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Contribution

검색결과 709건 처리시간 0.029초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의 실증적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irical Analysi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 정순석;김광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1-166
    • /
    • 2011
  • This study proposes a priority model for program directors in charge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to make the best decision. This empirical analysis aims to discover the most significant area among various program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is used to test the priority model. The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how the model helps providing better decision choices in corporate practices. The priority preference in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programs among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ractitioners, PR professors and NGO activists are studied for their priority on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rograms, among they valued com mon benefit social activity most important.

AHP에 의한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The Priority Analysis on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by AHP)

  • 정순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1-50
    • /
    • 2008
  • The study proposes a priority model for program directors in charge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to make the best decision. This empirical analysis aims to discover the most significant area among various program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is used to test the priority model. The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how the model helps providing better decision choices in corporate practices. The priority preference in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programs among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ractitioners, PR professors and NGO activists is examined in order to present preferred programs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rograms, which they value the most as a part of overall social welfare.

  • PDF

공공기관의 사회공헌 활동 현황 분석 연구 -혁신도시내 공기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ocial Contribution Aactivities of Public Institutions]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in Wonju Innovation City-)

  • 이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61-370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공헌에 대한 기존 연구자료를 통해 사회공헌의 중요성과 그동안의 진전과정을 살펴보고 강원원주혁신 도시내에 입주해 있는 공공기관들의 사회공헌 활동 현황을 분석하였다. 총 14개의 공공기관 중에서 9개 기관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공공기관의 사회공헌 활동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최근의 경향은 단순 기부나 후원 형태의 사회공헌보다는 공익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와 상생 협력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어가고 있다. 둘째, 일회성 단발성 사회공헌보다는 지역사회와 파트너쉽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접근하여야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한다는 점이다. 셋째, 일방적 사회공헌보다는 지역시민사회와 협력하여 사회적 경제를 창출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진로인식과 사회적 기여의식 수준 비교 (Comparison on the Consciousness Level of the Social Contribution and Career Awareness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이화정;권치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0-11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areer awareness and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between the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For this, survey was taken by 201 gifted students and 216 general students. Methods used are Cronbach alpha, frequency, percentage,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gifted students have higher career awareness than the general students. The gifted students recognize their own interests, aptitudes and talents which they are concerned. 2. The gifted students have higher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than the another. This shows that the gifted students have desire to be respected and positive view of social contribution. 3.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awareness and the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past studies, students' household economic status affect their view or grade which they get..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a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career awareness and social contribution consciousness which can improve gifted students' soci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is necessary.

기업의 사회공헌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rporate Social Activities of Business)

  • 임몽택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74
    • /
    • 2006
  • This research tried to grasp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corporation's society contribution activity and grope desirable direction of society contribution activity hereafter. As analysis result, establishment of the responsible department or human power in charge for society contribution activity is insufficient, and depend on contribution activity of simple donation than to administer program directly, result of contribution activity is not linked with corporation's purpose or result and practical use of network with similar organization for society contribution was proved by low. Desirable direction of domestic corporation society contribution activity is as following hereafter based on analysis result. First, corporation must put in good order inside system with an establishment of the responsible department for society contribution, security of human power in charge and introducing education program for training specialist. Second, corporation must select specific field with capacity that corporation is holding and improve result of society contribution activity as concentrated investment. Third, corporation must construct network with various similar group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NPO/NGO and heighten consummativeness of society contribution activity through mutual interchange and cooperation.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사회공헌활동의 매개효과 검증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김수진;김남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771-782
    • /
    • 2021
  • 사회적기업가정신은 조직성과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사회공헌활동은 조직구성원들의 사회적기업 가치 인식과 성과공유에 관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사회공헌활동의 매개효과 검증에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사회적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유효한 186부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은 측정변수의 신뢰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가정신, 사회공헌활동, 조직성과 간에는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가정신은 조직성과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사회적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목적, 진취성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공헌활동은 조직성과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조직성과 간 관계에서 사회공헌활동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기업의 성과향상에 사회공헌활동이 중요한 역할 담당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가상 커뮤니티에서 사회적 자본과 정체성이 지식기여에 미치는 역할: 실증적 분석 (The Role of Social Capital and Identity in Knowledge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 신호경;김경규;이은곤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2권3호
    • /
    • pp.53-74
    • /
    • 2012
  • A challenge in fostering virtual communities is the continuous supply of knowledge, namely members' willingness to contribute knowledge to their communities. Previous research argues that giving away knowledge eventually causes the possessors of that knowledge to lose their unique value to others, benefiting all except the contributor. Furthermore, communication within virtual communities involves a large number of participants with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and perspectives. The establishment of mutual understanding to comprehend conversations and foster knowledge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is inevitably more difficult than face-to-face communication in a small group. In spite of these arguments, evidence suggests that individuals in virtual communities do engage in social behaviors such as knowledge contribu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y individuals provide their valuable knowledge to other community members without a guarantee of returns. In virtual communities, knowledge is inherently rooted in individual members' experiences and expertise. This personal nature of knowledge requires social interactions between virtual community members for knowledge transfer. This study employs the social capital theory in order to account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s and identity theory for individual and group factors that may affect knowledge contribution. First, social capital is the relationship capital which is embedded with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articipants in a network and available for use when it is needed. Social capital is a productive resource, facilitating individuals' actions for attainment. Nahapiet and Ghoshal (1997) identify three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and explain theoretically how these dimensions affect the exchange of knowledge. Thus, social capital would be relevant to knowledge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Second, existing research has addressed the importance of identity in facilitating knowledge contribution in a virtual context. Identity in virtual communities has been described as playing a vital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reputations and in the recognition of others. For instance, reputation systems that rate participants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ir contributions provide a readily available inventory of experts to knowledge seekers.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identities, however,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about how identities in the communities influence knowledge contribution.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knowledge contribution by examining the roles of social capital and identity in virtual communities.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of social capital and identity theory, we develop and test a theoretical model and evaluate our hypotheses. Specifically, we propose three variables such as cohesiveness, reciprocity, and commitment, referring to the social capital theory, as antecedents of knowledge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We further posit that members with a strong identity (self-presentation and group identification) contribute more knowledge to virtual communities. We conducted a field study in order to validate our research model. We collected data from 192 members of virtual communities and used the PLS method to analyse the data. The tests of the measurement model confirm that our data set has appropriate discriminant and convergent validity. The results of testing the structural model show that cohesion, reciprocity, and self-presentation significantly influence knowledge contribution, while commitment and group identification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knowledge contribution. Our findings on cohesion and reciprocity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literature.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commit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knowledge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This result may be due to the fact that knowledge contribution was voluntary in the virtual communities in our sample. Another plausible explanation for this result may be the self-selection bias for the survey respondents, who are more likely to contribute their knowledge to virtual commun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resentation and knowledge contribu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virtual communities, supporting the results of prior literature. Group identific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knowledge contribution in this study, inconsistent with the wealth of research that identifies group identification as an important factor for knowledge sharing. This conflicting result calls for future research that examines the role of group identification in knowledge contribution in virtual communities.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ory development in the area of knowledge management in general and virtual communities in particular. For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y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individual factors would be effective for motivating knowledge contribution to virtual communities.

  • PDF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on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 오덕교;신범철;이의영
    • 국제지역연구
    • /
    • 제20권3호
    • /
    • pp.101-121
    • /
    • 2016
  •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수준과 기업의 재무성과의 관계에 관한 것으로, 현재의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의 미래 재무성과(ROA와 Tobin의 Q 통계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와 달리 사회공헌활동을 수혜대상에 따라 네 영역(근로자, 협력사 및 경쟁사, 소비자, 지역사회)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회공헌활동이 미래의 기업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외부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공헌활동이 (t+1) 시점의 Tobin의 Q 통계량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부 사회공헌활동 세부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소비자에 대한 사회공헌활동이 (t+1) 시점의 Tobin의 Q 통계량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는 자본시장의 투자자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소비자에 대한 기업의 정책적 개선이 투자자의 해당기업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공헌활동 수준이 양호한 기업에서는 이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사회공헌활동 수준이 취약한 기업에서 현저히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업사회공헌 활동의 진화 (Evolution of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김민석;조영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85-95
    • /
    • 2019
  • 최근 정부와 기업, 학계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학습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로봇과 인공지능, 블록체인과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아젠다를 활용한 기업 비즈니스 모델이 생겨나고, 지금까지의 기업환경, 교육환경, 생활환경뿐만 아니라 국제개발협력에서도 다양한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영향을 가장 가까이 직면하고 있는 기업에서 진행하고 있는 사회공헌 활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즉 기업사회공헌의 정의와 활동내용을 살펴보고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불리는 현시대에서 각 기업이 갖고 있는 본연의 비즈니스를 통해 사회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사파리콤의 '엠페사', LG전자의 'AT Educom', LG유플러스의 '사물인터넷 활용 사회공헌' 그리고 KT의 '감염병 확산방지 플랫폼', 그리고 IoT를 활용한 Intel의 사례를 통해 확인해보았다. 그리고 기술개발에 따라 앞으로의 기업사회공헌 활동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더욱 의미 있는 임팩트를 만드는 기업사회공헌 활동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제시하였다. 가장 먼저는 기업사회공헌 활동의 성과측정이 용이해질 것과, 플랫폼을 활용한 사회공헌 활동이 증가하고, ICT 업계에서 기술을 통한 사회기여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며, 마지막으로는 기업간, 섹터간 공동으로 진행하는 사회공헌 활동이 늘어나게 되어, 기업이 영리만을 추구하는 집단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앞으로는 사회를 위해 존재하는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사회공헌활동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Brand Loyalty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Activities)

  • 이성희;김영진;정구상;이현수;김선아;김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79-8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헌활동이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최근 기업들의 이미지 및 브랜드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많은 기업들이 사회공헌활동을 실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공헌활동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전통적 마케팅 활동요소인 마케팅믹스 4P전략을 중심으로 마케팅믹스가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제품/가격/촉진 전략과 사회 공헌 활동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공헌활동 수준에 따라 조절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근 많은 기업이 전략적 도구로 CSR을 사용하고 또한 사회적으로도 CSR의 효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SR이 고객 브랜드 충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재확인함으로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향상과 인식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