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disaster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초

USN 기반 개방형 방재관리 통합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USN Based Integrated Open Server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 이정균;이기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929-93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USN 내부의 센서를 통해 신속 정확한 화재 정보를 수신하여 방재관련 기타 시스템과 연계를 통해 각종 방재 자료를 정보화하고, 효과적인 소방시설의 유지관리에 중점을 두기 위하여 기존에 운용되고 있는 각종 설비의 관리시스템의 유기적인 통합 지원체계를 구축한 개방형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합 방재 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CCTV설비, 고감도 환경 감지기, 자동화재탐지설비, 출입문 보안설비, 공조설비와 같은 Local 시스템을 개방형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합하고, 운영을 하기위한 운영 시나리오 검증과 통합방재 관리시스템의 서버 구조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

효율적 재난대응을 위한 스마트 재난현장지원시스템 통합방안 및 프로토타입 시뮬레이션 (The Integration of Smart Disaster Site Support System and Prototype Simulation for Effective Disaster Response)

  • 박현철;박선아;이진수;편무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831-839
    • /
    • 2023
  • 본 연구는 재난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정보들을 신속하게 수집·분석하여 정확한 재난현장상황파악과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현장지원시스템의 통합방안을 제안하고, 프로토타입 시뮬레이션을 통해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재난현장에서 활용 할 수 있는 정보수집·공유·융합 기술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재난관리 전단계에 필요한 정보자원과 정보의 효율적인 흐름을 만들어낼 수 있는 스마트 재난현장지원시스템의 통합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프로토타입으로 시스템 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풍수해 재난 시나리오를 토대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으며, 시스템 내의 다양한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구현되어 GIS 상황판에 표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급변하는 재난환경 속에서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재난대응이 가능해질 것이라 기대된다.

재난안전 실무자의 스마트 재난관리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재난관리 민간참여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South Korean Disaster Officials' Readiness to Facilitate Public Participation in Disaster Management Using Smart Technologies)

  • 류현숙;김학경
    • 시큐리티연구
    • /
    • 제62호
    • /
    • pp.35-63
    • /
    • 2020
  • 최근 대형복합 재난 및 테러 등 발생으로 국가위기 및 재난관리의 중요성이 한층 증가되고 있으며, 재난 및 안전사고 강도와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정부의 재난 대응과 복구능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즉, 범사회적 재난안전 관리의 역량 강화 및 복원력 제고를 위해서는 국가 위주의 재난안전 관리가 아닌, 민간영역과·지역사회와의 협력적 체계를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특히, 최근 스마트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 사례들을 볼 때, 새로운 스마트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민간의 참여확대가 현실적으로 가능해졌음을 알 수 있다. 실제 국가 재난 및 안전 관리 체계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정보통신기술의 접목이 필수적이며, 특히 최근 스마트앱 사회연결망서비스(SNS) 등의 등장 및 이용 영향으로 기존 '명령과 통제' 방식의 재난 및 안전관리에도 변화가 요구되기 시작했다. 해외에서의 스마트 기술 기반 시민참여 사례로는 지난 2010년 아이티 대지진 당시 재난복구에 시민과 민간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이끈 크라우드 소싱 플랫폼 우샤히디(Ushahidi) 사례, 2011년 3월 일본 대지진과 지진해일 발생 시 트위터, 페이스북 등과 같은 SNS 등을 통한 생사확인 등의 위기소통 사례, 2011년 5월 미국 조플린 토네이도 발생 시 페이스북 사이트를 통한 시민주도 실종자 찾기 및 생사확인 그리고 긴급구조와 지원 사례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2010년 부산해운대 오피스텔 화재 발생 시 시민의 동영상 촬영 및 뉴스 제공, 2012년 대풍 볼라벤 북상시 SNS를 통한 시민주도 정보 공유 및 확산,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카톡 등 SNS를 통한 생사확인 및 구조현황 공유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민간참여 확대가 재난 및 안전관리에 가져오는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민간참여에 대해 한국정부 재난안전 실무자가 느끼는 인식 및 기존 재난 및 안전관리에 스마트 민간참여를 수용할 수 있는 준비도(readiness)를 실증 조사해 분석하고자 한다. 스마트 민간참여 확대에 대비한 정부 재난관리 조직과 실무자의 준비 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SMART 모델(System, Motivation, Ability, Response, Technology)을 제시한다. SMART 모델에 따라 재난안전 실무자의 법제도(System), 동기(Motivation), Ability(역량), 반응(Response), 및 기술(Technology) 등 5개 영역별 준비 수준을 측정, 분석해 향후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스마트 재난관리 영상감시시스템과 적용 (Video Surveillance System for Smart Management Disaster and Applications)

  • 강희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34-1240
    • /
    • 2011
  • 최근 여러 분야에 걸쳐 기존의 감시시스템은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종 사고 예방 및 안전 운행에 도움을 주고, 위험 사항을 외부로 연계하거나 관리자에게 알려주며, 실시간 분석 및 파악이 가능한 지능형 영상감시시스템의 구성, 기술요소, 요구 기능과 이의 응용과 그 적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항만 인프라 재해와 노후화 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적용 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dure for Applying Digital Twin to Disaster and Aging Management of Port Infrastructure)

  • 장혜정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38-151
    • /
    • 2023
  • 우리나라 항만 인프라는 공용연수가 30년이 넘은 노후 항만시설물은 2019년 약 23%에서 2029년에는 47%로 증가하여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오래된 기존의 항만은 경쟁력을 상실하고 항만 인프라의 발전을 저하하며 시설물에 대한 인적자원 기반 유지보수에 따른 인명사고가 증가한다. 이러한 문제를 디지털 트윈 기반의 체계적인 관리 기술 구축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항만 인프라의 재해와 노후화 현황과 스마트 항만의 사례를 살펴본 뒤 스마트 항만 기술이 반영된 디지털 트윈 구현 단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항만 인프라 연계 시스템을 분석하고 디지털 트윈 구현에 필수적인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맵핑을 한다. 재해와 노후화 관리를 위한 3D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수집하여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며 항만 인프라에서 획득한 센싱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상황별 항만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구현한다. 항만 인프라 재해와 노후화 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항만을 구현하는 경우 실시간 통합관제로 예지적인 항만 인프라 관리로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재해에 관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재난정보 표준화를 통한 환경 재난정보 수집 및 활용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Unstructured Environmental Disaster by Using Disaster Information Standardization)

  • 이동섭;김병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4호
    • /
    • pp.236-242
    • /
    • 2019
  • 본 연구는 재난정보 표준화를 목표로 다양한 재난 및 사고에서 생성되는 정형, 비정형 문서를 전자화된 문서로 변환하여 환경재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환경재난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개발하였다. 최근 4차 산업 시대를 통해 다양한 지능화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환경재난, 재난관리 등의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며, 환경재난 관리 업무와 융합되어 활용되고 있다. 재난정보관리는 단순히 재난업무를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환경재난 이력정보를 활용하여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재난관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환경재난을 관리하는 중요한 요소는 재난정보이다. 재난정보는 재난의 발생에서 진행, 대응 및 계획까지의 재난 전주기에 대한 정보를 전자화된 정보로 관리하고 처리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그러나, 자연, 사회, 환경재난에 대한 상황, 대응, 대비, 복구의 정보는 주로 보고서의 형태인 핸드아웃이나 비정형 정보로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비정형 재난안전정보는 관리 부실에 의해 사라지거나 폐기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비정형 재난안전정보는 재난정보로서의 관리를 위해 인식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화된 기술을 활용하여 인쇄되거나 스캐너에 의해 이미지 또는 문서로 생성된 재난 보고서를 전자화된 문서로 변환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며, 그 후 변환된 재난정보는 재난정보관리 코드체계에 맞추어 정리하여 재난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정형, 비정형 재난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스마트 재난관리의 시작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이렇게 생성된 환경재난 정보는 재난정보 코드체계와 연계하여 표준화된 형식으로 관리한다. 재난코드체계는 재난 별 발생 진행 상황, 피해 규모, 대처사항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표준을 구축하였으며, 향후 이러한 많은 재난 데이터와 이력정보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스마트 재난관리 및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ireless Sensor Networks in Smart Grid on Demand Management

  • Lee, Sang-Hyun;Jeon, An-Gyoon;Moon, Kyung-I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6권2호
    • /
    • pp.17-19
    • /
    • 2014
  • Now is the applications are using WSN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surveillance application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monitoring, disaster recovery, and the structure used in the field. Also, the low cost of the communication and control functions can be provided, in particular management of smart grid demand may be used in many applications. In this paper, WSN in smart grid is based on the building blocks of smart grid management system proposed for the fuzzy demand.

스마트 환경재해 관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설계 (Service Platform Design for Smart Environment Disaster Management)

  • 원달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247-252
    • /
    • 2018
  • 환경의 문제는 전세계적으로 인류가 꼭 해결해야 할 문제로 급박하게 다가오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지정학적인 위치로 인한 대기, 해양 오염의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으며, 국내적으로도 공기, 물, 토양, 기상 등으로 인한 수많은 오염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국가 환경관련 관리 도메인/서비스(시스템) 간 연계성 단절로 인해 환경오염이나 재해 발생시 신속한 원인 규명 및 상황 대처 능력이 취약하고, 중복 투자 발생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스마트 환경재해 관리를 위한 서비스 플랫폼 개발은 국가 차원의 스마트 환경재해 관리 및 환경관련 계측 및 자동측정 데이터의 국가적인 표준 프로토콜 정의를 통하여 융복합적인 스마트 환경관리를 통해 환경재해를 조기에 감지하고, 신종 복합 환경재해를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Smart City in Korea

  • KIM, Sun-Ju
    • 융합경영연구
    • /
    • 제10권6호
    • /
    • pp.17-2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nalyzes advanced cases of overseas smart cities and examines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the creation of smart cities in Kore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nalysis standard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best practices. Analysis criteria include Technology, Privacy, Security, and Governance. Results: In terms of technology, U-City construction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re strengths. Korea's ICT technology is inferior to major countries. On the other hand, mobile communication, IoT, Internet, and public data are at the highest level. The privacy section created six principles: legality, purpose limitation, transparency, safety, control, and accountability. Security issues enable urban crime, disaster and catastrophe prediction and securit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platform. Governance issues are handled by the Smart Special Committee, which serves as policy advisory to the central government for legal system, standardization, and external cooperation in the district. Conclusions: Private technology improvement and participation are necessary for privacy and urban security. Citizens should participate in smart city governance.

위치기반 모바일 농업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시험 개발 (Development of A Pilot Android Application for Location-based Mobile Agricultural Information System)

  • 김상민;장민원
    • 농촌계획
    • /
    • 제20권4호
    • /
    • pp.277-284
    • /
    • 2014
  • Recently the use of smart phones and mobile devices is increasing rapidly, data search and retrieval in the mobile environments are generalized. There are only few mobile applications available in the area of agriculture while huge amount of new applications are developed and uploa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ndroid based mobile application for providing agricultural infrastructure and disaster information. The mobile application was designed through the databas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system, server management system, and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The database is composed of weather data, agricultural infrastructure data, and agricultural disaster data. By developing the mobile application which provides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nformation,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agricultural information and mitigate the agricultural disaster damages.