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Education

검색결과 1,489건 처리시간 0.035초

데이터센터 냉각방식의 추이와 테스트 베드 개념 설계 (Internet Data Center Cooling System Trend and Facility Configuration Case)

  • 백종국;최환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29-438
    • /
    • 2023
  •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여 스마트 팩토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는 기본적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제조업으로 많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IT 서비스를 필요로 하게 되고 이는 데이터센터의 건립을 가속화하고 있다. 데이터센터의 전산장비는 발열부하와 사용시간 측면에서 일반적인 시설의 냉방 기술과는 다른 차원으로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최근 데이터센터 냉방 시스템 설계에서 검토해야 할 요인과 기술 변화 트렌드를 조사하고 사례기업의 시설 구성을 위한 각종 기술적 방식을 비교 검토하여 설계안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결론에 해당하는 개념 설계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 Mixed-Method Approach to Explore the Motivations and Constraints of Kiosks Consumers

  • Taehyee Um;Hyunji Kim;Jumi RHee;Namho Ch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2권1호
    • /
    • pp.92-124
    • /
    • 2022
  • Providing services using kiosks is actively carried out between suppliers and consumers. These service processes have recently begun to play a dominant role in transactions. However, previous self-service technology (SST) studies or kiosks have not fully reflected the chang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se different technologies. To cover the updated business environments, we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variables emphasized as motivations and constraints for kiosks use and those that can be newly illuminated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e then applied the variables to the research model to assess their influence. In terms of the motivations for using kiosks, the results suggest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compatibility as service quality, forced use, and perceived service providers' efficiency as provider polices, absorptive capacity, and habit as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social influence as a subjective norm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kiosks. In terms of constraints, difficult to use and need for interaction predicts the attitude toward kiosks. Attitude toward kiosk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ocial influence are directly related to the intention to use kiosks. Lastly, intention to use kiosks plays a significant role as an antecedent of revisit intention. Using these empirical results, we propose both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kiosks use.

4차 산업혁명시대 부동산 산업을 위한 교육플랫폼 연구: Smart Space EduPlatform 제안 (Education Platform for Real Estate Industry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Proposing the Smart Space EduPlatform)

  • 이진경
    • 정보화정책
    • /
    • 제26권1호
    • /
    • pp.46-61
    • /
    • 2019
  • 4차 산업 혁명은 산업도 교육도 대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부동산 산업을 위한 교육플랫폼 제안연구로써 부동산의 최유효활용을 위해 Smart Space를 구현하는 인재교육을 목적으로 부동산 산업 인재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 RETech(Real Estate Technology)을 학습할 수 있는 SSEP(Smart Space EduPlatform)을 제안하였다. 우선, SSEP의 생태계는 지속가능성이 확보될 수 있는 기부시스템, 콘텐츠 제작도구 및 학습참여도구 등 다양한 기술적 기능, 학습자 교수자 조력자 형태의 자유로운 학습행위체계로 움직인다. 다음으로 SSEP의 서비스는 학습범주 즉, 계획 및 설계, 의사결정, 관리, 경제, 건설, 설비 6개 범주 하에 17개 중요한 RETech 강의학습 서비스와 PBL(Project-Based Learning)기반의 교육과정서비스를 제공한다. 강의서비스는 동영상 학습 콘텐츠, 부가학습자료, 학습관리 서비스가 제공되고 교육과정서비스는 교수자 워크숍, 학습자 모집 및 등록 관리, 교육과정운영 서비스들이 제공된다.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스마트케어 서비스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mart-care services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 정복례;홍성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5-106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mart-care services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on cognitive function and physical health. Methods: A quasi-experimental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was used. Subjects were recruited in D cit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017 to February 2018. The experimental group (n=24) participated in the smart-care services program, whereas the control group (n=26) received conventional management. The smart-care services program consisted of addressing cognitive function problems arising from chemotherapy, diet, exercise, head/neck massage and self-monitoring using smartphone applications and smart bands. All participants underwent assessments at baseline, at 6 weeks, and at 12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 chi-squared test,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After the smart-care services program,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in cognitive function (F=18.91, p<.001) and sleep time (F=9.25, 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in caloric consumption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The smart-care services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and sleep tim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The use of this smart-care services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might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ol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health behaviors.

중학교 「기술·가정」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단원에 적용한 스마트 교수·학습 과정안과 교재 개발 (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based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a smart textbook for 'healthy diet and meal plans'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 최송은;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5-114
    • /
    • 2014
  • 본 연구는 21세기 학습 환경과 학습자가 변화되고 있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중학교 기술 가정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가정과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과 스마트교재를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스마트교재를 평가하고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가정과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한 식생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기본으로 하여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식생활 스마트교재를 제작한다. 셋째, 개발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 수업을 실행한 후에 이 수업을 평가한다. 연구 과정은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2009 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 교육과정과 해설서, 성취기준 성취수준 분석 및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관련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상하고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기술 가정 교육과정의 '청소년의 생활' 단원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교과서의 내용 요소를 추출하여 내용을 재구성하고, 재구성한 내용을 토대로 학습 목표 및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청소년의 생활'에 속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중 2개의 소단원인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와 '균형 잡힌 건강 식생활의 실천'으로 각 2차시씩 총 4차시 분량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 및 학습 자료 등의 교수 학습 자료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스마트컨텐츠 저작도구인 DocZoom을 이용하여 스마트교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성 및 스마트교재 활용 수업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자 사전 사후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적용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관련 스마트교재를 수업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을 토대로 제작한 소단원 2개 분량의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를 이용하여 2014년 6월 2일부터 6월 13일까지 경기도 광명에 있는 남녀공학의 S 중학교 1학년 각각 3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1주일에 2시간씩 기술 가정 수업에 직접 활용하였다. 총 2주간의 수업을 실행한 후,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고, 평가 단계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설문 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쌍표본 t-test를 실시하여 개발된 식생활교육 스마트교재의 수업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에서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t=-3.99, p<.001),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t=-2.61, p<.05), 학습에의 주도성 및 독립성(t=-4.77, p<.001), 학생들의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t=-3.83, p<.001)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 수업에 대한 평가를 한 결과,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수업 자료를 찾는데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으며, 동영상과 도표 등의 관련 자료를 바로 볼 수 있어 이해하기 쉬웠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다수의 학생이 기존의 서책형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보다 편리하였으며, 수업이 더 재미있어졌다고 응답하는 등 학생들은 스마트교재를 이용한 수업을 흥미로워 하였으며, 학습에 도움이 되는 등의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가정과에서 스마트교재를 활용한 스마트교육은 가정과 수업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정, 학습에서의 주도성 및 독립성, 식생활 수업에 대한 관심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학습자의 스마트폰 제어를 위한 아이스마트키퍼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_smart_keeper for the Learner's Smart Phone Control)

  • 한규정;허재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53-26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학교와 가정에서 학생들의 스마트 폰을 제어 할 수 있는 서비스인 아이스마트키퍼를 개발하였다. 이 서비스의 구현은 서버, 교사 앱, 부모앱, 학생앱 등으로 구성하였고, 학교에서의 스마트폰 제어는 학교일일시정표와 위치기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으로 동작된다. 즉 학교의 주관리자가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학생의 스마트폰은 6가지 정책중 하나로 동작된다. 6가지 정책은 비상전화만 허용, 특정앱허용, 전화만허용, 전화/문자허용, 모두허용, 모두잠금 등이다. 이런 6가지 정책은 수업시간에 교사의 스마트폰으로 임시정책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특히 특정앱허용의 정책을 활용하면 수업에 유용한 앱만을 가지고 수업이 가능하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조퇴 등으로 학교위치를 벗어난 경우에는 위치기반으로 학생들의 스마트폰이 학교 정책을 적용받지 않게 된다. 그리고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스마트건강지수를 5가지 유형중 하나로 표시하여 학생들의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을 유도하였다. 또한 가정에서도 부모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제어 할 수 있다. 본 서비스의 도입으로 학교에서는 스마트폰을 수거하지 않고 도난에 따른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 현재 1개 초등학교는 전체학생이 사용 중이며 3개 초등학교가 시험 실시중이다. 시험실시결과 교사의 만족도는 매우 높았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활용하는 교사의 비율이 높았다. 학생들의 설문 조사 결과 만족도가 높았다.

고등 수학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교육환경 및 학습자 역량의 확장 (A study on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tudents' competence through smart learning in the tertiary mathematics education)

  • 홍예윤;임연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213-2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 수학교육에 있어서 스마트 러닝의 특징적 적용을 통해 교육환경의 확장과 학습자 역량의 확장을 시도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7년 G대학에서 1학년 학생들의 공학인증 과목 중 하나인 미적분학I을 수강하는 화공생명학과 학생들 118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분리하여 스마트러닝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즉 수업에서 공학도구를 활용한 다양한 학습활동과 SNS를 통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시각적 이해와 수학적 개념형성, 그리고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실험집단에서 긍정적인 학업성취를 보였으며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고등 수학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질 높은 스마트러닝을 실현하기 위한 전략을 제안한다.

데이터 기반 모델에 의한 강제환기식 육계사 내 기온 변화 예측 (Data-Based Model Approach to Predict Internal Air Temperature in a Mechanically-Ventilated Broiler House)

  • 최락영;채영현;이세연;박진선;홍세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4권5호
    • /
    • pp.27-39
    • /
    • 2022
  • The smart farm is recognized as a solution for future farmers having positive effects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poultry industry. Intelligent microclimate control can be a key technology for broiler production which is extremely vulnerable to abnormal indoor air temperatures. Furthermore, better control of indoor microclimate can be achieved by accurate prediction of indoor air temperature. This study developed predictive models for internal air temperature in a mechanically-ventilated broiler house based on the data measured during three rearing periods, which were different in seasonal climate and ventilation operation. Three machine learning models and a mechanistic model based on thermal energy balance were used for the predi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ll models gave good predictions for 1-minute future air temperature showin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greater than 0.99 and the root-mean-square-error smaller than 0.306℃. However, for 1-hour future air temperature, only the mechanistic model showed good accuracy wi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0.934 and the root-mean-square-error of 0.841℃. Since the mechanistic model was based on the mathematical descriptions of the heat transfer processes that occurred in the broiler house, it showed better prediction performances compared to the black-box machine learning models. Therefore, it was proven to be useful for intelligent microclimate control which would be developed in future studies.

스마트 기술 기반의 융복합 응용 동향 및 미래 (The Future of ICT Fusions based on Smart Technology)

  • 이동우;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147-152
    • /
    • 2012
  • "스마트"라는 단어는 최근에 우리가 접하고 있으면서 여러 매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사용되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스마트(smart)란 단어가 들어가는 제품들 - 스마트 폰, 스마트 TV,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키 등 - 을 보면서 과연 스마트란 어떠한 기술일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스마트 기술이란 무엇인지를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더불어 최근엔 융합사회로의 진화 - 스마트 자동차, 스마트 홈, 스마트 조선, 스마트 러닝 혹은 교육 - 현상이 강조되고 있는 요즘,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융복합의 특성을 지닌 제품들의 동향 및 미래상을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미래 교육 콘텐츠 구성요건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스마트홈서비스 환경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Grounded Theory Study on Content and Structure of Future Education in Smart Home Services)

  • 원종서;이정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32-448
    • /
    • 2018
  • 4차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교육도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될 것으로 예견된다. 본 연구는 미래의 교육이 어떻게 변화하여야 하는 지를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미래형 스마트홈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기대하는 교육콘텐츠의 내용과 구성에 대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근거이론분석을 하였다.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코딩 결과의 부분적인 검증을 위해 빅데이터분석 결과와 대조하였다. 결과적으로 스마트홈서비스 교육콘텐츠 활용의 맥락을 11개의 범주들로 정의할 수 있었다. 스마트홈서비스 교육콘텐츠 활성화를 위해서는, 필요성을 강조하여 가치 창출(중심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콘텐츠 차별화를 통해 햄릿증후군을 극복(인과적 조건)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내용의 다양성과 각 콘텐츠 요소들 간의 연결성(맥락적 조건)을 확보해야 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일 수 있는 연구(중개적 상황)가 선행되어, 콘텐츠는 큐레이션되고 즉시성(상호작용전략)이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선택 코딩에서는 사용자들이 근미래 스마트홈서비스에서 제공되기 바라는 교육콘텐츠의 유형은 자기계발, 살림고수, 건강관리, 마음치유의 네 가지로 대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