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Science Teachers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27초

ENACT 프로젝트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변화 탐색 (ENACT Project: Promot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Scientists and Engineers)

  • 이현주;고연주;홍지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1-125
    • /
    • 2022
  • ENACT 프로젝트는 과학기술과 관련한 사회쟁점(SSI)에 관심을 갖고 쟁점해결에 참여해보는 경험을 통해 사회적 책임감을 함양하는 교육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서는 ENACT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탐색해보았다. 32명의 예비 과학교사가 비교과활동으로 약 3개월에 걸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ENACT 모형 즉, 쟁점발견, 쟁점탐색, 미래상황 예측, 과학·기술·공학적 쟁점해결, 사회적 실천의 5단계에 따라 진행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 혼합연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인식을 측정하는 검사도구(VSRoSE)와 조별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예비 과학교사들은 VSRoSE 전체 및 8개 하위요인 중 5개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각 하위 요인별 예비 교사들의 면담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론적 탐색을 강조하는 Cycle I과 쟁점해결과 실천을 강조하는 Cycle II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갖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프로젝트 참여 전 과학기술이 인간과 환경,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에 초점을 두었던 예비 교사들의 인식은, 프로젝트 참여 후 사회적 필요와 요구를 반영하고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대중과 협력·소통하며 정책에 참여해야 하는 것까지 확장해서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위 결과를 기반으로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교육과 교사교육에 있어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살펴본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3~4학년군 검정 교과서의 과학자 제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Depictions of Scientis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Authorized 3rd-4th Grade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 채희인;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770-782
    • /
    • 2022
  • 본 연구는 학생들의 바람직한 성 역할 인식과 가치관 형성을 위하여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3~4학년군 검정 교과서의 과학자 제시 실태를 양성평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교교육 현장에 적용될 2015 초등학교 과학과 5~6학년군 검정 교과서와 새롭게 적용될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검정 교과서 개발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2년에 초등학교 3~4학년군에 처음 적용된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서 7종에 포함되어 있는 과학자의 성별 제시 실태를 분석하고,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현직 초등학교 부장교사 3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32명의 교사에게 본 연구와 관련한 설문의 응답을 받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체 23명의 과학자 중 여성 과학자는 3명(13.0%)이었고, 단원별로 살펴보면 탐구 단원에 10명(43.5%)의 과학자가 제시되어 있어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자의 성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남성 과학자에 비하여 여성 과학자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교직 기간 중 여성 과학자와 관련된 지도 경험이 없거나 매우 적었다. 또한 교사의 성별에 따라 교과서의 과학자 제시 비율 개선에 대한 인식이 상당히 다른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제작 과정에서 과학자의 성비와 관련하여 집필진 및 사회구성원의 합의가 필요하고, 교과서의 경우 공교육 제도 내에서 사용되는 교재이기 때문에 보다 양성평등적인 측면에서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은 과학자들의 업적을 발굴하고 소개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 (Nurses′ Image Perceived by Academic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Korea)

  • 강혜영;고미혜;양진주;김선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92-801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es' image and its related factors to make nurses' image among academic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Korea. Method: Study samples were composed of 470 teachers who were from 12 high schools in G and J city located in southwestern part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6 to October 4, 2002.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otal scale was Cronbach's $\alpha$=.940. Result: In order to make nurses' image, 76.4% of respondents were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f their hospitalization in visiting hospitals. The mean score of nurses' image in general was 3.19$\pm$0.55; in four subcategories, 3.46$\pm$0.60 for professional image, 3.28$\pm$0.69 for traditional image, 2.93$\pm$0.70 for social image, and 2.91$\pm$0.64 for vision of nursing career. The mean score of nurses' image in general was more positive significantly in the 50's age group (F=6.43, p=.002) and in male groups (t=2.92, p=.002).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nursing professionals need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aspiration in job, and autonomy of nurses in their practice fields, monitor the mass media and other publishing materials continuously, and share the appropriate information on nursing profession to the school teachers and the public.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 실태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Efficacy on Mathematics Teaching)

  • 강문봉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53
    • /
    • 2016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한 것이다. 강문봉과 김정하가 개발한 효능감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3개 교육대학의 수학교육과 2학년과 4학년 16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초등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은 약간 긍정적인 수준에 있으며, 남녀 또는 고등학교 때의 이수 계열이나 대학교의 학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지역간에 어느 정도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특히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신념은 다른 요인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 정체성과 직무 스트레스 (Job Identity and Job Stress on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 오진아;권진옥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41-350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enhancing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professional job performance by analyzing their job identity and job stres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8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registered at the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22nd to 23rd of July, 201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il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17.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percentiles of job identity and job stress were 70.6 and 64.0 respectively. Among the sub-factors of job identity, autonomy was highest as 73.5, and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job demand was highest as 73.9.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job identity and job stress according to education status, the number of classes, job satisfaction, enthusiasm for work, and the image of nursing teachers expressed in a word.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21.2% of the variance of job identity. job stress explained 32.0% of the variance.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comprehensive programs for improving job identity and managing job str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systems including persons, promotion and rewards to school health teachers.

보육교사의 안전에 대한 태도, 지식, 실천 및 관련요인 (Attitude, Knowledge, and Practice of Safety and Related Factors of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 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43-53
    • /
    • 2005
  • Purpose: To investigate the attitude, knowledge, and practice of safety and related factors of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Methods: The total sample consisted of 116 teachers from child care centers in Kyunggi Province. A questionnaire and checklist were used to collect data, which was analyzed with SPSS 11.5 Win program. Results: Most of the teachers were anxious about child accidents, and thought of safety as a primary concern. The mean score for knowledge on safety was 10.23, and the rate of correct answers ranged from 34.8% to 98.3%. The mean score on practice of safety was 42.01.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safety efficacy. Teacher's knowledge on safe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safety education, but this did not apply to safety practice. Safety practi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onfidence in safety performance, health beliefs on safety, stress, and social support, but not related to knowledge of safety. Conclusion: Psychosocial facto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safety practice. Related factors found in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when providing safety programs for child care centers.

  • PDF

과학교사들의 교사모임에의 참여 경험과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Identity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Involved in Teacher Communities: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ty of Practice")

  • 김효정;정가윤;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90-40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모임을 실천공동체의 한 형태로 보고, 과학교사모임에서 주요 활동을 하고 있는 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교사모임 참여 경험과 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참여 교사들의 내러티브를 탐색하기 위해 참여 교사들과 2-3회에 걸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그들의 참여 경험을 Lave와 Wenger의 실천공동체 이론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교사들은 교사모임이라는 실천공동체에 참여함으로 인해 동료들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같은 목적을 공유하고 실천을 구성해나갔다. 이런 과정에서 그들은 공동체 속에의 몰입을 경험하며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본인의 잠재된 능력을 발휘하고 지식을 구축해 나갔다. 참여 교사들은 교사모임에서 자신이 체득한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해 단순히 이야기 하는 것을 넘어, 자료집을 개발하거나 연수를 실시하는 등 지식과 경험을 객체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교사모임의 정체성을 더욱 뚜렷하게 할 뿐만 아니라 모임에 참여하는 교사들이 다양한 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교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도록 도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교육에 대한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온라인 학습판단 시스템을 활용한 e-러닝 동영상 수업의 효과연구 :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video class using the online learning judgement system : Focused on the social studies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 김지현;정재범;조재춘;임희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41-148
    • /
    • 2019
  • 초등 e-러닝 동영상 수업에서 교육적 효과성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교육용 동영상의 활용빈도가 높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동영상 자료에 대한 학습판단은 중요하지만 판단을 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현장의 문제점을 해결해 보고자,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 수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온라인 학습판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영상 학습을 하였고 비교 집단에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동영상 학습을 진행 하였다. 실험 결과, 온라인 학습판단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 만족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교수자의 수업 만족도는 교수자들의 수가 적어 유의미한 통계 분석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으나 평균값은 실험집단의 교수자의 수업 만족도가 높으며, 편차는 실험집단의 교수자 결과가 작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eachers' Negative Attitudes and Limited Health Literacy Levels as Risks for Low Awareness of Epilepsy in Turkey

  • Gulay Yilmaze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6호
    • /
    • pp.573-582
    • /
    • 2023
  • Objectives: For students with epilepsy, schools are a critical environment for managing the disease properly. This study examined awareness of epilepsy, attitudes toward epilepsy, and health literacy among school teachers in Turke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city in Turkey with 1408 public school teachers from June 2021 to September 2021. Results: The median scores of the scales were 5, 29, and 32 for epilepsy awareness, epilepsy attitudes, and health literacy, respectively. Epilepsy awareness was higher in women, and epilepsy attitudes were more positive in women than men (p<0.05). While epilepsy awareness was higher in primary school teachers, epilepsy attitudes were more positive in secondary school teachers (p<0.05). Epilepsy awareness was lower in secondary school teachers (odds ratio [OR], 1.27; p<0.05), those who did not have an individual with epilepsy in their family/social environment (OR, 1.57; p<0.001), those who did not have a student with epilepsy in their class (OR, 1.45; p<0.05), and in those who had not witnessed an epilepsy seizure (OR,1.19; p<0.05). Compared to those with positive attitudes regarding epilepsy, epilepsy awareness was 1.36 times lower in those with negative attitudes (p<0.001). Epilepsy awareness was 1.92 times lower in those with limited health literacy than those with adequate health literacy (p<0.001). Conclusions: In this study, low epilepsy awareness, negative epilepsy attitudes, and limited health literacy were common among teacher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panels, workshops, and health training on epilepsy should be organized for school teachers and included at regular intervals in certified first-aid practices.

유아기 아동의 사회적 능력: 수줍음 및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과의 관계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ts Relations with Their Shyness and M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n's Peer Relations)

  • 서유진;최미경;도현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5호
    • /
    • pp.239-249
    • /
    • 2006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children's shyness and m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n's peer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children's shyness and maternal involvement in children's peer relation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195 mothers of 3-year-olds and their 13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obtained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shyness, parental involvement, and social competence. Findings revealed that shy children showed less popularity leader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both boys and girls. The more orchestrations mothers exerted, the more popularity leadership boys showed. And the more advice and support mothers provided, the more interpersonal adjustment girls showed. For boys, shyness was more influential on popularity leadership than maternal orchestrations wer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ole of shyness in children's early social competence for both boys and gir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