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Role Image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2초

사회복지사의 "가족" 담론 연구 (A Study on the Family Discourses in Social Workers)

  • 김인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6권2호
    • /
    • pp.53-70
    • /
    • 2004
  • 본 연구는 가족실천을 하는 사회복지사들이 가지고 있는 가족담론의 내용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족실천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들이 가지고 있는 가족담론의 내용과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담론과 실천의 연관성을 시사받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현장의 사회복지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하였다. 인터뷰 결과 가족실천을 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가족담론은 크게 4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첫째, 사회복지사들은 가족을 사적인 공간으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그 공간은 안식처와 피난처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성별분업 담론은 다소 의식과 실천상에 간극이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성별분업에 공감하고 이를 실천에 적용하는 경향이었다. 셋째, 전형적 가족 이미지는 구조상의 전형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융통성을 두고 있었으나 기능상의 전형성은 성별분업과 모성신화의 이미지에 기울어져 있어 절반의 전형성을 보여주었다. 넷째, 사회복지사들은 가족 유대의 질에 대해 자연적 제도이자 정서적 유대를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본 조사 결과는 사회복지사들이 가진 담론이 실천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준 것으로서 사회복지실천이 과학적 지식과 기술만을 적용한다는 이미지에서 담론적 혹은 해석적 실천일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해 주었다.

  • PDF

Role of Social Capital and Consumer Citizenship on Sharing Economy Participation on O2O Retail Platforms

  • YOON, Sung-Joon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10호
    • /
    • pp.55-6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mpirically validates a research framework encompassing predictors hypothesized to affect the participation in sharing economy on O2O retail platform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examines the role of consumers' social capital and consumer citizenship as a net promoter of retail sales increase of sharing economy product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o collect data from 400 adult consumers with previous experience of sharing economy who reside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and Kyonggi Province, Korea. This study appli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proposed as research hypotheses. Results: The study found a significant impact of social capital on sharing economy participation and the impact of consumer citizenship on sharing economy participation in retail settings.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social identity and corporate imag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citizenship) and sharing economy participation.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sharing economy's key success factors. The study results offer significant strategic implications for retail platform operators and individual retail operators of sharing economy.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이 제품브랜드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onsumers' Knowledge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Brand Evaluation: Focusing on Chinese Consumers)

  • 박경신;이수영;박선래
    • 지식경영연구
    • /
    • 제12권5호
    • /
    • pp.89-100
    • /
    • 2011
  • Both industrial interest and academic research are increasingly focusing on the need to institute a business environment whereb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ssumes a major role. It is suggested that four kinds of responsibilities constitute total CSR: 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responsibilities. Consumers tend to obtain positive perceptions toward the companies which collectively or partially fulfill these responsibilities. Moreover, the company image transfer process is the influence of consumer attitudes toward certain brands on overall evaluation of the company. To understand the image transfer process, we examine the influence of CSR level evaluation on overall brand evaluation in China, where active competitions among global brands exist.

  • PDF

사회적기업에 대한 대학생의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SEN 동아리를 중심으로 (Congruity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lf-Image on the Satisfaction to Social Enterprise: Focused on SEN Clubs)

  • 이일한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5호
    • /
    • pp.175-185
    • /
    • 2019
  • 최근에 사회적기업은 많은 관심과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회적기업은 여전히 사업규모가 영세하며, 정부의 재정지원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문 경영마인드를 갖춘 인력 부족과 여전히 소비자의 낮은 인지도 문제 등 많은 어려움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소비자 인지도 향상을 위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지만 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아직까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사회적기업의 이미지와 소비자의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고객만족과의 인과관계, 둘째, 사회적기업의 제품에 대한 기능적 성과와 소비자의 기대수준의 기능적 일치성과 고객만족과의 인과관계, 셋째, 사회적기업 제품이 내포하는 사회적 가치와 소비자의 가치 일치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넷째, 고객만족이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수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기업 동아리 소속 여부의 조절적 역할을 확인하여 사회적기업의 마케팅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 일치성과 가치 일치성은 사회적기업의 제품에 대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이미지 일치성은 사회적기업의 제품에 대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기업 제품에 대한 고객만족은 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 동아리 소속여부는 자아이미지 일치성, 기능적 일치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만족이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감도를 높이는 조절변수로 나타나 사회적기업에 대한 만족에 있어 동아리 활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제고와 사회적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차별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기업연상이 소비자의 자아연관성과 개별브랜드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ndividual Brand Loyalty and the Self-Corporate Connection Induced by Corporate Associations)

  • 최낙환;박덕수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5-15
    • /
    • 2011
  • 이 연구는 기업연상의 유형을 기업능력연상과 사회적 책임연상으로 구분하고, 기업연상의 유형에 따라 기업과 연관되는 소비자의 자아 유형이 다르며, 기업과 소비자의 자아와의 연관성이 기업의 개별브랜드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기업능력연상이 자신의 능력이나 개인적 성공의 관점에서 자신의 개인적 자아와 연관성을 형성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연상은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 관련된 소비자의 사회적 자아와의 연관성을 형성함을 탐색하고, 소비자의 개인적 자아 및 사회적 자아와의 연관성은 기업과의 동일시를 유도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인적 자아연관성은 기업의 개별브랜드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또 동일시를 통하여 개별 브랜드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침을 탐색하였다. 그런데 사회적 자아연관성은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동일시를 통하여 개별 브랜드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침을 탐색하였다.

  • PDF

정보시스템 수용모델에 있어서 사회적영향의 조작화와 역할 (The Operationalization and Role of Social Influence i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양희동;권순동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7-113
    • /
    • 2003
  • In numerous studio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TAM ), the social Influence construct has been operationalized as subjective norm. This study Proposes to stretch two construct to Include two more constructs : image and visibility. This paper also questions about the paths regarding this comprehensive construct. Due to the controversies regarding the significance of social Influence on IS usage, this study taps the possibility that social influence works as an antecedent to PU (Perceived Usefulness) and PEU ( Perceived Ease of Use) We could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s depending on how social Influence Is operationalzied.

Semiotic Interpretation of Beauty Camera App Interface Design Elements: Centered on Roland Barthes' Semiotics

  • Yongfeng Li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213-224
    • /
    • 2024
  • This study utilizes Roland Barthes' semiotic theory to explore how interface design elements of beauty camera apps, such as filters and stickers, icons and buttons, layout and structure, function as symbols of self-expression, and their impact on users' social identity and personal image. Through in-depth analysis of applications like BeautyPlus, Ulike, MeituPic, and Faceu, this research found that these apps emphasize usability, visual appeal, and social interactivity in their design. These elements not only enhance user experience and operational efficiency but also reflect popular cultural trends and aesthetic preferences. From Barthes' perspective, these interface elements have become "myths" with specific social meanings, which are naturalized in daily use and promote the widespread acceptance of particular aesthetic standards. These interface design elements are not just tools for self-expression; they are also powerful cultural symbols that shape modern social interactions and visual culture. This research offers a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in the digital age, emphasizing the role of technology, culture, and social interaction in shaping contemporary human behavior and social relationships.

의복유형과 헤어스타일이 남성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othing Type and Hair Style on Men’s Impression Formation)

  • 임남영;강승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3호
    • /
    • pp.340-35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lothing type and hair style on men’s impression format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4×2×2×2 (clothing type×hair style×perceiver’s age×perceiver’s role) factorial design with between-subjects design. The stimuli of color photographs of male in his 20's model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ere use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881 men and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 SPSS package was used for data analysis which includes factor analysis, t-test, and Cronbach’s a to measure the reliability.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our factors were derived to account for the dimensions of impression formation. These were dignity, activity, individual character, and social intercourse. Men evaluated individual character factor higher than women did. Dignity factor was evaluated higher by students, while social intercourse factor was evaluated higher by office workers. The clothing type of shirts/pants was evaluated to be more active and more sociable than of jacket/pants. Men wanted to exhibit natty image and women did elegant image through clothes.

  • PDF

브랜드 진정성과 자아-브랜드 연결성이 소셜 미디어에서의 고객 인게이지먼트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Brand Authenticity and Self-Brand Connection on Customer Engagement and Loyalty in Social Media)

  • 이윤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0권4호
    • /
    • pp.65-76
    • /
    • 2023
  • On social media, companies create brand experiences while customers actively seek, consume, and generate brand-related content. Customer engagement plays a vital role in the marketing performance of social media-driven brands. This study explor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uthenticity, aligning brand identity with image, and self-brand connection, aligning brand identity with consumers' self-concepts, on customer engagement and its subsequent impact on brand loyalty. The study surveyed 243 consumers engaged with brand-related social media content, validating hypothes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confirmed that brand authenticity and self-brand connection positively affect customer engagement, which, in turn, boosts brand loyalty.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mpanies enhancing brand authenticity and self-brand connection to drive customer engagement, wi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provided.

기업의 문화지원 활동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이미지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rporation Cultural Support Activities in Customer Loyalty : Focus on Mediating Role of Corporate Image)

  • 황낙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1-54
    • /
    • 2019
  • 본 연구는 기업의 문화지원 활동이 기업이미지 요인인 비즈니스 행동, 사회적 책임 행동, 기업 공헌 행동 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기업이미지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문화지원 활동으로 형성된 기업이미지는 고객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의 문화지원 활동은 기업 경영 차원에서 활용가치가 높아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는데 최적화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문화지원 활동을 기업의 마케팅 수단으로 문화와 예술 분야에 지원하고 후원하는 간접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공연이나 문화 행사를 기획하고 연출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직접적인 지원 형태를 실천함으로써 진정성 있는 사회적 책임과 사회 공헌 활동 전략을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업이미지에 효과적으로 작용될 수 있는 문화지원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집중적으로 지원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비즈니스 행동과 사회적 책임 행동의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은 물론 문화적인 기업으로 형성시켜 기업 공헌 행동의 이미지까지 인식시킬 수 있는 문화지원 활동을 전략적으로 연구하고 개발하여 실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업은 이윤 추구를 목표로 하는 조직이지만 기업이 사회적 책임과 공헌 활동을 계획하고 지속적으로 실행하여 사람과 소비자를 우선하는 기업의 이미지를 심어줄 필요성이 있다. 이후 문화지원 활동을 기업의 이윤 추구와 연관성을 고민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고려하여 구축한다면 긍정적인 기업이미지와 고객충성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이윤 창출까지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