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ilax china L. leave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청미래덩굴 잎의 항산화 활성 성분 (Antioxidant Activities o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Smilax china Linne)

  • 차배천;이은희
    • 생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36
    • /
    • 2007
  •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leaves of Smilax china Linne in order to find the antioxidant substances which has an scavenging effect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from natural products. As a result, EtOAc and n-BuOH extracts of the leaves of Smilax china Linne exhibited potent antioxidant effect on various antioxidant experiment. The major components of antioxidant activity were isolated from EtOAc and n-BuOH extracts of the leaves of Smilax china Linne. Their structure of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kaempferol-7-O-${\alpha}$-L-rhamnopyranoside and kaempferol-3,7-O-${\alpha}$-L-dirhamnopyranoside by spectroscopic evidence,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were observed in kaempferrol-7-O-${\alpha}$-L-rhamnopyranoside at 23 ${\mu}g$ and in kaempferol-3,7-O-${\alpha}$-L-dirhamnopyranoside at 27 ${\mu}g$ as concentration of DPPH 50% reduction.

청미래덩굴 잎(Smilax china L.)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Smilax china L. Leaves)

  • 김주영;성기운;정신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614-1618
    • /
    • 2014
  • 우리나라에 널리 자생하는 청미래덩굴 잎을 천연 보존료로써 활용하기 위하여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을 n-hexane, ethyl acetate, n-butanol로 분획하고 항산화 활성과 식중독 세균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활성 성분을 TLC와 HPLC로 분석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활성은 ethyl acetate, n-butanol, n-hexane 분획물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역시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높았다(P<0.05).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보다 월등히 높았다. 청미래덩굴 잎의 용매 분획물은 시험균주인 S. aureus에 대하여 12.4~8.5 m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강하였다(P<0.05). 항균 활성과 항산화 활성이 강하게 나타난 청미래덩굴의 ethyl acetate 분획물을 TLC로 확인 후 다른 분획물들과 HPLC로 분석하여 caffeic acid, ferulic acid, quercetin, kaempferol을 확인하고 그 함량을 측정하였다.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에 비해 높은 phenolic compounds 함량을 나타냈고, ferulic acid가 그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청미래덩굴 잎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활성 물질로 사료된다.

청미래덩굴(망개)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Smilax China Leaf)

  • 최한영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3호
    • /
    • pp.22-30
    • /
    • 2004
  • The extract with the dilution of $50\%$ ethanol and treatment of $121^{\circ}C$ for 15min were inhibited highly the growth of staph aureus, Ent. cloacae, Sh. sonnei, A. hydrophila, b. subtilis, St. faecalis and L. casei. of food samples, red-bean dregs with addition of extact of smilax china. leaves or sorbic acid took the similar inhibition effect to microorganisms for the early storage days(1-3days). There was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strawberry Juice added to 20m1 of $1\%$ extract solution for one storage day in comparison with no addition of smilax china L. Over all with growth inhibition capability to microorganisms and foods, it was believed that the effect and value as the natural food preservatives and the extracts like as this natural plant material took the food safety and it was capable to develop the natural food preservation.

염분농도와 저장 온도에 따른 청미래덩굴 잎의 물리성 변화 (Changes in Leaf Physical Properties of Smilax china L. According to Salt Concentration for Salting and Storage Temperature)

  • 박근혜;전승호;김경문;정종일;김석현;심상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13-21
    • /
    • 2011
  • 망개떡의 주원료인 청미래덩굴 잎은 소금물에 저장한 후, 이용 시 세척하여 사용한다. 이에 염장 시 저장 과정에서의 잎의 특성변화를 확인하였다. 천일염과 정제염으로 염장 후 저장한 잎의 수분함량 변화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소금의 농도가 높을수록 수분함량은 크게 감소하였다. 실온에서는 정제염에 저장한 잎의 전단력이 높았으나, 저온($4^{\circ}C$)에서는 천일염에서 저장한 잎의 전단력이 높았고, 소금의 농도는 높을수록 저장기간은 짧을수록 전단력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실온보다 저온에서 저장과 소금의 농도가 10% 이하에서 저장한 잎의 색도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미래덩굴잎 추출물 용매분획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비만 활성연구 (Study on antioxidative, antidiabetic and antiobesity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of smilax china L. leaf extract)

  • 강윤환;이영실;김경곤;김대중;김태우;최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5호
    • /
    • pp.401-409
    • /
    • 2013
  • 본 연구에서 SCLE와 그 분획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SCLE/EA에서 가장 많은 함량이 확인되었으며, DPPH 및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like activity, reducing power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도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함량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SCLE/EA에서 높은 활성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SCLE 및 분획의 항당뇨 효능을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능을 측정함으로써 비교한 결과 항산화력과 달리 SCLE/BuOH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 mg/mL 기준으로 acarbose의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능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활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당뇨와 비만의 강한 관련성이 알려진 상황에서 SCLE 및 그 분획의 3T3-L1 세포 분화 억제능력을 확인한 결과 SCLE와 SCLE/FW에서 가장 강한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SCLE가 다방면에서 당뇨의 개선과 예방을 위해 효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SCLE가 neutraceuticals 소재로서의 개발가치가 높음을 시사한다.

Smilax riparia 잎의 항산화 성분 (The Anti-oxidative Compounds of Smilax riparia Leaves)

  • 조은선;김정일;김호현;전인주;함인혜;황완균
    • 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00-306
    • /
    • 2003
  • Rhizoma of Smilax china has been used as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ntiedemic agent in Korean folk medici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anti-oxidative activity, the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and the isolation were performed. Each fractions ($H_2O$ fraction, 20%, 40%, 60%, 100% MeOH fractions and CHCl$_3$ fraction) was examined antioxidant activity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It was revealed that 40%, 20% MeOH fractions and $H_2O$ fractions have significant anti-oxidative activity. From 40% and 20% MeOH fractions two flavonoid glycosides and one procyanidin were isolated and elucidated apigenin-7-Ο-$\alpha$-L-rhamnopyranosyl(1\longrightarrow2)-$\beta$-D-glucopyranoside, apigenin-7-Ο-$\alpha$-L-rhamnopyranosyl(1\long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and catechin(4$\alpha$\longrightarrow6)epicatechin through their physicochemical data and IR, FAB-MS, $^{13}$ C-NMR, and $^1$H-NMR analysis with authentics, respectively. The isolated compounds were examined by DPPH method. Apigenin-7-Ο-$\alpha$-L-rhamnopyranosyl(1\longrightarrow2)-$\beta$-D-glucopyranoside and catechin (4$\alpha$\longrightarrow6) epicatechin showed powerfu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n DPPH radical among three compounds.

망개떡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첨가 (Treatment of $Smilax$ $china$ L. Root Extract for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of $Mang-gae$ Rice Cake)

  • 고유진;김진용;김은정;김은자;설희경;박근혜;정권용;류충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7-17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균소재로 알려진 청미래덩굴의 잎, 뿌리, 싹과 줄기를 이용하여 청미래덩굴 추출물의 항균성과 망개떡의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시판 망개떡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열처리 후 생균수를 측정함으로써 열에 저항성이 강한 식품의 주요 부패 미생물로 알려진 $Bacillus$속 균주가 망개떡 부패의 원인균주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16S rRNA로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 균주가 우점종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acillus$ $subtilis$가 망개떡 부패를 유발하는 원인균주로 사료된다. 망개떡의 청미래잎, 떡피, 팥소 부위 중 떡피 부분에서 가장 많은 생균수를 확인 할 수 있었고, 열처리 후에는 망개떡의 팥소 부위에 가장 많은 미생물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망개떡의 부패 지연을 위해 천연항균소재인 청미래 덩굴의 잎, 뿌리, 싹과 줄기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농축하여 전분함유 식품의 주요 부패미생물로 알려져 있는 $Bacillus$ $cereus$를 피검균주로 하여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뿌리에서 가장 높은 항균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균성이 우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뿌리 추출물 5%를 첨가하여 생육저해환의 직경을 확인한 결과 12.90 mm로 최대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망개떡의 팥소에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을 5% 첨가한 결과 시판 망개떡의 팥소에 비해 미생물의 생육이 현저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망개떡의 팥소에 청미래덩굴 추출물 5%를 첨가하여 망개떡을 제조한다면, 시판되는 망개떡의 저장기간과 유통과정에 있어서의 부패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Aspergillus oryzae 발효 청미래덩굴잎 분말차의 관능적 품질 및 항산화능과 xanthine oxidase 및 aldehyde oxidase 저해활성 (Sensory quality, antioxidant,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XO and AO of Smilax china leaf tea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양승환;서주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9-139
    • /
    • 2014
  • A. oryzae로 발효한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잎 발효차의 적정 발효기간을 확립하고자 비 발효(NF) 및 10, 20 및 30일간 발효(F10, F20, F30)시킨 차 1% 열수추출물(1 tea bag 기준)의 색상, 관능검사 및 total polyphenol(TP), total flavonoid(TF), 전자공여능(EDA), 철환원력(FRAP), 과산화물 생성 억제능(LPOIA)을 조사하였다. 또, 체내 활성산소(ROS) 생성계 효소인 동시에 요통과 음주로 인한 간손상유도 및 이로 인한 복부비만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xanthine oxidase(XO) 및 aldehyde oxidae(AO)의 저해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색상과 spectrum(400~700nm)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NF는 연한 황색을 띠는 반면 F10∼F30에서는 엷은 적색을 띠었으며 F10의 색상이 가장 선명하였다. 향(aroma)과 밝기(brightness)에 대한 기호도는 비발효차와 발효차간의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맛(taste)과 입에 닿는 감각(mouth feel) 및 종합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F10, F20 및 F30 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발효 10일이 이상적인 발효기간이라 사료된다. TP 함량은 NF에서 41.55 mg/g(dry basis)이었으나 발효에 따라 거의 비례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그 감소율은 발효 10일째 24.91%, 20일째 56.92%, 30일째 64.41%를 나타내었다. TF의 함량은 NF에서 27.33 mg을 나타내었으나 발효에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F10 24.30 mg/g, F20 17.32 mg/g, F30 13.22 mg/g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TP의 감소율이 TF의 경우에 비하여 커서 TF/TP 비율(%)은 발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DA는 NF에서는 29.01%이었으나 F10에서는 NF에 비하여 17.14%가 감소하였으며, F20 및 F30에서는 각각 18.79% 및 23.20%가 감소하였다. FRAP(${\mu}M$ $Fe^{2+}$)는 NF 4.63, F10 4.30, F20 및 F30에서는 각각 3.77 및 3.47로 발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LPOIA는 NF에서는 39.86%이었으나 F10의 경우는 31.92%로 NF에 비하여 19.92%가 감소하였고 F20 및 F30는 NF에 비하여 각각 23.61% 및 28.38%가 감소하였다. NF 및 F10∼30의 1% 열수추출액이 생유 및 토끼 간 조직으로부터 부분정제한 XO와 AO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XO활성에는 비발효, 발효 모두에서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AO의 활성은 비발효, 발효 관계없이 38.09∼41.70%범위로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억제는 경쟁적 저해현상에 기인되어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발효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마우스의 간 손상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Smilax china Leaf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Mice)

  • 김미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6-175
    • /
    • 2014
  • 발효 청미래덩굴잎의 해독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식이군(NC), 기본식이를 급여한 후 $CCl_4$ 처리군(CB), 비발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 분획물을 기본 식이에 0.5% 혼합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하였다. $CCl_4$를 처리한 군(NS),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 분획물을 기본 식이에 0.5% 혼합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한 후, $CCl_4$를 처리한 군(FS)의 4개군(5마리/군)으로 구분하여 체중,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ALT 및 AST 활성, GSH 및 LPO 함량, 혈청 지질 함량, XO 및 AO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CCl_4$를 처리한 군(CB, NS, FS)의 체중증가량은 NC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NS군과 FS군에서는 그 감소율이 낮았으며, FS군에서 더욱 낮았다. 이와 반대로 간의 중량은 $CCl_4$ 처리군들에서 높았으나, FS군에 NS군에 비하여 낮았다. ALT 및 AST 활성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32.34~3.80배가 높았으며,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6.34~37.35% 및 34.97~45.66%가 낮았다. 혈청 중성 지질의 함량은 NC군에 비하여 CB군이 81.71%가 높았으며, NS군과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5.61% 및 28.22%가 낮았다. Total cholesterol 함량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54.07%가 높았으나,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0.59% 및 17.99%가 낮았으며, LDL-cholesterol의 함량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반면에, HDL-cholesterol의 함량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55.08%가 낮았으나,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26.96% 및 72.12%가 높았다. GSH의 함량(${\mu}mole/g$ of tissue)은 CB군(4.42)이 NC군(5.09)에 비하여 13.16%가 낮았으나, NS군과 FS군은 각각 4.84 및 4.93으로 NC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NS군과 FS군 간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LPO의 함량(MDA nmole/g of tissue)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36.71%가 높았으나, 특히 FS군에서는 NC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XO(xanthine oxidase) 활성(% against control)은 NC군이 98.45, CB군 128.97, NS군 119.70, FS군 90.65로 NS군은 CB군과, FS군은 NS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O(aldehyde oxidase)의 활성(% against control)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22.48%가 높았으나, NS군 및 FS군은 NC군에 비하여 각각 14.88% 및 7.56%가 높았으며, CB군에 비하여는 각각 8.94% 및 16.15%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물은 비발효 경우에 비하여 $CCl_4$를 처리한 mouse에서 간 조직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높으며, 이는 FS군에서 XO 및 AO의 저해활성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 청미래덩굴잎에 존재하는 flavonoid 배당체가 발효에 의하여 분해되어 aglycone화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자생완도 호랑가시나무 자생지의 생태학적 특성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ive Habitat of Korean Native Wando Holly (llex X wandoensis))

  • 안영희;최창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9호
    • /
    • pp.1011-1018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is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ando HolIy"$(llex{\times}wandoensis)$ which is expecting as a possible ornamental tree with its beautiful leaves, flowers and fruits, and to find special breeding material which have particular characteristics and also provide correct environmental information which are required for commercial cultivation. The hill of Galmoon-Ri, Gunoei-Myon, Jeonnam Province, Korea, were reported as a original habitat of native $llex{\times}wandoensis$. The investigation shows that soil pH of native habitat was 6.18, hardness was 2.39, humidity was 38.6%, direction of slope is SSW, and average inclination was $15^{\circ}. The vegetation around $I.{\times}wandoensis$ is occupied by trees like an Quercus variabilis, Q. serrata, Q. acuta and so on. These are mixed forest of deciduous trees. Tree height reached up to about 12m and its coverage is about 30%. Q. salicina, Camellia japonica, I. integra, Cryptomeria japonica account for sub-tree layer. Tree height is around 8m and coverage is about 20%. Shrub layer was taken by Viburnum furcatum, Callicarpa japonica, Styrax japonica, Eurya japonica, Lindera obtusiloba, Ligustrum japonicum, Smilax china, Cornus walteri etc. Tree height reaches around l.2m and coverage is around 20%. Herb layer includes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Cymbidium goeringii, Dryopteris bissetiana, Disporum viridescens, Disporum smilacinum, Sasa borealis var. gracilis etc.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which are observed in southern evergreen zone, are dominant and its coverage is around 20%. The native habitat was in spoiled condition because of artificial thin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