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phone App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4초

스마트폰 증후군 예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pplication for Preventing Smart-phone Syndrome)

  • 변지운;조면균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7-12
    • /
    • 2015
  • As smart phone became popular, its excessive uses cause adverse effects called smart-phone syndrome such as Turtle-neck syndrome in physical side and smart-phone addiction in mental aspects. Turtle-neck syndrome incurred by incorrect posture when you watch smart-phone, which causes a serious health problems. However, these syndromes can be detected by gyro-sensor and timer, and prevented by correcting the posture and halting the function with smart-phone application (App). Thus, this paper proposes App that helps user to realize bad posture and addiction to smart-phone, and to acquire the correct habit by inducing user to stretch neck or to stop operation with warning message. If we tried to adjust bad posture and addiction in using smart-phone through this application, the social losses from smart-phone syndrome would be minimized as a result.

스마트폰 App 개발 환경 구축 (Environment Construction for App Development Using Smart-phones)

  • 김진환;조재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74-57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다양한 스마트폰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스마트폰들과 다양한 운영체제가 활용되고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많이 보급되어 있고 향후에도 많이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는 세 가지 스마트폰 즉,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Mobile(최근 Windows Phone 7), 애플의 아이폰, 구글의 안드로이드폰을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할 때 필요한 환경(장비와 소프트웨어) 구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PDF

대규모 강의를 위한 안드로이드 폰 앱 개발 (Android phone app. development for large scale classes)

  • 김일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343-354
    • /
    • 2011
  • 인문학 수업에서 교수와 학생간에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수강하는 대규모 집합 교육의 경우, 수많은 학생들과 교수가 의견을 교환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폰의 앱(app)을 개발하여, 대규모 집합 교육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의 제한성을 극복하고자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앱은 스마트폰의 정보처리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을 활용하였다. 대규모 집합 교육의 보조 기구로 사용하여 대규모 집합 교육의 교육 효과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벤트 및 마케팅 도구로서 리얼레이스 LBS스마트폰 앱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Race LBS Smart Phone App. As an Event and Marketing Tool)

  • 조병호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272-277
    • /
    • 2011
  • LBS는 스마트폰 시대의 가장 핵심적인 킬러 앱으로 스마트폰에는 기본적으로 위치 기반 서버스를 하기 위한 위치 측위 기술로서 GPS, Wi-Fi AP, 3G ID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구글맵이나 다음 맵처럼 Open API를 통해 지도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은 위치기반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 가장 적합한 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벤트 및 마케팅에 적용되는 위치기반 스마트 폰 앱인 "리얼레이스 앱"의 설계 및 구현을 제시하고자 한다.

APP 분석 시스템 및 CMS시스템 오픈API 개발 (Development of App Analysis System and CMS System Open API)

  • 김성림;박형록;전수진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3-33
    • /
    • 2014
  • The smart phone are changing the way people communicate. And, the mobile app marketplace is greatly fast-growing. The app store continues its rapid growth, there are already more than 900,000 mobile apps on AppStore. We anticipate to see gained momentum throughout the business. Mobile is also becoming popular for marketers. Therefore, specialized app analysis systems are becoming important to how marketers and app developers invest, analyze and market their apps. App analysis systems enable users to discover and analyze behavior through data observations and meaningful pattern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pp analysis system and CMS System Open API, NugaLog. The NugaLog acquires users data and engages with them in a variety of ways. It will be essential for us to understand how users interact with and move through the app. The NugaLog will be able to see the number of users, smart phone model, smart phone OS, resolution, page views, and app version.

LBS를 활용한 문화유산 체험학습 스마트폰 APP (Cultural Heritage Experiential Learning Smart-Phone APP Using LBS)

  • 김용호;김형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821-828
    • /
    • 2013
  • 본 논문에서 제안한 문화유산 체험학습에 최적화된 스마트폰 APP인 CHELS-App은 단순한 관광지안내 서비스를 벗어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문화유산을 체험하고 제시되는 퀘스트를 통하여 미션을 즐기면서 학습과 관광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CHELS-App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는 종묘를 대상으로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안내지도와 이벤트 푸쉬기능을 이용한 현장에서의 다양한 문화해설(해설, 사진, 퀴즈, 게임, 카툰)을 제공하고 이러한 체험을 통한 발도장 기능, 체험일지 작성 기능을 구성하였다.

스마트폰 USB센서 Plug & Play를 위한 통합 App 구조 (A Unified App Architecture for Plug & Play of Smart Phone USB Sensor's)

  • 강선구;소선섭;김병호;은성배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9
    • /
    • 2013
  • Performance of smart phones has increased to conduct simple PC functions that has become essential to modern people.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phones, not only limited inner sensors but various sensors can be connected through USB. However, there is problem that app needs to downloaded when using each sensor. In this paper, a smart phone unified app structure for USB sensor Plug&Play is presented. The structure was designed to download web pages to use various sensors in one app. Unified app communicated with the platform through ADK accessory protocol and implements structure of delivering sensor ID to the web server and downloading device driver, web page. By measurement test, it was confirmed that download time of web page in unified app was 10 times faster than original download time of original app. By managing various sensors by one app, the app is searched every time the sensor changes in which there is no need for downloading several apps.

웹 공통 API를 이용한 스마트폰 전자책 응용 (Smart Phone E-Book Application using Web Common APIs)

  • 조수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8-33
    • /
    • 2011
  • 최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시장은 급속히 성장하고 있고, 사용자들은 향상된 스마트폰의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하고도 풍부한 사용 경험을 원하고 있지만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각종 스마트폰 센서들을 컨트롤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스마트폰 OS에 맞는 네이티브 프로그래밍 언어를 전문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더구나 개발 프로세스는 각 스마트폰 OS에 따라 별도의 작업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웹 공통 API를 이용하는 웹기반의 스마트폰 응용 (일명, '웹앱') 개발 방법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해준다. 그것은 웹 언어인 HTML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자바스크립트로 웹 공통 API를 호출하여 각 스마트폰의 디바이스 API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 공통 API를 이용한 편리하면서도 OS 독립적인 스마트폰 웹앱(WebApp) 개발 방법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전자책 응용을 구현한 경험을 소개한다.

The Intelligence APP development for children's Kanji character education using Block and Stop motion

  • Jung, Sugk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5권2호
    • /
    • pp.66-72
    • /
    • 2016
  • With the growing shift from traditional educational approaches and studying to the more digital classroom, using electronic textbooks and digital native's demand, there is a growing need to develop new methods for learn Kanji characters fo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hildren learn the basic Kanji by using stop motion and block methods, and approaching the basic Kanji character education with a more innovative and interactive smart phone APP. In the development of this smart phone App for children's Kanji character education proposed in this study, 100 basic Kanji characters for children are selected. These 100 characters are required for the stop motion animation production, where each selected Kanji is created as a stop-motion animation utilizing a variety of techniques, such as storytelling, to better engage children. The intelligent App is designed with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so that in the learning process children take a picture for the assembled block using their smart phone, the APP then recognizes whether it is assembled correctly, and then plays an animation corresponding to the assembled Kanji charac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