도 월 2만원을 중심으로 정적으로 분포되어 있음이 관찰된다. 후원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나타내는 개인 후원 노력 비율은 1.2%를 중심으로 정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이러한 후원 노력은 소득에 의해 가장 많은 설명을 할 수 있는 데 그 형태가 미국에서의 조사 결과와 마찬가지로 U의 모습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후원 노력이라는 주제에 대한 연구와 논의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Social Support on Burnout of Clinical Nurses)

  • 임현정;박경숙;반효정;이나래;이윤미;이은숙;전지원;하서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255-266
    • /
    • 2017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사회적 지지, 소진의 정도를 파악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2012년 11월 5일부터 11월 23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4개의 3차 병원(500병상 이상)과 1개의 2차 병원(400병상 이상)에 근무하는 간호사 1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호사의 소진은 3.69점, 감정노동 3.08점, 사회적 지지 3.44점으로 중간 이상의 점수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소진은 연령, 교육정도, 직위, 임상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감정노동은 연령, 근무부서, 임상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소진은 감정노동과 양의 상관관계, 사회적 지지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정노동, 연령, 사회적 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1.5%이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정노동을 줄이고 사회적 지지를 높일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Network of Community-living Elders and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Province

  • Lim, Jun Tae;Park, Jong-Heon;Lee, Jin-Seok;Oh, Juhwan;Kim, Yoo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1호
    • /
    • pp.28-38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llect information that will help enhance the social network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eople by obser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ocial network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nd by analyzing social network factors affecting HRQoL.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in Yeoncheon County. Three hundred elde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population. We compared the revised Lubben Social Network Scale (LSNS-R) score and Euro quality of life-5 dimensions health status index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hronic disease prevalence. We analyzed the data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tobit regression by setting the HRQoL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social network and other characteristics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 analyzed social network factors by using factor analysis. Results: The LSNS-R score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and existence of a spouse.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LSNS-R explained 0.10 of the variance and LSNS-R friends factor explained 0.10 of the variance. The tobit regression indicated that the contribution of the LSNS-R family size factor to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the independent variable that affected the HRQoL was $B_T$=2.96, that of the LSNS-R family frequency factor was $B_T$=3.60, and that of LSNS-R friends factor was $B_T$=5.41. Conclusions: Social networks among elderly peop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RQoL and their networks of friends had a relatively higher effect than those of family members.

치과위생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의 관계 (Dental hygieni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이혜경;김미정;임연실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645-654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provides dental care organization that is responsible for services of dental hygienists to measure levels of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he impact of empower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 variable that has to validate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ental hygienists to have been studied for the suggestions. The study period 2009 July 1 to August 30 at Jeonju Jeollabuk dental material and dental hygienists are working in medical institutions to target a total of 336 copies (88.4%) and for analysis of the data was studied. Methods : For data analysis SPSS (Statisti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 program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following. Results :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salary, age, workplace), th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decisive factor affecting the level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2. Education, salary, ag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working period of the empowerment uimiseong, yeokryangseong, self-determina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acts factors, work factors, not only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uimiseong. 3.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salary, age, duration of employment, workplace), the affective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ever, ever commitment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remain. 4. The higher the level of empowerment of the subjects that were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5.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ubjects related factors were analyzed in all th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nclusions : Dental health agencies that provide services of dental hygienists to improve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develop a structured management program, a dental hygienist job dental hygienist program and professional standards for the continuous and systematic research. That will be needed.

헤어미용업의 관계효익이 고객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Relational Benefits of Hairdressing Business on Customer Commitment)

  • 박선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1-87
    • /
    • 2023
  • 본 연구는 헤어미용실 고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고객몰입의 차이와 고객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헤어미용업의 관계효익을 규명하고자 한다. 실증적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경남의 헤어미용실 고객으로부터 수집하였고,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실 고객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고객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졸 이상 집단과 남자 집단에서 고객몰입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관계효익과 고객몰입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계효익 중에서 고객화효익, 사회적효익, 심리적효익 각각 고객몰입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심리적효익이 고객몰입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