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Addiction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자아탄력성, 충동성,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Ego Resilience, Impulsivity and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 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92-202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자아 탄력성, 충동성,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11월부터 12월까지이며, 분석대상은 231명 이었다. 자료 분석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 t-test로 분석을 하였고, 스마트폰 중독과 중요변수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성별, 대학생활 만족도, 스마트폰 사용시간, SNS 사용시간, 자아 탄력성, 충동성,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련성에서는 성별에서 여학생이, 대학생활에 만족하지 않는 군에서,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SNS 사용시간이 많은 군에서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았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자아 탄력성은 스마트폰 중독과 음의 상관관계를, 충동성, 생활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성별, 자아 탄력성, 생활스트레스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5.6%이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을 개선하여 스트레스 환경을 최소화 하는 학교차원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 김채현;김경미;장문영;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1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군 아동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고, 중독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3~6세 아동 32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중독군과 정상사용군을 구분하기 위해 유아동 스마트폰 중독 관찰자 척도를 사용하였고, 감각처리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단축감각 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스마트폰 중독군과 정상사용군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 중독군에서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중독군과 스마트폰 정상사용군은 감각처리능력 중 촉각 민감성(p=.020), 맛/냄새 민감성(p=.021), 움직임 민감성(p=.042), 과소반응/특정자극 찾는 행동(p=.000), 청각 여과하기(p=.000),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p=.000), 시각/청각민감성(p=.000), 총점(p=.000)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군은 감각처리 영역 중 청각여과하기(r=-.293), 시각/청각민감성(r=-.393)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3~6세 학령전기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 정상사용군과 감각처리능력에 차이가 있었고, 스마트폰 중독은 감각처리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 아동의 감각처리 특성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University Students' Propensity toward Smartphone Addiction Affects Their Leisure Satisfaction)

  • 류미현;조향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1호
    • /
    • pp.47-68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leisure time constraint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attempted to promote an effective and desirable leisure cultur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leisure time constraints showed differences in terms of the withdrawal factors, overall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leisure satisfaction;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withdrawal and overall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contro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Second, in the case of university students, it wa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leisure constraints, as disturbance of daily living and tolerance are higher, leisure satisfaction is lower in those with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Effects of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Lee, Jeongmin;Cho, Bora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3호
    • /
    • pp.1-6
    • /
    • 2015
  • This study presents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the sub-factors of both self-control and school adjustment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a samp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is comprised of 93 5th-grade students from x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Korea. A descriptive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following two study results are presented: 1) Among the sub-factors of self-control, instant gratification positively predicts smartphone addiction. 2) Among the sub-factors of school adjustment, a student's adherence to school rules negatively predicts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among elementary-school students are discussed.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분류군 별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기통제력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ddiction-risk Groups among College Students: A Focus on Self-control)

  • 장인순;박승미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34-64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ddiction-risk groups among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self-control. Methods: A sample of 242 college students at K University in Seoul was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mposed of items for the 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self-control scale was used to collect data. Results: The number of students in smartphone addiction-risk group was 66 (27.3%). This study had 17.5% of the explanatory power, including perceived smartphone necessity (${\beta}=.330$, p=.007), and instant self-control (${\beta}=-.281$, p=.028) in addiction-risk group. Whereas, in non-risk group, the affecting factors included gender (${\beta}=.194$, p=.004), self-awareness of addiction (${\beta}=-.290$, p<.001), and instant self-control (${\beta}=-.281$, p<.001) with 31.3% of the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the addiction of smartphones and to improve self-control among college students.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과 비중독군의 스마트폰 중독 관련 요인 (The Differences in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between Highly Addicted and Non-addicted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y Types of Risk Groups)

  • 김상희;김정이;전소연;우경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7-7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ypes of risk grou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Data of 223 students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st to 22nd of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χ2 test, correlat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was used to classify the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18.8% (n=42) of the total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as the addiction risk group and 81.2% (n=181) were categorized as the general population group. Result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udents in the high risk group were grade (t=3.89, p=.036) and religion (F=3.79, p=.044). In the high risk group, psychological anxiety (β=.39, p=.005) and relapse of internet addiction (β=.38, p=.006) explained 46.0% of smartphone addiction, while in the normal risk group, relapse of internet addiction (β=.42, p<.001), psychological anxiety (β=.22, p=.004), tolerance of internet addiction (β=.17, p=.007), and academic stress (β=.14, p=.027) explained 51.0% of smartphone addiction.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a more specific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that can reduce psychological anxiety and relapse of internet addiction. It is clear that urgent measures need to be taken for the highly addicted students such as academic counseling.

대학 기숙사생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interpersonal proble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 living in a dormitory)

  • 이미영;강희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413-421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 기숙사생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K시 소재 대학생 중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최종 1,01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그리고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 대인관계 문제, 스마트폰 중독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우울의 수준이 높을수록 기숙사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높였다. 대인관계 문제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기숙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낮출 수 있는 전략으로 대인관계 문제를 다룰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상담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과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 and Depression)

  • 홍은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1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 and depression. Methods: From 21 to 30 May 2013, a convenience sample of 192 subjects was recruite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SPSS version 18.0. Results: Scores for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for male students in smartphone addiction, interpersonal peoblems and depression. The average BDI score was 6.6. There were 29(15.1%), 11(5.7%), 8(4.0%), and 6(3.1%) students with mild, moderate, and severe depression, respective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Conclusion: Smartphone addiction plays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problems and depression, and also increases the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s on depression. When developing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such programs should consider strategies to decrease smartphone addiction and increase dir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female students in particular should be included in such programs.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 of Family Relationship and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 Kim, Na-Y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197-20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가족관계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자기효능감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 중학교 3학년 재학생 318명이다. 본 연구결과는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가족관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가족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자기효능감이 가족관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대학생의 성인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and Covert Narcissism on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 이영창;김남희;권성진;김보성
    • 감성과학
    • /
    • 제23권1호
    • /
    • pp.103-112
    • /
    • 2020
  •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이 된 스마트폰은 단순히 생활필수품을 넘어 현대인들이 과도하게 몰입하게 되는 대상이 되었다. 이로 인해 현대인들의 다수는 스마트폰 중독 현상에 노출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상 중독 현상은 대상물 자체의 문제를 넘어 이를 이용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대학생들의 성인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중독 척도, 성인 애착 척도, 내현적 자기애의 척도를 각각 사용하여, 스마트폰 중독, 성인 애착 및 내현적 자기애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종속변수로 하고, 성인 애착정도와 내현적 자기애 정도를 독립 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불안 애착과 내현적 자기애의 과민/취약성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자들의 심리적 특성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방법이 요구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