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ilax china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7초

청미래덩굴 잎의 페놀성 성분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Tyrosinase Inhibitory Phenolic Constituents of Smilax china Leaves)

  • 김상현;안종훈;정지연;김선범;조양희;황방연;이미경
    • 생약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0-223
    • /
    • 2013
  • In the course of screening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otal methanolic extract and EtOAc-soluble fraction of Smilax china leaves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Further fractionation and isolation of the EtOAc-soluble fraction resulted in 12 phenolic compounds, which were identified as 4-hydroxybenzoic acid (1), 3,4-dihydroxybenzaldehyde (2), 3,4-dihydroxybenzoic acid (3), 3,4-dihydroxyacetophenone (4), 3-hydroxy-4-methoxy benzoic acid (5), trans-p-hydroxycinnamic acid (6), cis-p-hydroxycinnamic acid (7), trans-resveratrol (8), cis-resveratrol (9), dihydroresveratrol (10), moracin M (11) and kaempferol (12). Compounds 1-11 were first reported from this plant.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compounds 2, 8, 9 and 12 showed strong inhibition on tyrosinase activity.

Adventitious Root Culture and In Vitro Production of Dioscin from Smilax china L.

  • Kwon, Soon-Tae;An, Ju-Le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44-448
    • /
    • 2008
  • An adventitious root formation protocol from Smilax china L. was established for in vitro production of dioscin, a steroidal saponin having various bioactivities such as anticancer, antifungal, antiviral, and antiobesity. Optimal medium for root initiation from leaf explant was MS medium containing $30\;g{\cdot}L^{-1}$ of sucrose supplemented with $1.0\;mg{\cdot}L^{-1}$ kinetin + $2.0\;mg{\cdot}L^{-1}$ NAA. The induction of adventitious roots from in vitro initiated root segments was most favorable to MS liquid medium with $0.1\;mg{\cdot}L^{-1}$ kinetin + $2.0\;mg{\cdot}L^{-1}$ NAA. Among the 20 different adventitious roots originated from different plants, strain No. 10 was selected based on production ability of dioscin, and its stability through the successive suspension culture. The maximum growth stage of adventitious roots was noticed at 5 weeks after subculture while that of dioscin production in the adventitious root was at 7 weeks after subculture in suspension culture system. These results provide that suspension culture of adventitious roots of Smilax china L. have a potential for in vitro mass production of dioscin.

토복령의 항산화 및 산화적 DNA 손상억제 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NA damage of Smilax china root)

  • 장태원;오창근;박재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2호
    • /
    • pp.109-117
    • /
    • 2018
  • 최근까지도, 현대사회의 암 발생률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인체 내부에서 내재적 또는 외재적인 요인에 의해 DNA 손상이 발생되고, 세포는 DNA 손상에 대한 방어기작을 통해 스스로를 방어한다. 또한, 비정상적인 DNA 생성 및 결손된 DNA 가닥의 복원은 노화, 암, 염증 등 다양한 질병으로부터 기인한다. 많은 연구자는 이러한 DNA 손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적절한 소재 탐색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으며, 특히 합성화합물의 부작용이 알려지면서,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암 예방적 소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토복령은 백합과(Liliacese)에 속하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의 근경이며, 전통적으로 해독과 종기 등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왔다. 하지만 토복령의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토복령의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고, 식물이 포함하는 phenolic 화합물의 활성과 연관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토복령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으며,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HPLC 분석을 통해 phenolic 화합물을 정량 및 동정하였으며, 항산화 효과와 phenolic 화합물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OH^-$ 라디칼 및 $Fe^{2+}$으로 유발된 plasmid DNA 손상에 대한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포 수준에서, DNA 손상에 대한 저해 효과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NIH 3T3 세포의 ${\gamma]$-H2AX 및 p53 단백질 발현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H2AX 및 p53 mRNA 수준의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토복령 추출물의 phenolic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 및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 청미래 덩굴 뿌리 추출물의 MITF, TRP-1, TRP-2, tyrosinase 단백질 및 mRNA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icacy of Smilax china L. on MITF, TRP-1, TRP-2, Tyrosinas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in Melanoma Cell (B16F10))

  • 이수연;유단희;주다혜;조희선;이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청미래 덩굴 뿌리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tyrosinase 저해활성 및 미백관련 인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억제 효과를 western blot, reverse transcription-PCR 및 real time-PC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우수한 tyrosinase 저해활성을 확인하였고, 미백관련 인자 MITF, TRP-1, TRP-2, tyrosinase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측정에서도 4가지 인자 모두 발현이 억제됨으로써 미백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청미래 덩굴 뿌리 추출물이 미백 효능을 가짐으로써 화장품 소재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청미래덩굴(Smilax china)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Smilax china Root)

  • 송희순;박연희;정세흥;김동필;정영희;이미경;문기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133-1138
    • /
    • 2006
  • 천연 항산화제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민간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청미래덩굴 뿌리의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건조된 청미래덩굴 뿌리를 물 및 25%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연구시료로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얻어진 양은 건조시료 1.0 g에서 69.3 mg, 87.9 mg이 각각 얻어졌다. 추출액 1 mL를 동결건조하였을 때 얻어진 양은 23.1 mg과 29.0 mg이었다. 두 추출물의 총페놀함량은 비교적 높았으며, 건조시료 1.0 g당 약 36 mg으로 추출물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DPPH 라디칼 형성을 50%로 낮추는데 요구되는 추출물의 농도$(SC_{50})$는 물 추출물이 $12.1{\mu}L$, 에탄올 추출물이 $6.3{\mu}L$로 에탄올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DPPH 소거활성을 보였다. NO 라디칼 소거에 대한 두 추출물의 활성은 $50{\mu}L$에서 물 추출물이 약 75%, 에탄올 추출물이 88%로 에탄올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p<0.05). 두 추출물의 pH를 달리한 조건에서 $NO_2$ 소거활성을 조사한 결과, pH가 낮을수록 $NO_2$의 소거활성이 더 높았다. 동일농도 1 mL의 pH 4.2 및 pH 6.0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pH 1.2의 강산 조건에서는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두 추출물 모두 98% 이상의 높은 $NO_2$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다. Vitamin C의 환원력과 비교했을 때, 0.5 mg 농도에서는 두 추출물의 환원력이 vitamin C보다 낮았으나, 0.1 mg 이하에서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훨씬 더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p<0.01).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는 추출물 1 mL에서 물 추출물이 44.6%, 에탄올 추출물이 52.6%로 비교적 높은 저해효과를 보였다. 두 추출물의 총 페놀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DPPH 및 NO, $NO_2$ 라디칼의 소거활성 효과, 환원력,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므로 청미래덩굴 뿌리의 경우 페놀화합물 외에도 다른 성분들이 항산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발효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이 사염화탄소에 의한 마우스의 간 손상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Smilax china Leaf Extract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Mice)

  • 김미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6-175
    • /
    • 2014
  • 발효 청미래덩굴잎의 해독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식이군(NC), 기본식이를 급여한 후 $CCl_4$ 처리군(CB), 비발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 분획물을 기본 식이에 0.5% 혼합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하였다. $CCl_4$를 처리한 군(NS),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 분획물을 기본 식이에 0.5% 혼합한 식이로 4주간 사육한 후, $CCl_4$를 처리한 군(FS)의 4개군(5마리/군)으로 구분하여 체중,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ALT 및 AST 활성, GSH 및 LPO 함량, 혈청 지질 함량, XO 및 AO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CCl_4$를 처리한 군(CB, NS, FS)의 체중증가량은 NC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NS군과 FS군에서는 그 감소율이 낮았으며, FS군에서 더욱 낮았다. 이와 반대로 간의 중량은 $CCl_4$ 처리군들에서 높았으나, FS군에 NS군에 비하여 낮았다. ALT 및 AST 활성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32.34~3.80배가 높았으며,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6.34~37.35% 및 34.97~45.66%가 낮았다. 혈청 중성 지질의 함량은 NC군에 비하여 CB군이 81.71%가 높았으며, NS군과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5.61% 및 28.22%가 낮았다. Total cholesterol 함량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54.07%가 높았으나,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10.59% 및 17.99%가 낮았으며, LDL-cholesterol의 함량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반면에, HDL-cholesterol의 함량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55.08%가 낮았으나, NS군 및 FS군은 CB군에 비하여 각각 26.96% 및 72.12%가 높았다. GSH의 함량(${\mu}mole/g$ of tissue)은 CB군(4.42)이 NC군(5.09)에 비하여 13.16%가 낮았으나, NS군과 FS군은 각각 4.84 및 4.93으로 NC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NS군과 FS군 간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LPO의 함량(MDA nmole/g of tissue)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36.71%가 높았으나, 특히 FS군에서는 NC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XO(xanthine oxidase) 활성(% against control)은 NC군이 98.45, CB군 128.97, NS군 119.70, FS군 90.65로 NS군은 CB군과, FS군은 NS군과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O(aldehyde oxidase)의 활성(% against control)은 CB군이 NC군에 비하여 22.48%가 높았으나, NS군 및 FS군은 NC군에 비하여 각각 14.88% 및 7.56%가 높았으며, CB군에 비하여는 각각 8.94% 및 16.15%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 ethylacetate 추출물은 비발효 경우에 비하여 $CCl_4$를 처리한 mouse에서 간 조직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높으며, 이는 FS군에서 XO 및 AO의 저해활성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 청미래덩굴잎에 존재하는 flavonoid 배당체가 발효에 의하여 분해되어 aglycone화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라 사료된다.

답압으로 훼손된 임간나지의 임상식생 복원에 관한 연구(II) -자생 수종선발을 위한 생장력 비교- (Studies on Restoraation of Forest-Floor Vegetation Devastated by Recreational Trampling(II) -A Comparison of Growth for Selection of Native Tree Species-)

  • 오구균;우보명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61
    • /
    • 1993
  • Seeding treatment was used for 2 years at an artificial bare ground for selecting tree species suitable for forest-floor revegetation. 2 ${\times}$2${\times}$2 factorial experiment was used with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for 19 native tree species an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Native species suitable for restoration of bareland under 75% shading in central part of Korea were Styrax japonica, Styrax obassia, Smilax china, Callicarpa japonica, Stephanandra incisa, Viburnum dilatatum for. pilosulm, Magnolia sieboldii, Cornus kousa, Celastrus orbiculata, etc.. Especially, Magnolia sieboldii, Stephanandra incisa and Stryrax obassia were tolerant for forest-floor with hardened woil surface and Callicarpa japonica, Viburnum dilatatum for. pilosulum, Euonymus sieboldianus and Philadelphus schrenkii were suitable for softened soil surface with straw-mat mulching. 2. It is necessary to break seed dormancy to accelerate germination in case of Styrax obassia, Styrax japonica, Viburnum dilatatum for. pilosulum, Smilax china and Stephanandra incisa.

  • PDF

수종 생약의 Protein kinase C 저해활성 (Inhibitory Activity against Protein Kinase C of Some Medicinal Plants)

  • 이현선;안순철;김보연;박문수;오원근;윤병대;안종석;민태익
    • 생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2-145
    • /
    • 1992
  • MeOH extract of twenty medicinal herbs were screened for their effects against protein kinase C (PKC) using bleb-forming assay and PKC enzyme assay. Smilax china and Sanguisorba officinalis showed potent anti-PKC activity. Campsis grandiflora and Galla Halepensis showed moderate inhibitory effect on PKC.

  • PDF

Agrobacterium tumefaciens에 대한 약용식물의 탐색 I (The Screening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Agrobacterium tumefaciens I)

  • 음진성;박영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87-1090
    • /
    • 2009
  • 본 연구는 약용식물로부터 항균활성 물질을 찾기 위하여 Glycyrrhiza uralensis, Dryopteris crassirhizoma, Dictamnus albus, Paeonia lactiflora, Angelica dahurica, Spirodela polyrhiza, Cimicifuga heracleifolia, Bupleurum falcatum, Magnolia kobus, Artemisia princeps, Arctium lappa, Aster tataricus, Hovenia dulcis, Citrus unshiu, Asparagus cochinchinensis, Gardenia jasminoides, Smilax china, Hovenia dulcis, Prunus sargentii, Scutellaria baicalensis등의 약용식물을 사용하였다. 총 20종류의 약용식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분리하여 Agrobacterium tumefaciens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Glycyrrhiza uralensis, Dryopteris crassirhizoma, Cimicifuga heracleifolia, Bupleurum falcatum,의 추출물이 Agrobacterium tumefacien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 PDF

Smilax riparia 잎의 항산화 성분 (The Anti-oxidative Compounds of Smilax riparia Leaves)

  • 조은선;김정일;김호현;전인주;함인혜;황완균
    • 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00-306
    • /
    • 2003
  • Rhizoma of Smilax china has been used as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ntiedemic agent in Korean folk medici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anti-oxidative activity, the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and the isolation were performed. Each fractions ($H_2O$ fraction, 20%, 40%, 60%, 100% MeOH fractions and CHCl$_3$ fraction) was examined antioxidant activity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It was revealed that 40%, 20% MeOH fractions and $H_2O$ fractions have significant anti-oxidative activity. From 40% and 20% MeOH fractions two flavonoid glycosides and one procyanidin were isolated and elucidated apigenin-7-Ο-$\alpha$-L-rhamnopyranosyl(1\longrightarrow2)-$\beta$-D-glucopyranoside, apigenin-7-Ο-$\alpha$-L-rhamnopyranosyl(1\long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and catechin(4$\alpha$\longrightarrow6)epicatechin through their physicochemical data and IR, FAB-MS, $^{13}$ C-NMR, and $^1$H-NMR analysis with authentics, respectively. The isolated compounds were examined by DPPH method. Apigenin-7-Ο-$\alpha$-L-rhamnopyranosyl(1\longrightarrow2)-$\beta$-D-glucopyranoside and catechin (4$\alpha$\longrightarrow6) epicatechin showed powerfu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n DPPH radical among three comp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