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Dating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17초

모바일 앱 기반 소셜 데이팅 콘텐츠의 분석과 설계 (Analysis and Design on Mobile Application Based Social Dating Contents)

  • 이효정;최윤호;이병엽;이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336-345
    • /
    • 2014
  • 온라인데이팅에서 변화된 소셜데이팅 서비스에 대해서 개념, 현황과 시장규모,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율이 높아지면서 데이팅서비스의 영역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온라인데이팅은 소셜데이팅 혹은 소개팅 어플리케이션이라는 새로운 콘텐츠 시장으로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셜데이팅 어플리케이션 시장에 대한 현황과 개념을 정리하고 관련한 문헌과 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소비자들에게 주로 사용되고 있는 소셜데이팅 어플리케이션을 특징별로 분류하였다. 성공적인 사례에 대한 비교 분석과 비지니스 모델 분석 등을 수행함으로써 소셜데이팅 어플리케이션이 가진 문제점과 개선해야 하는 기능들은 정리하였으며, 분석된 경쟁전략을 적용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기반을 둔 신규의 소셜데이팅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설계하고 서비스발전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간호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가해경험과 폭력허용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융합적 관계 (The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Dating Violence Experience, Violence Tolera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정계현;강미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3-4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가해경험, 폭력 허용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충청권 소재 5개 대학교에서 편의 표집된 간호학과 대학생 219명에게 자가보고 형식의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chi}^2$ test,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데이트 폭력 가해경험이 높을수록 데이트 폭력 허용도가 높고(r=0.31, p<.001), 데이트 폭력 허용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부정적임(r=-0.26, p<.001)을 알 수 있었고, 학과 만족도와 음주 정도가 데이트 폭력 가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데이트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데이트 폭력 허용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데이트 폭력 예방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노인의 이성교제에 대한 태도 연구 I (A Study of the Elderly's Attitudes to Dating in Later Life)

  • 장진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31-5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 the attitudes of elderly people to dating.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of the elderly's attitudes to dating based on demographic, family relation, and social relation variables. Attitudes to elderly dating in this study included the perception, necessity, and difficulty of elderly dating. The sample consisted of 689 elderly Korean peopl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t-test, and F-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derly attitudes to dating according to demographic, family relation, and social relation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in the results section an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 Study on Effect of the Elderly Living Alone's Date upon Psychological Loneliness and Happiness

  • Jung, Myung-Hee;Joo, Min-Kyung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3호
    • /
    • pp.23-36
    • /
    • 2017
  • Purpose - In this study, dating in the elderlys' life gave satisfaction: for elderly men, dating gave them self esteem, and in wome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real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ating in the elderly on their happines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se days, the elderly population rapidly increased to produce a social issue and studies of such in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are limited. The elderly has lost roles in the society because aged people give up human reason and love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expectations of them. Subjects in this study were related with investigating the elderly's dating life, loneliness and happiness. Results - The date life of the elderly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psychological loneliness. Hypothesis was adopted and results showed the degree of elderly's dating lif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psychological loneliness (.230**) to account for 13.2% of psychological loneliness. Needs of dating elderly had influence upon psychological loneliness. Conclusions - Psychological loneliness was mediated with dating in the elderly for opportunity and happiness. Hypothesis was that the dating had influence upon happiness. As a result, date opportunity, degree, needs and friendlines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happiness.

청소년들의 데이트 폭력 가해 행동에 대한 사회학습적 변인들과 분노의 역할 (The Role of Anger and Variables from Social Learning Theory in Inflicting Dating Violence among Adolescents)

  • 서경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8권2호
    • /
    • pp.1-1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데이트 폭력과 관련변인들의 성차를 알아보고, 데이트 폭력 행사 경험이 있는 집단과 데이트 폭력 행사 경험이 없는 집단간의 특성분노와 분노표현의 차이를 분석해 보았다. 아울러, 로지스틱(logistic) 회귀분석을 통하여 데이트 폭력을 예언변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남자 청소년들(29.1%)보다 여자 청소년들(41.9%)이 데이트 폭력을 행사해 본 경험이 더 많다고 보고했다. 여학생들이 데이트 폭력에 대해 남학생들보다 더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교에서의 폭력경험은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트 폭력 행사 경험이 없는 청소년들보다 데이트 폭력을 행사해 본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특성분노와 분노표출 수준이 더 높았다. 남학생들의 데이트 폭력을 예언하는 변인들로는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행하는 폭력, 폭력환경에 대한 노출, 특성분노 및 데이트 폭력 피해인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들의 경우에는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행하는 폭력, 폭력환경에 대한 노출, 학교에서의 폭력 행사 경험, 데이트 폭력 피해가 데이트 폭력의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데이팅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Violence on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 정혜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73-91
    • /
    • 2003
  • This research tested the path model which examin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family violence experience on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Two family violence variables such as witnessing parents' marital violence and being abused by parent were the exogeneous variables in the path model, while the mediated variables were consisted of (1) the social-learning-theory-derived variables such as acceptance of violence, positive outcome expectations of using violence, and aggressive conflict-coping behavior, and (2) control-theory-derived variables such as attachment, belief, and commitment. Data were fro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332 male and 469 female students selected by stratified quota sampling method. The path analysis was done for males and females separately, since female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dating violence than males.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first, for both males and females, being abused by parents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dating violence, while witnessing parents' marital violence did not have effect on dating violence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Second, for male students, acceptance of violence and conflict coping behavior found to be the mediated variables in the effect of being abused by parents on dating violence. Third, for females, a control-theory-derived variable of belief as well as all three social learning theory-derived variables mediated the influence of being abused by parents on dating violence.

데이트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몰입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Controlling Behavior in Dating Relationships: The Mediation Effect of Self-Absorption)

  • 박은선;박지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30권1호
    • /
    • pp.35-53
    • /
    • 2024
  • 데이트폭력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됨에 따라, 본 연구는 데이트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특히 내면화된 수치심의 네 가지 하위요인(부적절감, 공허, 자기처벌, 실수불안)과 통제행동 간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인 자기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20-30대 미혼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몰입을 더 많이 하고, 데이트 관계에서 상대에 대한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또한, 자기몰입을 더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데이트 관계에서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의 하위요인(부적절감, 공허, 자기처벌, 실수불안)과 통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몰입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스스로에 대해 부적절감이 높을수록, 공허감을 많이 느낄수록, 자기처벌을 많이 할수록, 실수불안이 클수록 자기몰입을 더 많이 하며, 자기몰입을 많이 할수록 데이트 관계에서 상대방에 대한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데이트 폭력의 공격적 피해여성들의 특성과 연인관계에 대한 개입 (Characteristics of Aggressive Victims of Dating Violence and their Commitments in Dating Relationships)

  • 서경현 ;안귀여루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2호
    • /
    • pp.77-9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트 폭력 피해여성, 특히 공격적 피해여성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이 연인관계를 형성하고 그것에 개입하는 방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데이트 경험이 있는 526명의 여대생들이었고, 그들의 연령 분포는 18세에서 37세(M=20.10, SD=2.70)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Straus의 갈등책략척도, Foo와 Margolin의 데이트 폭력 정당화 척도, 정진경의 한국판 성역할 검사, 이경성과 한덕웅의 상호이해, 관계만족 및 관계개입 척도이다. 분석 결과, 순수 피해자보다 공격적 피해자가 심하게 구타당하는 경우도 많지만 약한 정도의 신체적 가해를 당하는 비율도 상당히 높았다. 반면에 공격적 피해자보다 순수 피해자가 성폭력을 당하는 비율이 높았다. 공격적 피해자가 데이트 폭력 미경험자보다 아버지의 가정폭력을 목격한 경험이 많았다. 데이트 폭력 피해 여성이 데이트 폭력 미경험 여성보다 데이트 폭력에 관해 관대한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데이트 폭력의 피해여성이 미경험 여성보다 관계에 더 개입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데이트 폭력 피해를 예방하고 피해자의 추후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청소년의 사이버 데이팅 폭력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the Cyber Dating Violence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박옥임;배영숙;김정숙;김종성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5-73
    • /
    • 2005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of cyber dating violence. The subjects were 548 adolescents in high schools. The gathered information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 1-test, ANOVA, and Correlation by using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65.3{\%}$ of the answerers experienced cyber dating, and $44.5{\%}$ of the students have experienced cyber dating violence. (2) $40.3{\%}$ of the students were damaged by psychological violence, and $21.1{\%}$ of the students have caused psychological violence. (3) $41.9{\%}$ of the damaged students and $18{\%}$ of the perpetrating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total answerers, but among 244 experienced students, $94.3{\%}$ were damaged students and $40.6{\%}$ perpetrated sexual violence, so it is concluded that experienced students experience sexual violence. (4) Looking over the social demography factors and cyber dating violence, boys rather than girls, and vocational school students rather than academic school students have more cyber violence experiences. (5)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ll cyber violence experiences.

  • PDF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성별 및 전공계열에 따른 요구의 차이 (Differences in the Needs According to Gender or Major for Development of the Prevention Program for Dating Violence of University Students)

  • 김래은;구상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78-18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대학생의 성별 및 전공에 따라 데이트 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요구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에 재학 중인 인문사회계열 및 보건계열 학생들로, 남학생 220명, 여학생 131명, 총 351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데이트폭력에 대한 교육시기,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에 대한 설문을 제작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성별 및 전공에 따라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교수법의 요구는 오픈 카카오톡을 활용한 개인 상담과 체험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모든 하위요인 내용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에 따른 데이트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교수법의 요구는 오픈 카카오톡을 통한 개인 상담과 체험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보건계열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 학생들보다 데이트 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모든 하위요인 내용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