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moke detector

Search Result 10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계층적 Fuzzy 감지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ultcriteria Fuzzy Fire Detector)

  • 서영수;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5-53
    • /
    • 1997
  • 본 논문은 화재 감지기의 화재판정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화재의 정도를 Fuzzy화 한다음 Fuzzy I$\rho$gic을 적용하여 화재와 비화재를 판별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의 Fuzzy감지기를 제안한 것이다. F Fuzzy 감지기의 입력요소는 화재의 정확한 판단을 위하여 온도센서, 연기센서, 광센서를 이용하였으 며 센서출력 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적용하였다. 그 결과 기폰의 화재 감지기보다 화재감지 능력은 우수하였으나 정확한 화재판단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Rule을 생성할 수 있는 지식이 필요 하였으며 Fuzzy 감지기를 실제 적용할 경우 그 가능성을 보 였다.

  • PDF

국내 공동주택 화재감지시스템의 성능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Stud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Fire Detectors System at Domestic Apartment Buildings)

  • 손봉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33-538
    • /
    • 2014
  • 본 연구는 공동주택 전용 지능형 화재감지시스템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기존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감지기 실태 및 성능개선대책에 필요한 기초 연구를 하였다. 공동주택 전용지능형 감지시스템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 감지기성능 및 유지관리 등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외 주거공간에서 발생한 화재통계자료를 분석하였고 피난 및 소방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감지기성능 실태를 연구하였다. 특히, 공동주택에 설치된 기존의 화재감지기는 세대별로 경계구역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대부분 열감지기로 설치되어 조기에 화재를 감지할 수 없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세대별 설치된 감지기는 평상시에 정상작동 여부를 주거공간의 외부에서 점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열감지기보다는 초기 감지능력이 있는 연기감지기 또는 열 연기복합형 감지기, 단독형 연기감지기의 설치 및 공동주택 전용의 감지시스템을 개발하여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10MW급 까지의 산소소모율법 칼로리미터를 활용한 열방출률과 연기발생률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 Correlation between Heat Release and Smoke Production by Using Oxygen Consumption Calorimeter Up to 10 MW Facility)

  • 류상훈;유용호;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58-65
    • /
    • 2010
  • 최근 들어 발생하고 있는 화재 사고는 재산 피해 및 인명 피해 측면에서 점점 대형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조치할 수 있는 종합적인 차원의 화재안전기술 개발을 필요로 한다. 특히, 초고층 빌딩이 우후죽순으로 들어서고 있는 지금, 새로운 패러다임의 진보된 화재안전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산소소모법 칼로리미터인 bench scale calorimeter(cone calorimeter/ISO 5660/Avg.500Kw), Medium scale calorimeter(Room corner tester, Single burning Item/ISO 9750, EN 13823/Avg.3MW), and large scale calorimeter(Industry calorimeter/Avg. 10MW)에 의한 열방출율 측정과 이때 발생된 연기발생량과의 상관관계를 찾고자 한다. 이렇게 찾아진 열방출율과 연기발생량과의 상관관계를 활용하여 새로운 개념의 연기감지기를 개발하여 화재 사고 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고 궁극적으로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초고층화 되고 있는 건축물에 새로운 개념의 화재경보 및 피난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이 가능하리라 예상된다.

Measurement Uncertainty of Nicotine i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TS)

  • Lee, Jeong-Il;Lee, Cheol Min;Shim, In-Keun;Kim, Seong-Mi;Lee, Woo-Seok;Kim, Yoon-Sh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8호
    • /
    • pp.2394-2398
    • /
    • 2013
  • Nicotine is the main component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its presence in indoor air is widely used as a secondhand-smoke indicator. Environmental tobacco smoke is a major source of indoor air pollution, but sufficient investigation of the uncertainty of its measurement, which mirrors the reliability of nicotine measurement, has not been performed. We calculated the uncertainty of measurement of indoor air nicotine concentration at low, medium, and high concentrations of 11.3798, 10.1977, $98.3768{\mu}g/m^3$, respectively, and we employed the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s (GUM),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The factors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uncertainty were uncertainty of the calibration curve (calibration curve and repeated measurements), desorption efficiency, extraction volume, and sampling airflow (accuracy and acceptable limits of flowmeter). The measurement uncertainty was highest at low concentrations; the expanded measurement uncertainty is $0.9435{\mu}g/m^3$ and is represented as a relative uncertainty of 63.38%. At medium and high (concentrations, the relative uncertainty was 13.1% and 9.1%, respectively. The uncertainty of the calibration curve was largest for low indoor nicotine concentrations. To increase reliability of measurement in assessing the effect of secondhand smoke, measures such as increasing the sample injection rate ($1{\mu}L$ or more), increasing sampling volume to increase collected nicotine, an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or GC/MS/MS, which has a lower quantitation threshold, rather than gas chromatography with nitrogen phosphorous detector, should be considered.

UL 268 시험화원에 따른 CO센서의 화재감지센서로서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ability of the CO Sensor as A Fi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Test Fire Source of UL 268)

  • 이춘하;성완기;이종화;김형권;지승욱;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54-63
    • /
    • 2014
  • 본 논문은 CO센서의 화재에 대한 감지특성을 분석 후 화재감지기로서의 적용성 판단을 하기 위한 논문이다. CO센서의 화재감지기로의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UL 268에서 규정하고 있는 화재시험실과 유사한 규모의 화재실험장을 설계 제작하고, UL 268에서 제시된 화재시험기준에 준한 실화재실험을 실시하여 화원 종류에 따른 CO센서와 광전식연기감지기의 다양한 화원의 화재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와 연기에 대한 감지특성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종이화원 및 목재화원과 같이 불완전연소로 진행되는 초기화재에서 CO센서가 광전식연기감지기보다 약 2~3배 빠른 감지특성이 나타났다. 특히, 목재훈소화재에서 CO센서의 감지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천장형에어컨 기류가 화재감지기 작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Study on Influence of Air Flow of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on Fire Detector Response)

  • 최문수;이근오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5호
    • /
    • pp.40-45
    • /
    • 2018
  • 이 논문은 천장형 에어컨의 기류가 화재감지기 작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천장형 에어컨의 기류를 형성시킨 가운데 화재감지기의 작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ISO표준에서 규정한 방법으로 화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10 m (가로) ${\times}$ 7 m (세로) ${\times}$ 4 m (높이) 크기의 화재실험장에서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화재감지기는아날로그식 열감지기와 아날로그 연기감지기이다. 화원으로는 열감지기 작동을 위해 n-heptane을 사용하였고, 연기 감지기 작동을 위해 면심지(Cotton)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화재감지기의 응답은 기류가 없을 때는 화원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늦어지는 패턴을 보이나, 강한 기류에서는 그 패턴이 유지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천장형 에어컨 기류가 없는 경우에 비해 기류가 강한 경우에 응답시간이 연기감지기는 121%, 열감지기는 39% 늦어졌다. 천장형 에어컨이 설치된 장소에서는 화재감지기 개수를 늘려 풍구 4방향에 모두 설치하거나 감도가 뛰어난 감지기를 설치하는 것이 화재의 조기감지를 위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택화재 예방을 위한 저소비 전력의 광전식 단독경보형감지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hoto-electric Single Station Smoke Alarm of Low Power Consumption for Residential Fire Prevention)

  • 박세화;조재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46-53
    • /
    • 2010
  • 주택화재 예방을 위해 10년 동안 전지 교체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가 되도록 회로 설계된 저소비 전력의 광전식 단독경보형감지기의 개발 경험을 보고한다. 시장규모가 국내에 비해 100배 이상 큰 일본을 대상으로 인증을 받도록 개발되었고, KFI 규격과 JFEII에 대한 시험 규격 비교 검토도 수행되었다. 감지기의 경보는 부저와 표시 LED를 통해 표현되며, 경보와 고장 및 화재 시의 동작 주기와 동작 시간이 기술되어 있다. 소비 전류를 줄이기 위해 적용된 주요 전자 회로 부분과 구현된 감지기의 동작 특성 분석 결과가 나타나 있다. 또한, 구현된 감지기의 소비 전류 측정값과 전지의 방전 특성 실험 결과를 통해 10년 동안 적용 가능함을 나타내었다.

연기감지기의 연기감지 챔버와 신뢰성 시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Test for Smoke Detection Chamber of Smoke Detector)

  • 홍성호;최문수;박상태;백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389-392
    • /
    • 2012
  • 연기감지기는 이온전류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이온화식 연기감지기와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챔버내에 연기에 의한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전식 연기감지기로 구분된다. 국내에서는 광전식 연기감지기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광전식 연기감지기의 챔버내에 이물질이 침입하게 되면 비화재보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논문은 연기감지기의 연기감지 챔버에 대한 비화재보를 감소시키기 위한 신뢰성 시험에 대하여 논한 연구이다. 광전식 연기감지기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방법으로는 먼지에 대한 신뢰성을 검증하는 가연물 종류에 따른 연기감지 신뢰성 시험이나 분진시험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시험의 반복을 통하여 광전식 연기감지기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목조문화재 건축물 구조에 따른 화재감지기 종류 선정에 관한 연구 (Selection of a Fire Detector for Wood Cultural Property)

  • 노삼규;윤형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4호
    • /
    • pp.88-93
    • /
    • 2016
  • 2008년 숭례문 화재사고 이후 국내 목조문화재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는 목조화재의 특성이나 구조에 대한 감지기 종류 선정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다. 목조문화재 건축물은 일반건축물과 구조 및 화재특성이 달라 일반규정을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목조문화재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감지기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형태를 4가지로 분류하였고 현장조사 및 목조건축물의 구조 및 화재특성을 살펴보았다. 문제점으로는 화재감지기 설치 장소에 따른 적응성 부족 감지기 선택과 외부화재감지 누락이 나타났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쇄 및 개방된 공간의 실내화재감시에는 연기감지기를 선택하고 외부화재감시를 위해서 불꽃감지기 또는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를 건물 유형에 적합한 종류를 선정하였다.

직선배관에서 균일한 공기 흡입을 하는 오리피스 직경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orifice diameter in a straight pipe giving dqual-sampling rate)

  • 김진국
    • 방재기술
    • /
    • 통권24호
    • /
    • pp.17-22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orifice diameter in a straight pipe which can give equal-sampling rate. This can be utilized for designing orifice in air-sampling smoke detector. The elemen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for designing orifices was presented and the calculation procedure was also given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pipe length, the number of orifices, fan pressure was decrib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