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Support Needs

검색결과 589건 처리시간 0.024초

ICT기반 독거노인복지서비스의 현황 및 과제 (Status and Tasks of ICT-base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 강종관;이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67-7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독거노인의 욕구를 지원하기 위한 ICT기반 독거노인복지서비스의 역할을 정립하는 것이다. 독거노인은 고령화가 가속됨에 따라 2010년 102만 가구로 증가 추세이며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인 어려움 등으로 인해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시행된 6개 부처의 85개 노인복지서비스와 향후 제공가능 한 114개 ICT기반 복지서비스를 조사하였다. 이들 서비스를 Maslow의 욕구분류체계에 따라 유형화하고 오프라인, 온라인, 온오프라인병행 서비스로 구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안전욕구(의료 건강), 자아실현욕구(여가 문화) 서비스에 집중되어 있고 자존욕구 서비스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ICT기반 노인복지서비스를 통해 환경개선, 일자리 확대, 독립적인 일상생활지원 서비스는 개선이 가능하고 심리/정서지원 서비스 등은 추가 발굴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의 편중은 완화하고 부재는 보완하는 등 ICT기반 수요자 중심 노인복지서비스를 통해 독거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중도시각장애인의 건강교육 요구도 분석 (Needs assessment of health education for adults with lately visual impairments using focus group interview)

  • 전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319-328
    • /
    • 2019
  •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중도시각장애인이 현재 시행하고 있는 건강관리 방법을 파악하고, 이들이 필요로 하는 건강교육 요구도 및 교육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10명으로 4~6명씩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2회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이 시행하고 있는 건강관리 방법은 사회적 지지망으로 들어오기, 꾸준히 운동하기, 즐거운 마음갖기, 투약/건강보조제 복용하기로 범주화되었으며, 이중 사회적 지지망으로 들어오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중도시각장애인들이 필요로 하는 건강교육은 우울증 극복, 다양한 운동, 수면, 혈관관리, 관절관리, 식이요법으로 범주화되었으며, 건강교육시에는 중도시각장애인의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위하여 돌봄제공자를 포함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도시각장애인의 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농어촌 취약계층의 사회서비스 수요탐색과 정책함의 (Exploring Social Service Demand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e Vulnerable in Rural Areas)

  • 김윤영;이석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32-345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더욱 열악한 환경에 노출된 농어촌 취약계층에 초점을 두고 사회서비스 영역의 수요를 탐색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농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가구유형별 취약계층의 사회서비스 욕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농어촌 전체, 노인, 장애인, 1인, 노인 1인, 저소득 가구 등이 1순위 사회서비스는 '소득지원서비스'로 나타났고, 아동 가구는 '보육 및 교육 관련 서비스'로 나타났다. 2순위 사회서비스는 전체는 '문화여가향유지원서비스', 노인, 장애인, 노인 1인, 저소득 가구 등은 '보건의료 건강관리 서비스', 아동가구는 '문화여가향유지원서비스', 1인가구는 '일상생활지원서비스'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농어촌 취약계층 맞춤형 사회서비스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농어촌 보건복지 기본계획 등 정부의 도농간 복지 격차 완화 정책의 문제점을 공식부처 간의 협의체계 부재로 보고 농어촌 중장기 정책의 환류기능과 전담조직의 필요성을 논하고 '농어촌 지역맞춤형 사회서비스 제공여건 구축(안)'을 제안하였다.

빈곤계층과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간적 연계성 (Social Geography of Poverty and Social Welfare Services)

  • 배미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7-195
    • /
    • 2007
  • 최근 빈곤에 대한 사회지리학적 연구는 빈곤문제를 완화하고 해결하려는 의지를 반영하여 사회복지서비스와의 연계적 측면에서 이루어진다. 빈곤계층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제공자와 서비스수혜자의 공간적 불일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접근성의 문제는 결과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간적 불평등으로 이어진다. 부산시를 대상으로 빈곤계층과 사회복지서비스의 연계성을 사회지리학적 입장에서 연구한 본 연구의 결론도 이와 같은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간적 한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급성장한 사회복지서비스의 양적 증대에도 불구하고 빈곤계층과 사회복지서비스시설간의 입지적 불일치는 상대적으로 복지서비스 공급에 있어서 과잉 및 과소지역을 초래하였다. 복지서비스의 과소공급지역을 중심으로 빈곤계층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고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간적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빈곤계층의 공간적 수요를 감안한 사회복지서비스시설의 유연적인 입지적 재분배가 요구된다.

대만 어린이암재단의 활동 (The Activities of Childhood Cancer Foundation in Taiwan)

  • Lee ChungHsiang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2권1호
    • /
    • pp.182-192
    • /
    • 2002
  • Childhood Cancer Foundation of ROC(CCFROC) has been founded since 1982. Its goal is to provide comprehensive care for cance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nd in turn, under the provision of good and complete care, they can be back to the school and society. To achieve this goal, it needs to get every body's effort of the society together. The foundation has been founder under this concept and tried to fulfil this task. The first step is to educate the public to know that childhood cancer can be cured and the process of treatment is long and expensive. In order to reach this life-saving procedure, campaigns for raising money is most important thing. Then, pediatric hematologists / oncologists try to organize study group, named Taiwan Pediatric Qncology Goupp(TPOG), to make treatment protocols for childhood cancers. Its primary purpose is to increase the cure rate to prove the earlie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the better the prognosis. The second step is to provide full support of medical expenses and further to give help for emergent need to living. Through the varieties of active exercises of cancer children or families, foundation provides opportunities for them to share the experience during the different periods of diseases. The third step is to extend the scope of training activities for many kinds of personnel who devote to the care for cancer children. On the other hand, it promotes the cooperation or communic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sets up recreation playing ground in the communities. The aim 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care for cancer children during their education, breeding and even accomplishment period. Besides the financial support of medical care, it provides social services to give psychological support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to strengthen doctor-patients or doctor-families relationship. The foundation provides the mourning religious activities to cherish the memory of their children who passed away and to comfort their sadness. Since the childhood cancer is curable, its treatment should be active, comprehensive and it needs to provide to all cancer children without exception. Indeed, the work of CCFROC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different time period. But, it needs the full support from the society. We hope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work will be more extended and its achievement will be better than now in the future.

  • PDF

저소득 모자가족 아동방임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Intervention Program on the Child Neglect of Low-income Female-headed Families)

  • 박영희;신혜섭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4권
    • /
    • pp.146-177
    • /
    • 2001
  • One of the difficulties of female-headed families face is economic hardship. Low-income single mothers work long hours, become isolated and feel burdened for dual roles. And many of them don't have relatives to share parenting roles. As a result, children of low-income female-headed families are easy to be neglected and left to form a delinquency-prone group in neighborhood. Traditionally, it has been viewed that children in female-headed families have problems due to the loss of father role. However, study indicates that these children can adjust well i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is consistent and adequate. An Intervention program for low-income female-headed elementary children was developed and delivered in two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raise self-esteem. Two goals were 1) management of daily living habits and 2)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 Social workers maintained contact with mothers to talk about children's behaviors and to prompt hugging and touching. In addition, workers helped children to form good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school teachers. Children we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eir family relations were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wilcoxon signed rant test z=-2.934 p<.05). However, their self esteem were not improved significantly (wilcoxon signed test z=-1.173 p>.05). Qualitative analysis of each children were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Intervention programs need to be delivered separately for low-grade and high grade elementary children because they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needs. The program also need to include education on sex and marriage as well as aggression reduction. Society needs to provide more support to single mothers for their personal and parenting needs.

  • PDF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상담 필요성 인식 관련 요인의 탐색 (Factors related to the Awareness for the Needs of Family Counseling for Married Immigrant Women)

  • 김현수;최연실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7권3호
    • /
    • pp.435-456
    • /
    • 2012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상담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상담의 지원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2010년도 전국다문화실태조사자료를 사용하여 결혼이주여성 총 58,072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 한국어 능력, 사회적 지지, 가족관계 만족도, 가족상담 경험 유무를 중심으로 가족상담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은 가족상담에 대해 보통 수준으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한국어 능력 수준도 중간 수준이었다. 사회적 지지원이 한국인, 모국인 모두 2명을 넘지 않았고, 배우자, 자녀, 시부모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에 따른 가족상담 필요성 인식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선족, 중국, 일본 출신의 여성들은 가족상담 필요성 인식이 낮았고,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 등 동남아 출신 여성들은 가족상담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들은 연령이 어리고, 본인의 학력이 높고, 배우자의 학력이 낮고, 결혼지속년수가 짧고, 자녀가 많고, 배우자 부모와 동거하고 있고, 스스로 배우자를 만나지 않았을 경우, 가족상담에 대한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어 능력이 낮고, 사회적 지지원으로 한국인의 수가 적고, 배우자와의 관계에 불만족하고, 자녀와의 관계에 만족하고, 상담에 대한 경험이 있는 경우 가족상담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 청년 노동자의 노동시장 불안정 연구 (A Study on Labor Market Precariousness of the Working High School Graduate Youths)

  • 남재욱;김영민;한기명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221-262
    • /
    • 2018
  • 본 연구는 고졸 청년 노동자들이 가정환경, 진로 모색, 노동시장 진출, 경력 형성 과정에서 겪는 빈곤, 차별 등의 삶의 경험을 탐색하여, 이들이 어떤 불안정성을 경험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저임금 고졸 청년 노동자'라는 경계를 가진 체계를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형적인 고졸 청년 노동자들은 원가족의 경제적 상황의 영향 속에서 대학 비진학을 선택하고, 진로에 대한 충분한 탐색 없이 노동시장에 밀려나오듯 진출한다. 고졸 청년 노동자들은 경제적 압력 속에서 근로를 지속하지만, 대부분 저임금 비숙련 일자리로 장시간 노동에 시달리며, 숙련에 투자하거나 경력을 축적하지 못한다. 이처럼 경제적 빈곤이 시간적 빈곤으로, 시간적 빈곤이 인적자본의 빈곤으로 이어지는 상황은 고졸 청년 노동자들의 상황이 시간이 지나도 나아지지 않는 상황을 초래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대부분은 기존의 청년 대상 고용 및 소득지원 정책에서 소외되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고졸취업자에 대한 이행지원, 직업훈련 교육 및 진로모색 지원, 일하는 청년에 대한 소득지원, 사회적 관계망 지원, 사회보험 사각지대 축소, 학력에 대한 인식변화를 위한 지원 등의 포괄적 정책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지역사회보호체계를 위한 수요자와 복지서비스 전달자의 노인주거 서비스 요구도 - 노인공동생활주택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보호의 체계화 - (The Elderly and Social Worker′s Needs for Housing Services in Community Care - To Develop Senior Congregate Housing in Community Care -)

  • 홍형옥;지은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2호
    • /
    • pp.1-12
    • /
    • 200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search for the direction to develop housing service which assists the older people to live independently in their community and provides the systematization of community car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include 533 older people between the age of 60 to 79 residing in Seoul and 84 welfare officials at a dong(in)-office and 67 social workers working at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oth demanders and deliverers recognized that housing service for older people was necessary for community care, and, in particular, the deliverers had higher degree of necessity as people charged in welfare service. The most needed service was community alarm service which currently is proceeded partially for low-income and living-alone olders. It needed to expand the scope of the people to be served. It appeared that the need for inside safety measures rather than for housing space or structural problems. It requires less effort and cost for those who need simple repair, such as safety grips or slippery protection, and safety checks. Among financial support services, the need for tax benefits appeared the most necessary service for the older people. It suggested that more 'direct' financial support service is needed for the elderly people.

빈곤노인의 경제활동 결정요인 연구 (Determinants of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Poor Elderly)

  • 이성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3호
    • /
    • pp.39-5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determin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oor elderly in economic activity. This study analyzed secondary data of the second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poor elderl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age, gender, region, public assistance, education, health status, chronic illness, contacts with acquaintances, and support from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The study's findings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services. The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an age- and gender-specific approach to promoting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y among the poor elderly. Regional differences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creation of work opportunities for older adults. In terms of human capital, the positive effect of good health indicates that strategies are needed to address the needs of older adults with health issu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more jobs for elderly job seekers with high levels of education. Finally,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should explore interventions for enhancing the social network involvement and community support for the elderly living in pover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