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phone APP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5초

SCAMPER 기법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phone App Providing the SCAMPER Method)

  • 이혜주;정의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9-37
    • /
    • 2011
  • SCAMPER 기법은 사물이나 대상을 새롭게 변형, 보완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생산하는데 효과적인 창의성 신장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SCAMPER 기법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을 설계 구현하고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연과 실습을 통해 개발한 스마트폰 앱의 효용성과 단점 및 개선사항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개발한 스마트폰 앱은 가치 및 활용, 내용 및 구성 면에서 효과적이었으며, 시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 가능하였다. 또한 아이디어를 쉽게 작성, 저장하고, 공유함으로써 양방향 상호작용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에서는 향후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SCMAPER 기법을 앱을 통해 효율적으로 창의성을 신장시키고 계발할 수 있는 도구로 제공될 수 있도록 개선사항들이 제언되었다.

  • PDF

스마트폰 의료 앱 사용자 체험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중국 의료 앱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impact factors of smartphone medical APP user experience - centered on Chinese medical APP)

  • 장주어;장청건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25-133
    • /
    • 2021
  • 체험의 시대를 맞아 사용자 체험은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사용자 체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 의료 앱의 사용자 체험에서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며 이러한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함으로써 의료 앱을 개발 시 우선시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제의를 하며 의료 엡 디자인의 최적화 및 서비스 품질 개선에 참고로 체공하고자 한다. 우선 사용자 체험 이론, 스마트폰 앱의 사용자 체험과 모바일 의료 앱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의료 앱 사용자 체험 요인을 정리한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앱 다운로드 경험이 많고 의료 앱을 사용하는 20~40대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며 18가지 영향요인에 대하여 점수를 매긴다. 마지막으로 개발자가 새로운 앱을 개발할 경우 제품자원, 의료 광고 추천, 의사와 환자의 상호 작용성, 정서적 재미 유발, 응용 프로그램 학습 용이성 등의 영향요인이 사용자가 앱을 사용한 경우 좋은 체험을 얻게 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스마트폰 저작도구를 이용한 APP 교육과정의 효율성 연구 (A Study of Effectiveness of the APP Curriculum using Smartphone Authoring Tool)

  • 장영현;안재민;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5-298
    • /
    • 2011
  • 본 논문은 스마트 APP 개발자들에 대하여 개발기간 단축에 대한 최대의 효율성을 제시하기 위한 스마트폰 APP 교육에 대하여 스마트폰 저작도구의 교육과정을 분석조사 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스마트폰에서 운영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쉽고 빠른 방법으로 개발할 수 있는 효율적인 개발자에 대한 교육 방법론을 찾아내는 것이 최선의 목표이다. 논문의 최종 목표는 스마트폰 APP 저작도구를 사용하여 비즈니스 APP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즉 실무현장에 대하여 완벽한 해당 분야의 전문지식을 가진 현장경험 실무가가 사용할 효율적인 스마트APP에 대하여 첨단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하는 저작도구와 교육과정의 제시방안이다.

  • PDF

모바일 앱 사용행태 분석을 위한 역컴파일 및 역어셈블 데이터 로깅 (Disassembly and De-Compilation Based Data Logging for Mobile App Usage Analysis)

  • 김명준;남양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1권4호
    • /
    • pp.127-139
    • /
    • 2014
  • This study presents a logging method to trace the usage patterns of existing smartphone apps. The actual smartphone app itself, not a specially developed similar app with usage logging, would be used best for the experiment of observing the usage patterns. For this purpose, we used a method of injecting logging codes into existing smartphone app. Using this method,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trace usage patterns of a commercial IPTV app, and found that the method is very useful for acquiring detail usage log without influencing participants.

차량용 앱 및 앱 마켓 유형에 대한 잠재고객의 사용의도 분석 연구: 스마트폰과의 상호 운용성의 중요성 (AStudy of Potential CustomerUsage Intentfor in-Vehicle Apps and App Markettype)

  • 홍주혜;이창훈;박규홍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3호
    • /
    • pp.225-25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of in-vehicle app development and service, the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customers' intention to use and the factors that affect it was explored. It was also checked whether the two types of app development platform and the experience of the existing smartphone app platform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se relationships. Design/methodology/approach Data was gathered through surveys, collecting responses from 904 potential consumers of vehicle app services in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it was found that potential customers considered enjoyment as the most important benefit factor in in-vehicle app service, and the most important external factor affecting enjoyment was functional compatibility with smartphone. The type of vehicle app development platform did not have a meaningful moderating effect on the factor relationship, whereas the smartphone app platform experience showed a meaningful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It was analyzed that the risk of app performance, personal information privacy, and driving safety data di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vehicle app service.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bile Services Based on Smartphone Application in Academic Libraries)

  • 정종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1-191
    • /
    • 2011
  • 본 연구는 스마트폰과 앱에 관한 정보통신기술의 원리를 소개하고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대표적인 서비스 사례들을 살펴보고 미래 도서관의 모바일서비스 예측에 의거 바람직한 스마트폰 앱기반의 모바일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스마트폰 앱기반 모바일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모바일 웹과 앱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서비스 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도서관서비스에 적용할 스마트폰 앱 평가 원칙을 수립한다. 셋째, 대학도서관의 마케팅과 교육서비스에 앱을 개발하거나 활용한다. 넷째, 앱정보에 대한 앱서지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스마트폰의 홈 화면구조에 따른 효율적 UI 방안 모색 (An Examination of an Efficient UI of Smartphone Home Screen Structure)

  • 최진해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37-446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raw an efficient UI design by comparing the usability of App drawer and single-layered home screens, which are smartphone home screens. Background: Because smartphone home screen is frequently used including the installation, deletion, and editing of APPs, it should be designed with easily controllable information structure. There is a need to seek a user-friendly UI by comparing the usability of App drawer and single-layered home screens, of which methods to search Apps are different. There is also a need to examine an efficient UI and the factors to improve from the user perspective. Method: This study targeted 30 Android OS and iOS users to evaluate the App drawer and single-layered home screens, of which UI structures are different. Each participant was instructed to carry out an App searching task and App deleting task, and the execution time and the number of errors were measured. After the tasks were completed, they evaluated satisfactio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In the App searching task with low task level, there was no difference in execution level between the App drawer and single-layered home screens. However, the single-layered home screen showed higher efficiency and accuracy in the App deleting task with high task level. As for the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use experi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among Android OS users, but iOS user satisfaction with single-layered home screen with which they were familiar was higher. Conclusion: As for home screen usability, the single-layered home screen UI structure can be advantageous, as task level is higher. Repulsion was higher, when users, who had used easier UI, used complex UI in comparison with user satisfaction, when users familiar with complex UI used easier UI. A UI indicating the current status with clear label marking through a task flow chart-based analysis, and a UI in which a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by exposing hidden functions to the first depth were revealed as things to improve.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in designing smartphone home screens. Especially, when iOS users use Android OS, the results are presumed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predicted barriers.

Smart Tourism: A Study of Mobile Application Use by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 Brennan, Bradley S.;Koo, Chulmo;Bae, Kyung Mi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identify the mobile phone applications (apps) used by foreign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through a pilot study using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Concentrating on tourist mobile app use in a smart tourism environment and categorized through a taxonomy of mobile applications lays the framework and determines the factors boosting tourism smartphone app trends by foreign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ethnographic methods and analyzed it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o uncover major themes within the smart tourism app use phenomenon. The researchers coded, counted, analyzed, and then divided the findings gleaned from a pilot study and interviews into a taxonomy of seven logical smartphone app categories. The labeling and coding of all the data accounting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an be recognized and are logically discussed in the implications of the apps used by tourists to assist tourist destinations. More specifically these findings will assist smart tourism destinations by better understanding foreign tourist smartphone app use behavior.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interviewed in this study exhibited significant mastery of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craved free WiFi access, and utilized smartphone apps for all facets of their travel. Findings show major concentrations of app use in bookings of accommodations, tourist attractions, online shopping, navigation, wayfin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earching, language translation, gaming, and online dating while traveling in South Korea.

스마트폰 맛집 앱 서비스품질과 사용후기 특성이 앱만족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the Service Quality and the Usage Review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 Majib App on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of Majib App)

  • 한지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4-251
    • /
    • 2016
  • 본 연구는 스마트폰 맛집 앱에 대한 서비스품질(정보성, 유용성, 이동성, 신뢰성, 공감성)과 사용후기 특성(사용후기 동의성, 사용후기 유용성)이 맛집 앱을 이용한 후의 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외식업체들이 스마트폰 앱을 통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할 수 있도록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2015년 9월 1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스마트폰 맛집 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312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유효한 자료 29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맛집 앱에 대한 서비스품질 중 신뢰성, 공감성, 유용성이 맛집 앱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보성과 이동성은 맛집 앱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용후기 특성 중 사용후기 동의성만이 맛집 앱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후기 유용성은 맛집 앱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맛집 앱만족은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앱과 자가보고식 설문지의 신체활동 측정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Measurement of Physical Activity between Smartphone App and Self-Reported Questionnaire)

  • 서민희;서경산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1-9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smartphone apps and self-reported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Methods: Quantitative methods were used to assess the correlation and agreement between the number of steps counted by a smartphone app and the amount of walking reported in a survey. A total of 29 adults who used smartphones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and their step counts from their smartphone pedometers and responses to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were collected over a 10-week period. Results: An analysis of 170 data pairs with Spearman's rho correlation and a Bland-Altman plot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ep counts from the smartphone app and walking activity from the IPAQ. The Bland-Altman plot also demonstrated the agreement to be improved among female participants. Conclusion: In assessing walking activity, smartphone pedometer apps showed good correlation with the IPAQ and improved agreement with the IPAQ among wome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participants' gender and activity intensity, as well as the accuracy of measurement tools, should be considered in an evaluation of the delivery of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s through smartphone ap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