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P

검색결과 10,744건 처리시간 0.037초

p$\cdot$Si-전해질 접합의 광기전력 효과 (Photovoltaic Effects of the p$\cdot$Si-Electrolyte Junction)

  • 한석용;김연희;김화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2-54
    • /
    • 1982
  • p·Si-전해질 접합을 전해질로 6N H2SO4, 6N H2SO4(Ti3+), 6N H2SO4(Ti4+), 6N H2SO4(Ti4+/Ti3+)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이들 전해질중 6N H2SO4(Ti4-/Ti3+)을 사용할 때 p·Si 광음극이 안정하게 동학하며 높은 광전 감도를 가지고 있었다. p·Si-electrolyte junction are prepared by using p·Si photocatode in four different electrolytes such as 6N H2SO4, 6N H2SO4(Ti3+), 6N H2SO4(Ti4+), 6N H2SO4(Ti4+/Ti3+) respectively. Among those electrolytes 6N H2SO4(Ti4-/Ti3+) shows very good results, in which p·Si photocathode is stable.

  • PDF

가스분사반응기에서의 SO2 흡수 특성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Sulfur Dioxide in Jet Bubbling Reactor)

  • 최병선;박승수;김영환
    • 공업화학
    • /
    • 제5권5호
    • /
    • pp.836-842
    • /
    • 1994
  • 가스분사반응기(Jet bubbling reactor)에서의 가스분사관의 최적 설계조건과 $SO_2$ 제거효율에 미치는 운전변수들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효과적인 기-액 접촉을 위한 가스분사관의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는 Reynolds number로서 Reynolds number를 12,000 이상으로 하고 가스분사관과 가스분사구멍에서의 Reynolds number가 동일하게 되도록 가스분사관을 설계하는 것이 가스분사관 설계의 최적조건인 것으로 판단된다. ${\Delta}P$, pH, 유입 $SO_2$농도, 석회석 입자크기 등 공정의 운전변수 중에서 $SO_2$ 제거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Delta}P$였으며 pH 4.0하에서 90% 이상의 $SO_2$ 제거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Delta}P$를 230mmAq 이상으로 유지시켜야 하였다. 실험결과 3.0 정도의 낮은 pH 하에서도 높은 $SO_2$ 제거효율이 얻어졌으며 이러한 이유는 강제산화에 의해 흡수액내의 $HSO{_3}{^-}$이온이 $SO{_4}{^{2-}}$ 이온으로 거의 완전한 산화가 일어나 흡수액 내의 $SO_2$ 평형분압이 매우 낮은 상태로 유지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흡수액의 pH 5.0 이하의 조건에서는 $SO_2$ 흡수에 사용된 석회석의 입자크기에 관계없이 모두 99.5% 이상의 높은 석회석 이용률을 나타내었다.

  • PDF

Effect of surgical castration treatments on blood parameter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Korean native cattle (Hanwoo)

  • Kim, Byeong-Soo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21-226
    • /
    • 2016
  • The animal welfare issues in cattle breeding include breeding environment, elimination, and castration. Among these, castration is unavoidable because it decreases cattle aggressiveness, improves meat quality, and enhances feed efficiency. In this study, the degree of stress associated with various methods of castration treatment was investigated for animal welfare in Hanwoo breeding. Cortisol levels dramatically increased right after castration in both the SoF and SoV groups. However, the increase in the SoF group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in the SoV group, and the range of decrease was also smaller. Amo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standing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SoV ($374.93{\pm}21.51$) and SoF ($379.93{\pm}21.30$) groups based on the behavioral time (min/12 hours) compared to that in the NC group ($359.37{\pm}19.69$). The SoF and SoV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P<0.05) difference. In terms of behavioral frequency, the NC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P<0.05) high frequency of drinking, self-grooming, scratching, and rubbing, and a significantly (P<0.05) less frequency of fighting behavior. The feeding tim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the SoV and SoF groups, and their frequencies of pairwise grooming were significantly (P<0.05) less. Based on the results, the cattle experienced less stress during castration by a veterinarian than during treatment using a move-stop.

참전복 치패 사료의 지질원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Lipid Sources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ucs hannai))

  • 이상민;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81-390
    • /
    • 1998
  • 참전복 치패용 배합사료의 적정 지질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카제인과 북양어분을 각각 단백질원으로 하고 지방산과 지질원을 달리 첨가하여 3회에 걸쳐 사육실험을 실시하였다. 세 실험 모두 평균체중 160mg의 치패를 각 수조에 100마리씩 수용하여 사료마다 3반복으로 20주간 사육 실험하였다. 1. 카제인 사료에 지방산 첨가 효과, 단백질원을 카제인으로 하여 지방산이 달리 첨가된 6종의 사료(지방산 무첨가구, 12 :0, 18 : 1, 18 : 2, 18 : 3 및 n-3HUFA첨가구)로 사육실험한 결과, 생존율, 최종 평균체중, 증체율 및 가식부 중량도 사료의 지방산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P>0.05). 반면에 평균 각장은 지방산 무첨가구(fat-free)와 n-3HUFA첨가구가 가장 낮아서 18 : 1과 18 : 2 첨가구와 유의차를 보였다(P<0.05).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실험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p>0.05), 지질은 지방산 무첨가구가 0.5%로 18 : 1 첨가구의 0.7%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카제인 사료에 지질원 첨가 효과 단백질원을 카제인으로 하여 오징어 간유(SO), 옥수수유(CO), 우지(BT), SO+CO및 SO+BT를 각각 5%씩 첨가한 배합사료로 사육 실험한 결과, 생존율은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05), 최종평균체중, 증체율 및 각장은 SO, SO+CO 및 SO+BT(n-3HUFA 함량: 0.5%) 실험구가 CO및 BT 실험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가식부 평균중량도 SO+CO 및SO+BT 실험구는 SO 실험구와 유의차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지만, CO및 BT가 실험구는 SO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실험 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사료의 지질원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지질함량은 SO가 첨가된 실험구(SO, SO+CO, SO+BT)가 CO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3.어분 사료에 지질원 첨가 효과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단백질원으로 어분이 첨가된 사료에 지질은 첨가하지 않은 사료와 SO, CO, BT, SO+CO 및 SO+BT을 각각 5% 첨가한 사료로 사육한 결과, 생존율은 실험구가에 유의차가 없었으나(P>0.05), 증체율은 BT와 SO+BT 실험구가 지질 무첨가구 (지질함량 : 2.2%), SO 및 CO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실험종료시 가식부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사료 지질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지질은 사료 지질 함량과 지질원에 영향을 받아 지질 무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이사의 결과들로부터 참전복 치패용 배합사료에는 n-3HUFA가 0.5%이상 함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어분이 첨가된 사료에 지질이 2%이상일 때는 지질을 추가로 첨가할 필요는 없으며, 지질을 추가할 경우 우지보다는 어유나 식물성기름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nfluence of Sunflower Whole Seeds or Oil on Ruminal Fermentation, Milk Production, Composition, and Fatty Acid Profile in Lactating Goats

  • Morsy, T.A.;Kholif, S.M.;Kholif, A.E.;Matloup, O.H.;Salem, A.Z.M.;Elella, A. Ab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8호
    • /
    • pp.1116-1122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nflower seeds, either as whole or as oil, on rumen fermentation, milk production, milk composition and fatty acids profile in dairy goats. Fifteen lactating Damascus goa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three groups (n = 5) fed a basal diet of concentrate feed mixture and fresh Trifolium alexandrinum at 50:50 on dry matter basis (Control) in addition to 50 g/head/d sunflower seeds whole (SS) or 20 mL/head/d sunflower seeds oil (SO) in a complete randomized design. Milk was sampled every two weeks during 90 days of experimental period for chemical analysis and rumen was sampled at 30, 60, and 90 days of the experiment for ruminal pH, volatile fatty acids (tVFA), and ammonia-N determination. Addition of SO decreased (p = 0.017) ruminal pH, whereas SO and SS increased tVFA (p<0.001) and acetate (p = 0.034) concentrations. Serum glucose increased (p = 0.013) in SO and SS goats vs Control. The SO and SS treated goats had improved milk yield (p = 0.007) and milk fat content (p = 0.002). Moreover, SO increased milk lactose content (p = 0.048) and feed efficiency (p = 0.046) compared to Control. Both of SS and SO increased (p<0.05) milk 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 specially conjugated linolenic acid (CLA) vs Control. Addition of SS and SO increased (p = 0. 021) C18:3N3 fatty acid compared to Control diet. Data suggested that addition of either SS or SO to lactating goats ration had beneficial effects on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with enhancing milk content of healthy fatty acids (CLA and omega 3), without detrimental effects on animal performance.

Effect of omega-3 fatty acid supplementation in salmon oil on the production performance of lactating sows and their offspring

  • Kibria, Sumya;Choi, Young-Jo;Kim, In 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2호
    • /
    • pp.191-199
    • /
    • 2021
  • Salmon oil (SO) could be used as a great source of ω-3 fatty acids in pig die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 effect on production performance of sows and their offspring. 48 lactating sows (Landrace × Yorkshire) from Dankook University experimental farm were used in this study. Sows were conceived using either guided natural mating or by artificial insemination. Pregnancy diagnosis was confirmed by ultrasonography on day 25 after mating. Sows and their offspring were assigned randomly to 1 of 2 treatments. Treatments included: 1), control (CON); 2), control + SO 0.5% (CS). The inclusion of SO did not affect (p > 0.05) the litter size throughout the experiment. No difference (p > 0.05) was observed on the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chest circumference, estrus interval and sow backfat thickness between CON and SO treatments. Dietary SO supplemented diet reduced (p < 0.05) body weight loss during lactation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Pigs fed SO supplemented diet did not affect (p > 0.05) the fecal scores during lactation compared with those fed control treatments. Sows fed SO supplemented diet led to a higher (p < 0.05) initial weight, weaning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of piglets than those fed control diets. No difference (p > 0.05) was observed on piglet survival and fecal scores throughout the experiment. Inclusion of SO could reduce the body weight loss of sows and improves piglet growth during lactation, indicating SO has beneficial effects for pigs.

Effects of Dietary Lipid Sources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Snail (Semisulcospira gottschei)

  • Lee Sang-Min;Kim Kyoung-Duck;Lim Tae-Jun;Bang In Chu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3호
    • /
    • pp.165-171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lipid sources on survival, growth anc body composition of snail (Semisu1cospira gottschei). Three replicate groups of snail (average weighing 152mg) were fed the diets containing different lipid sources such as lauric acid (LA), squid liver oil (SO), linseed oil (LO), corn oil (CO), SO+ LO, SO+CO, LO+CO and SO+LO+CO for 8 weeks. Survival was not affected by dietary lipid sources (p>0.05). Weight gain of snail fed the SO, SO+LO and SO+LO+CO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nail fed the LA and LO diets (P<0.05), and the lowest weight gain was observed in snail fed the LA diet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rude lipid content of edible portion in snail fed the different diets (P>0.005). Contents of 12:0, 18:2n­6, 18:3n-3 and 20:5n-3 from snail fed the LA, CO, LO and SO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from snail fed the other diets, respectively (p<0.05). The highest 22:6n-3 content was observed in snail fed the SO+ LO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snail fed the SO, SO+CO and SO+LO+CO diets (p>0.05). The n-6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20:4n-6 and 22:4n-6 contents of snail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lipid sources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quid liver oil and mixture of squid liver oil and linseed and/or corn oil are good dietary lipid sources for the normal growth of snail. However lauric acid may not be a good lipid source for snail diet.

$ZnSO_4-Na_2SO_4-H_2SO_4-NaOH-H_2O$계의 이온 평형 (Ionic Equilibria in $ZnSO_4-Na_2SO_4-H_2SO_4-NaOH-H_2O$ System)

  • 이만승;박현주;나춘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1호
    • /
    • pp.19-25
    • /
    • 2002
  • $ZnSO_4$- $Na_2$$SO_4$-$H_2$$SO_4$-$NaOH-H_2$O계에 대해 전해질의 농도를 변화시키며 $25^{\circ}C$에서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K-value방법을 이용하여 이온평형을 해석하였다. 물의 활동도와 용질의 활동도계수는 Pitzer식으로 계산하였다. 평형상태에서 존재하는 용질들의 농도와 활동도계를 전해질의 초기농도로부터 이온평형을 해석하여 구할 수 있었다 이온강도가 4 m정도로 진한 용액에서 pH측정값과 이온평형 해석으로 구한 pH 이론 값은 서로 잘 일치하였다. 액의 이온강도가 3.5에서 4.3사이의 실험조건에서 Pitzer식으로 구한 $ZnSO_4$의 평균이온 활동도계수는 문헌에 발표된 값과 잘 일치하였다.

$SO_2$ 흰쥐 비강 호흡부 점막의 조직학적 구조 및 점액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ulfur Dioxide Exposure in Histological Structure and Mucosubstances of the Nasal Respiratory Mucosa of Rat)

  • 정권순;정길남;조기진;이응희;조운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82-594
    • /
    • 2001
  • SO$_2$가 흰쥐 호흡기의 비강 점막에 미치는 형태적인 변화 및 내적 환경인자인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200~250g의 Sprague-DawleyrP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대조군과 SO$_2$실험군으로 나누어 SO$_2$실험군은 10 ppm, 25ppm, 50 ppm, 100ppm, 및 200 ppm 군으로 나누고 각 군은 가시 1시간, 3시간, 및 6시간 폭로군으로 나누어 SO$_2$ 농도별 및 시간별로 미치는 영향을 대조군과 qry하였다. 형태적인 변화는 H-E 및 PAS 염색으로 관찰하였고, 점액질 변화는 PAS, AB pH 2.5, AB pH 2.5-PAS, AB pH 1.0 및 AR pH 1.7-AB pH2.5 염색등으로 관찰하였다. 비강호흡상피들은 대조군에 비해 SO$_2$폭로군에서 정도의 차이가 있었지만 섬모소실, 상피세포의 탈락, 배상세포의 공포화, 상피세포의 편평화 및 상피세포의 점액화 등은 SO$_2$농도가 높아지고 폭로 시간이 길어질수록 광범위하게 나타났으며 상피세포의 점액화는 50ppm, SO$_2$폭로군에서 가장 현저하였다. 배상세포 및 비중격선의 선포 수는 폭로시간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저농도인 25 및 50ppm SO$_2$ 폭로군에서는 현전희 증가하는 반면 고돈도인 100 및 200ppm SO$_2$폭로군에서는 현저히 감고하거나 대부분 소실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대조군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상피내 점액선이 100 및 200 ppm 1시간 SO$_2$폭로군에서는 더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SO$_2$폭로군 비중격 상피 배상세포의 중섬점액질은 10ppm 3시간 SO$_2$폭로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많이 증가하였고 그외의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대부분의 세포에서 감소하거나 소실되었으며 대조군에서 나타나지 않던 점액화된 상피세포들은 모두 SO$_2$폭로군에서 중섬점액질만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100 ppm 및 200ppm SO$_2$폭로군에서 그 양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성점액질의 양은 10 ppm 및 50ppm 3시간 SO$_2$폭로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많이 증가하였으나. 그외 대부분의 SO$_2$폭로군에서는 현전히 감소하거나 소실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SO$_2$폭로군에서 강 sulfomucin은 감소하는경향을 나타내었고, 100 ppm및 200 ppm SO$_2$폭로군에서 강 sulfomucin은 소실되었으나 sialomucin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경향을 보였다. 하비중격선의 중성점액질은 양은 대조군에 비해 SO$_2$폭로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100ppm및 200ppm SO$_2$ 폭로군에서 그 감소가 아주 현저하게 대부분의 선포들에서 중성 점액질이 소실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SO$_2$는 비강에 심대한 병리조직학적 변화뿐만 아니라 점액질 대사에 심대한 영향을 미쳐 심한 병변을 야기시킴을 알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SO$_2$의호흡기 영향은 고농도로 갈수록 심한 영향을 미쳤으며 저 농도 에서도 폭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나타나는 SO$_2$의영향이 고농도와 유사한경향을 나타내며 또한 모든 SO$_2$의 농도를 비교해보면 폭로 시간이 길어질수록 그영향이 더 심하게 나타났다.

  • PDF

신형 TL 선량계인 $CaSO_4:Dy,P$를 이용한 Hp(10) 측정용 배지의 필터체계 설계 (Design of a Badge Filter System for Measurement of Hp(10) with the New Type of TL Dosimeter $CaSO_4:Dy,P$)

  • 김현기;권정완;이재기;김장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79-85
    • /
    • 2003
  •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한 $CaSO_4:Dy,P$를 이용하여 ICRU에서 권고하는 Hp(10)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CaSO_4:Dy,P$는 광자에 내하여 높은 에너지 의존성을 지니므로 Hp(10) 평가를 위해서는 필터물질을 이용하여 모든 에너지에 대하여 반응도를 적절히 보상하여야 한다. ISO에서 권고하는 열형광선량계의 성능요건을 만족하는 필터설계를 위해 몬테칼로 코드를 이용한 이론적 계산과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완성된 필터 하에서 $CaSO_4:Dy,P$ 소자는 $20{\sim}662keV$에 이르는 광자 에너지 범위에서 $0.75{\sim}1.0$의 상대반응도를 보였다. 특히 직경이 큰 후방필터를 설계함으로써 전방필터의 두께를 감소하고 필터 조합을 단순화하였으며 테이퍼를 도입하여 선량계의 방향의존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